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62호 |
---|---|
명 칭 | 선종영가집언해권상1책(禪宗永嘉集諺解卷上一冊) |
분 류 | 기록유산 / 전적류/ 목판본/ 간경도감본 |
수량/면적 | 1책 |
지정(등록)일 | 2011.10.04 |
소 재 지 | 경기 성남시 분당구 구미로 185번길 30 |
시 대 | 조선시대 |
소유자(소유단체) | 대한불교천태종 분당대광사 |
관리자(관리단체) | 대한불교천태종 분당대광사 |
상 세 문 의 | 경기도 성남시 문화예술과 031-729-3011 |
일반설명 <성남시 대광사 소장 선종영가집언해권상>은 선장본線裝本 1책으로 1464년(세조10)에 간행한 간경도감판 목판본이다. 서지사항은 사주단변四周單邊 반곽半郭에 계선이 있고, 인쇄면은 반엽半葉을 기준으로 8행이며 한자와 한글이 혼합되어 19자씩 배자되었다. 판심의 상하에는 대흑구大黑口가 있으며, 그 사이로 흑어미黑魚尾가 서로 내향하고 있다. 어미 사이에 ‘영가집永嘉集’이라는 판심제板心題가 있고, 그 아래로 장수가 표기되어 있다. 『선종영가집』은 당나라 영가永嘉 진각대사眞覺大師가 수행인의 자세와 선수행의 요결에 대한 열 가지의 내용을 찬술한 것을 송나라 행정行靖이 주를 달고, 정원淨源이 과문科文을 나누어 만든 선종의 요결서要訣書이다. 『선종영가집언해』는 『선종영가집』에 세조가 원문에 한글로 토를 달고, 신미信眉 등이 한글로 번역하였으며, 해초海超와 효령대군孝寧大君 등이 교정하여,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간행한 책이다. 책머리에 간경도감 도제조인 황수신黃守身의 전문箋文과 도제조 이하 간행 관여자의 관직과 이름이 실려 있고, 끝에 신미와 효령대군의 발문이 있어서 간행경위를 밝혔다. 책의 체재는 간경도감의 다른 언해본과 같다. 그 후 성종의 계비인 정현왕후貞顯王后가 성종의 명복을 빌기 위해 1495년(연산군1)에 원각사에서 대대적으로 간행하여 널리 보급되었다. 『선종영가집언해』는 앞뒤 상당 부분 결실되어 있지만, 이 책이 보여주는 일정하게 고정지가 사용되는 점 등 여러 가지 특징들이 간경도감에서 1464년(세조10)에 판각한 후 바로 인출된 것으로 훈민정음과 국어 연구에 매우 학술적 가치가 높은 자료이다. |
'문화재 > 경기유형문화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64호 백자청화 정부인 영광정씨 묘지 및 지석함 (0) | 2014.04.10 |
---|---|
ㅁ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63호 경율이상(經律異相) (0) | 2014.04.10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61호 영가대사증도가남명천선사게송2책 (0) | 2014.04.10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60호 고양시 길상사 묘법연화경 (0) | 2014.04.10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59호 고양 길상사 육경합부 (0) | 2014.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