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서울특별시 민속문화재 제3호 |
---|---|
명 칭 | 평창동보현산신각 (平倉洞普賢山神閣) |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제사유적/ 산신당 |
수량/면적 | 1동 |
지정일 |
1973.01.26 |
소 재 지 | 서울 종로구 평창동 541-1 |
시 대 | 조선시대 |
소유자 | 사유 |
관리자 | 종로구 |
상 세 문 의 | 서울특별시 종로구 문화공보과 02-731-1171 |
일반설명 산신각은 한국의 토속신인 산신 곧 산신령을 모시는 곳으로 마을과 절을 수호하는 기능을 갖는다. 삼각산 보현봉 기슭에 자리하고 이 산신각은 남산신각으로, 원래는 여산신각, 부군당 신목과 함께 있었으나, 여산신각과 부군당 건물은 현존하지 않고 다만 보현산신각과 부군당 신목(서울시지정보호수 제65호)만 남아있다. 건물은 앞면과 옆면이 모두 1칸으로 되어있고, 지붕은 옆면에서 보았을 때 지붕선이 ‘사람인(人)’자 모양과 비슷한 맞배지붕을 얹었다. 내부 정면에는 노인과 범을 그려 놓은 ‘기호노인상(騎虎老人像)’의 산신도가 걸려있다. 건립연대는 산신각 제단 위에 있는 종에 ‘정유년(丁酉年)’이라 새겨 놓아, 이것이 1957년 인지, 1897년 인지, 아니면 그 이전의 것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동제는 매년 음력 3월 1일 마을 노인들에 의해 유교식으로 행하여 지는데, 그 제물은 집집마다 배분되었다. 내부에 모셔둔 산신도가 우리나라 고대의 산신개념을 가진 민속자료로서 소중한 가치를 지니며, 산신을 섬기는 산악숭배 전통과 동제의 전통이 잘 결합된 좋은 예를 보여주고 있다.
보현산신각 |
'문화재 > 서울민속문화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특별시 민속문화재 제6호 관성묘 (關聖廟) (0) | 2011.10.02 |
---|---|
서울특별시 민속문화재 제5호 와룡묘 (臥龍廟) (0) | 2011.10.02 |
서울특별시 민속문화재 제4호 선바위(선암) (선바위(禪岩)) (0) | 2011.10.02 |
서울특별시 민속문화재 제2호 서빙고동부군당(西氷庫洞府君堂) (0) | 2011.10.02 |
서울특별시 민속문화재 제1호 관성묘 (關聖廟) 해제 (0) | 2011.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