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전북기념물

전라북도 기념물 제136호 순창 운림리 농소고분

오늘의 쉼터 2018. 1. 24. 18:35

 

종    목 전라북도 기념물 제136호
명    칭 순창 운림리 농소고분 (淳昌 雲林里 農所古墳)
분    류 유적건조뭏 / 무덤/ 고분 /봉토분
수량/면적 1기
지 정 일 2017.07.07.
소 재 지 전라북도 순창군 적성면 운림리 산13
시    대 고려시대
소 유 자 순창군
관 리 자 순창군

일반설명

농소고분 무덤의 봉토는 길이 580cm, 너비 404cm의 장방형으로 당초 조성되었다가 시간이 흘러 현재 봉토는 모두 깎아서 편평하게 만들어진 상태이며, 봉토의 가장자리에 놓인 병풍석(護石)만 남아 있다.병풍석 내에는 너비 약 200㎝의 토광(널빤지를 깔지 않고 흙바닥 그대로 둔 광)이 3단으로 단을 두고 파여 있었으며, 전체 깊이는 300㎝에 이른다. 이 토광의 맨 아랫단에 길이 210㎝, 너비 85㎝의 나무 널(목관)과 나무 널을 보호하기 위한 나무덧널(목곽)이 2중의 관곽(棺槨, 시신을 넣는 속 널과 겉 널을 아울러 이르는 말) 형태로 확인됐다.아울러 나무 널의 바깥에는 칠을 하고 원형의 테두리를 그린 다음 그 안에 금가루로 새긴 범자(梵字, 고대 인도의 산스크리스트어를 적는데 쓰였던 브라흐미 문자)가 350여 자 확인되었는데, 매장자의 불교와의 밀접한 연관성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유물로 주목되고 있다. 이밖에 농소고분에서 발견된 유물은 청동합(靑銅盒), 청동반(靑銅盤), 청동수저 등이며, 토광의 세 벽면을 파내어 만든 벽감(壁龕, 장식을 목적으로 두꺼운 벽면을 파서 움푹한 공간) 속에서 출토되었다. 특히, 동쪽 벽감에서 출토된 청동반에는 머리카락을 뭉친 다발이 가지런히 담겨 있는 상태로 발굴되었다.출토 유물과 무덤의 형태 등 여러 정황으로 보아 무덤의 주인공은 고려시대 최고위 계층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지석(誌石) 등은 발견되지 않아 정확히 누구의 무덤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순창 운림리 농소고분
순창 운림리 농소고분
순창 운림리 농소고분 근경
순창 운림리 농소고분 발굴조사 때의 사진
순창 운림리 농소고분 지적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