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63호 |
---|---|
명 칭 | 경율이상(經律異相) |
분 류 | 기록유산 / / / |
수량/면적 | 1책권1-6 |
지정(등록)일 | 2011.10.04 |
소 재 지 | 경기 성남시 분당구 구미로 185번길 30 |
시 대 | 조선시대 |
소유자(소유단체) | 대한불교천태종 분당대광사 |
관리자(관리단체) | 대한불교천태종 분당대광사 |
상 세 문 의 | 경기도 성남시 문화예술과 031-729-3011 |
일반설명 중국 후양의 보창(寶唱)이 저술한 불교서적. 경전이나 율서 속에 등장하는 이상(異相)을 주제별로 모아 놓은 일종의 불교백과사전이다. 516년 양무제의 명을 받아 승문(僧文)이 발췌하고, 보창이 승호(僧豪)와 법성(法性)의 도움을 받아 완성하였다. 모두 50권이며 14부로 구성되었다. 1부는 천부(天部)로 삼계의 여러 신과 해와 달·별·비에 관한 내용을 담았고, 2부는 지부(地部)로 산과 나무, 강과 바다 등 자연현상을 설명하였다. 3부는 불부(佛部)로 부처의 출가와 성도·열반·사리탑에 관한 내용이며, 4부는 보살부(菩薩部), 5부는 성문부(聲聞部)이다. 6부는 국왕부(國王部)로 전륜성왕이나 보살도·성문도를 따르는 왕과 왕비를 기록하였다, 7부는 태자부(太子部)로 6부의 내용과 비슷하다. 8부는 장자부(長者部), 9부는 우바새와 우바이부, 10부는 외도선인부(外道仙人部)로 외도선인과 범지(梵志)·바라문을 설명하였다. 11부는 거사서인등부(居士庶人等部)로 거사와 서인, 남자와 여자를 다루었고, 12부는 귀신부로 아수라와 긴나라 등을 다루었다. 13부는 축생부(畜生部)로 짐승과 곤충·새 등 모두 29개 동물을 나열하였다. 마지막 14부는 지옥부(地獄部)로 팔대지옥과 십팔지옥을 차례로 설명하였다.
고려시대 분사대장도감에서 판각되어 현재 해인사 판전에 보존되어 있는 경판에서 조선 전기에 후인(後印)된 판본으로 보인다. 현재 이보다 조금 앞서 후인된 접장본 2점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으므로 유형문화재로 지정할 만한 가치 인정된다. |
'문화재 > 경기유형문화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65호 고령신씨 북백공파 고문서 (0) | 2014.04.10 |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64호 백자청화 정부인 영광정씨 묘지 및 지석함 (0) | 2014.04.10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62호 선종영가집언해권상1책 (0) | 2014.04.10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61호 영가대사증도가남명천선사게송2책 (0) | 2014.04.10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60호 고양시 길상사 묘법연화경 (0) | 2014.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