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서울유형문화재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51호 봉국사 아미타괘불도

오늘의 쉼터 2014. 7. 5. 17:53

 

 

 

종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51호

명 칭

봉국사 아미타괘불도 (奉國寺 阿彌陀掛佛圖)

분 류유물 / 불교회화/ 괘불화/ 석가불도
수량/면적 1점
지정(등록)일 2013.12.26
소 재 지 서울 성북구 정릉2동 637
시 대 조선시대(1898년)
소유자(소유단체) 봉국사
관리자(관리단체) 봉국사
상 세 문 의 서울특별시 성북구 문화공보과 02-920-3412

 

일반설명

 

봉국사(奉國寺) 아미타괘불도(阿彌陀掛佛圖)는 아미타불·관음보살·대세지보살의 아미타삼존을 화면에 가득 묘사하고, 그 아래 가섭존자·아난존자, 하단에 사자를 탄 문수동자와 코끼리를 탄 보현동자를 배치한 괘불도(掛佛圖)이다. 이와 같은 도상은 비로자나삼신불괘불도(1832, 흥천사 괘불도) 및 석가모니 괘불도(1886, 봉은사 괘불도) 등과 동일한 도상을 공유하면서 상단 부분만 아미타삼존으로 바꾼 것이 특징이다. 오른손을 아래로 내리고 왼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댄 아미타불을 본존으로 한 괘불도는 19세기말 20세기초 서울·경기 지역에서 유행, 이러한 예로 1901년 서울 연화사 및 봉원사 괘불도, 1902년 고양 흥국사 괘불도(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89호)등이 있다. 화기의 “삼각산(三角山) 봉국사(奉國寺)” 는 원래의 글씨를 지우고 덧쓴 흔적이 뚜렷해서 향후 정확한 출처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 괘불도(掛佛圖)는 서울, 경기도 일대에서 화명을 떨쳤던 수화승 금곡 영환(金谷永煥), 한봉 창엽(漢峰瑲曄), 덕월 응륜(德月應崙), 명응 윤감(明應允鑑), 금화 기형(錦華機炯), 계은 봉법(啓恩奉法), 의암 현조(義庵現照), 용담 규상(龍潭奎祥), 긍조(亘照), 계웅(戒雄), 원익(元益), 성련(性蓮), 봉옥(奉玉) 등 14명의 화승이 제작했다, 괘불을 주도한 금곡 영환(金谷永煥)은 백련사 괘불도(1892년), 남양주 불암사 괘불도(1895)를 조성한 사례가 있으며, 1902년에 봉국사 괘불도에서 새롭게 구성한 존상표현은 이후 1902년 연화사 괘불도와 봉원사 괘불도에 이어진다. 제작 화승 뿐 아니라 조성에 관여한 인물로 상궁 하씨, 공씨, 정씨, 이씨, 백씨를 비롯하여 총 26인이 시주에 참여. 특히 상궁 5명은 괘불 제작을 주도한 것으로 여겨지는데, 상궁이 불화제작에 적극 참여한 것은 이 시기의 서울과 경기지역에서 나타나는 사회적인 양상 가운데 하나이다. 서울지역에서는 연대가 올라가는 괘불도에 속하며 형태, 필선, 채색, 문양, 장식 등 각 세부묘사 등이 당시 불화와 비교하여 완성도가 높아, 19세기 말 서울지역에서 제작된 새로운 괘불도 형식의 선행적인 사례로 미술사적 가치를 지니므로 서울시 유형문화재로 지정하여 보호함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봉국사 아미타괘불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