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제주무형문화재

ㅁ제주특별자치도 무형문화재 제22호 제주도 영장소리.영장소리

오늘의 쉼터 2020. 1. 9. 18:40




종     목

제주특별자치도 무형문화재 제22-1호

명     칭

행상소리

분     류

무형문화재 / 전통 공연·예술 / 음악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17.08.24

소 재 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종달로1길 124-4

시     대

대한민국

소 유 자

제주시

관 리 자

제주시

일반설명

- 제주 고유의 지역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 무형문화를 도지정문화재로 지정 하는 취지에 맞추어 제주고유어를 문화재 명칭으로 사용하고자 함

- “제주도 영장소리”는 장례절차에 따라 행상소리, 꽃염불소리, 진토굿파는 소리, 달구소리로 유형화 됨

- 음악적, 사설적인 면에서 공통적인 요소를 간직하면서 제주도내 지역 마다 약간씩 변이된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후렴형식도 조금씩 달리 불리워지는 특성을 보임

- 죽음을 다루는 것이지만 소리의 기능성과 가창성을 통해 삶과 죽음에 대한 제주인의 다양한 정서를 담아내고 있음

- 장례의식의 간편화로 급격히 전승이 단절되고 상황에서 장례의식에 관한 제주도 고유의 지역성을 간직하고 있는 “제주도 영장소리”를 제주특별자치도 무형문화재로 지정하여 종목을 보존·전승하고자 함

- “제주도 영장소리”는 제주도내에서 불리워지는 장례의식요를 지칭하는 용어로, 특히 “영장”은 제주도 전역에서 “장례”를 의미하는 제주어임

- 제주 고유의 지역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 무형문화를 도지정문화재로 지정 하는 취지에 맞추어 제주고유어를 문화재 명칭으로 사용하고자 함

- “제주도 영장소리”는 장례절차에 따라 행상소리, 꽃염불소리, 진토굿파는 소리, 달구소리로 유형화 됨

- 음악적, 사설적인 면에서 공통적인 요소를 간직하면서 제주도내 지역 마다 약간씩 변이된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후렴형식도 조금씩 달리 불리워지는 특성을 보임

- 죽음을 다루는 것이지만 소리의 기능성과 가창성을 통해 삶과 죽음에 대한 제주인의 다양한 정서를 담아내고 있음

- 장례의식의 간편화로 급격히 전승이 단절되고 상황에서 장례의식에 관한 제주도 고유의 지역성을 간직하고 있는 “제주도 영장소리”를 제주특별자치도 무형문화재로 지정하여 종목을 보존·전승하고자 함


//////////////////////////////////////////////////////////////////////////////////////////////////////////////////////



종     목

제주특별자치도 무형문화재 제22-2호

명     칭

제주도 영장소리(진토굿파는 소리)

분     류

무형문화재 / 전통 공연·예술 / 음악

수량/면적

1곡

지 정 일

2017.08.24

소 재 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 755

시     대

대한민국

소 유 자

서귀포시

관 리 자

서귀포시

일반설명


제주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