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자병법(孫子兵法) 5篇 <병세편(兵勢篇)>
<상대의 허점을 찌른다>
병세편은 군의 세(勢)를 잘 구사하는 것이 전쟁에 매우 긴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세란 힘의 움직임이다. 정지한 곳에서는 발휘되지 않는다. 전쟁은 힘의 대결이다.
힘을 최대한으로 발휘 하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군대는 세를 부여해야 한다.
그러므로 손자는 세(勢)의 모체에 대하여, 그 형성 과정을 설명 하고 있다.
(2) 적을 맞아 패하지 않는 것은 기정(奇正)뿐이다.
三軍之衆(삼군지중)
삼군의 무리로,
可使必受敵而無敗者(가사필수적이무패자)
반드시 적을 맞아 패함이 없게 하는 것은,
奇正是也(기정시야)
기정(奇正) 이것이다.
삼군에 미치는 대군을 이끌고 적과 조우하였을때 절대로 패하지 않는 전법으로는
기도(奇道), 정도(正道)를 교묘하게 쓰는 수밖에 없다는 말이다.
정도의 싸움은 정면에서 맞붙어 싸우는 것이 기본이지만,
그것만으로는 절개로 승리를 기대할 수 없다.
때에 응하고 기에 임하여 응변하는 처치가 필요하다.
응변만으로 싸움이 되는것이 아님은 이제까지 구구하게 설명을 하였으나
임기응변의 기도작전,곧 기병(奇兵)도 쓸줄 알아야 한다.
기도라 하여 상대편의 의표를 찌르거나 뒤를 치는 것만은 아니다.
교묘한 기미를 잡는 법도 역시 기병에 속한다.
사업 경영의 선전전 등에서도 또한 필요하다.
그러나 그때 그때의 임시적인 행동이 전부는 아니므로,
정(正)과 기(奇)를 아울러 쓰는 것이라야 할 것이다.
'소설방 > 손자병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5篇 (4) 무릇 싸움은 정으로써 합하고, 기(奇)로써 이긴다. (0) | 2017.12.27 |
---|---|
5篇 (3) 충실한 군대로 적의 허점을 찌른다. (0) | 2017.12.27 |
5篇 <병세편(兵勢篇)> (1) 다스림은 분수(分數), 독려함은 형명(形名) (0) | 2017.12.27 |
4篇 (11) 싸움에는 자와 저울이 필요하다. (0) | 2017.12.27 |
4篇 (10) 볍법은 명확한 수치에서 승패가 귀결된다. (0) | 2017.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