- 제주 고유의 지역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 무형문화를 도지정문화재로 지정 하는 취지에 맞추어 제주고유어를 문화재 명칭으로 사용하고자 함
- “제주도 영장소리”는 장례절차에 따라 행상소리, 꽃염불소리, 진토굿파는 소리, 달구소리로 유형화 됨
- 음악적, 사설적인 면에서 공통적인 요소를 간직하면서 제주도내 지역 마다 약간씩 변이된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후렴형식도 조금씩 달리 불리워지는 특성을 보임
- 죽음을 다루는 것이지만 소리의 기능성과 가창성을 통해 삶과 죽음에 대한 제주인의 다양한 정서를 담아내고 있음
- 장례의식의 간편화로 급격히 전승이 단절되고 상황에서 장례의식에 관한 제주도 고유의 지역성을 간직하고 있는 “제주도 영장소리”를 제주특별자치도 무형문화재로 지정하여 종목을 보존·전승하고자 함
- “제주도 영장소리”는 제주도내에서 불리워지는 장례의식요를 지칭하는 용어로, 특히 “영장”은 제주도 전역에서 “장례”를 의미하는 제주어임
- 제주 고유의 지역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 무형문화를 도지정문화재로 지정 하는 취지에 맞추어 제주고유어를 문화재 명칭으로 사용하고자 함
- “제주도 영장소리”는 장례절차에 따라 행상소리, 꽃염불소리, 진토굿파는 소리, 달구소리로 유형화 됨
- 음악적, 사설적인 면에서 공통적인 요소를 간직하면서 제주도내 지역 마다 약간씩 변이된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후렴형식도 조금씩 달리 불리워지는 특성을 보임
- 죽음을 다루는 것이지만 소리의 기능성과 가창성을 통해 삶과 죽음에 대한 제주인의 다양한 정서를 담아내고 있음
- 장례의식의 간편화로 급격히 전승이 단절되고 상황에서 장례의식에 관한 제주도 고유의 지역성을 간직하고 있는 “제주도 영장소리”를 제주특별자치도 무형문화재로 지정하여 종목을 보존·전승하고자 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