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시(詩)
靜夜思(정야사) - 이백
床前明月光 머리맡에 밝은 달빛.
疑是地上霜 땅에 내린 서리인가.
擧頭望明月 머리 들어 밝은 달 바라보다
低頭思故鄕 고개 숙여 고향을 생각한다.
‘고향’을 떠올렸을 때 중국인이 가장 먼저 떠올리는 이백의 명시.
중국인이라면 누구나 외우는 시이기도 하다.
독음과 뜻이 모두 명려하고 물 흐르듯 자연스러운 시.
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지고있는 보편적인 향수의 감정을 표현하였다.
이 때문에 천 년이 넘도록 중국인에게 가장 익숙한 시로 자리잡은 작품
복잡한 사상이나 화려한 수식 대신,
가장 담담하고 소박한 필체로 풍부하면서도 섬세한 감정을 묘사한 시.
遊子吟(유자음) - 맹교
慈母手中線 인자하신 어머니 손에 실을 드시
游子身上衣 떠나는 아들의 옷을 짓는다.
臨行密密縫 먼 길에 해질까 촘촘히 기우시며
意恐遲遲歸 돌아옴이 늦어질까 걱정이시네
誰言寸草心 한 마디 풀 같은 아들의 마음으로
報得三春暉 봄 볕 같은 사랑을 어이 갚으랴.
모정을 읊은 송가.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정인 어머니의 사랑을 기리고 있다.
특히 어머니의 사랑을 봄 볕에 비유한 마지막 두 구는 지금도 널리 쓰이는 비유.
화려한 시어는 없지만 담백하고 소탈한 어투 속에 배어 나오는 아름다움은 진하다.
滿別情 이별의 정만 풀처럼 무성하리라.
백거이의 이 시는 ‘들불도 다 태우지는 못하니,
봄바람 불면 다시 돋누나’는 구절이 가장 유명하다.
또한 한 구절 한 구절 세심하게 공들인 흔적이 엿보인다
.煮豆燃豆? 콩을 삶는데 콩대를 베어 때니
豆在釜中泣 솥 안에 있는 콩이 눈물을 흘리네
本是同根生 본디 같은 뿌리에서 태어났는데
相煎何太急 어찌 그리도 세차게 삶아대는가
조식은 조조의 셋째 아들인데 재주가 워낙 출중해
아버지인 조조에게서 총애를 받고,
형인 조비에게서는 심한 질시와 견제를 받았다
조비는 왕위에 오른 후에도 조식을 견제하며 해치울 기회만 엿보았다.
그러던 어느 날 조비는 조식에게 일곱 걸음을 걷는 동안에 시를 지으라고
명령하며 만약 그 동안에 시를 짓지 못하면 중벌에 처하겠다고 말한다.
이 때 조식이 지은 시가 바로 ‘칠보시’로, 조비는 이 시를 듣고
登觀雀樓(등관작루)- 왕지환
欲窮千裏目 천리 저 멀리까지 바라보고 싶어
更上壹層樓 다시 한 층 누각을 오르노라.
‘천리 저 멀리까지 바라보고 싶은’ 시인이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한 층 더 누각을 올라가는 것’이다.
더 멀리 보고 싶다면 더 높이 올라가야 한다는 단순한 진리를 일깨워주는 시
九月九日憶山東兄弟(구월구일억산동형제)- 왕유
每逢佳節倍思親 명절 때마다 고향 생각 더욱 간절하다
遙知兄弟登高處 형제들 높은 곳에 올라
遍?茱萸少壹人 산수유 꽂으며 놀 적 한 사람이 적음을 알 것이니
고향과 가족을 향한 떠도는 이의 그리움을 노래했다.
반복해 읽을수록 의미가 새롭게 곱 씹히는 시
‘명절만 되면 고향 생각 더욱 간절하네’란
구절은 천여 년 간 나그네의 그리움을 나타내는 명언으로 쓰였으며,
고향을 떠난 수많은 이의 가슴을 울렸다.
명절 때마다 가족을 먼저 생각하는중국인 특유의 문화가 배어있는 시.
關關雎鳩,在河之洲。 꾸우꾸우 물수리새 모래섬에 정답듯이
중국 최초의 시가문학으로 일컬어지는 시경은 수천 년 전의 시구임에도
아직까지 전해지는 명구가 많다
. 시경 중 제 1수로 가장 유명한 <관저>는 중국 애정시 중에서도 후대의 영향력이 지대했던 시
夏日絶句(하일절구)-이청조
生當作人傑 살아서는 당연 사람들 중 호걸이었고
死亦爲鬼雄 죽어서도 역시 귀신들 중 영웅이리라
至今思項羽 지금도 항우를 그리워함은
不肯過江東 그가 강동으로 후퇴하지 않았기 때문이니.
절제된 시어 속에 그대로 들어가 있다.
.無爲在岐路 헤어지는 갈림길에서
중국 송별시의 걸작.
시 속에 이별 당시의 슬픔이 절절히 전해진다.
‘세상에 자기를 알아주는 친구만 있다면
하늘 끝에 있어도 이웃과 같으리니’는 지금도 쓰이는 명구
'종합상식 > 시.이쁜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스물 한살이었을때 - Allfred Edward Housman (0) | 2011.05.21 |
---|---|
오늘...꽃은 바로 당신입니다. (0) | 2011.05.16 |
삶이 늘 즐겁기만 하다면 / 핸리 밴 다이크 (0) | 2011.05.15 |
그대 늙어 / 예이츠 (0) | 2011.05.15 |
보르헤르트, 「적설」(낭독 윤복인 이승준 장용철) (0) | 2011.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