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2호 |
---|---|
명 칭 | 악기장(樂器匠) |
분 류 | 무형유산 / 공예기술/ 목칠공예/ 목공예 |
수량/면적 | 개인 |
지정(등록)일 | 1995.11.10 |
소 재 지 | 광주 동구 서석동 91-13 |
시 대 | 대한민국 |
소유자(소유단체) | 이춘방 |
관리자(관리단체) | 이춘방 |
상 세 문 의 | 광주광역시 동구 문화정보과 062-608-2221 |
설명 악기< 樂器>는 음악을 연주하는데 쓰이는 기구의 통칭으로 전통음악에 상용되는 국악기는 삼국시대를 전후해서 부터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져 전해오는 고유한 악기와 중국을 비롯하여 서역 및 기타 지방에서 수입되어온 외래 악기를 포함하여 약 60여종이 전해오고 있다. 우리나라는 북방대륙과 인접하였던 관계로 삼국시대에 이미 중국계 및 서역계의 음악들이 들어왔고, 특히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이후로는 당나라 음악이 수입되었다. 고려시대 이르러서는 송나라 속악< 俗樂 >과 아악< 雅樂 >이 수입되었는데, 예종때 아악이 들어옴으로써 거기에 편성된 아직도 대량으로 들어왔다. 이 악기들은 ‘증보문헌비고 ’에서는 악기를 만드는데 필요한 주재료에 의해서 분류하였고, 특히 ‘악학궤범 ’에서는 악기의 용도, 즉 전래되는 고유한 향악에 사용되는 향악기 그리고 아악에 사용되는 아악기와 당악< 唐樂 >에 사용되는 당악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일제침략에 의해 국권을 상실하고 궁중악공들도 자유인이 되었다. 물론 관부< 官府 >에 속한 악기장들이 정악중심의 악기를 만들었던 것과는 달리 민간에서는 산조< 散調 > 중심의 악기들이 제작되고 있었다. 이 산조악기는 개인 연주용이라고 할 수도 있어서 단체중심의 정악용 악기보다는 경쾌하고 운반이 쉽도록 만들었다. 일제시대 전주< 全州 >를 중심으로 김명칠< 金明七 >이 이름이 있었고 정읍< 井邑 >에서는 김붕기< 金鵬基 >(김학기< 金鶴基 >)가 이름있었다. 광복후 김명칠< 金明七 >의 기법은 그의 아들 김광주< 金廣胄 >에 이어져 71년 국가지정 제 42호 악기장 기능 보유자가 되었다. 그는 서울로 옮겨 최태귀< 崔泰貴 >, 고흥곤< 高興坤 >, 이영수< 李永水 > 등을 가르치다가 84년 4월 타계했다. 본디 이영수< 李永水 >는 정읍< 井邑 > 김붕기< 金鵬基 >의 기능을 받아 전북< 全北 > 문화재로 지정되었으나 김광주< 金廣胄 >의 기능도 전수받았다. 악기장은 본디 모든 악기를 만들줄 알았으나 지금은 북, 장고, 꽹과리, 징, 젓대, 피리, 가야금, 거문고, 해금 등 혁부< 革部 >, 금부< 金部 >, 죽부< 竹部 >, 사부< 絲部 >로 나눈다.
|
'문화재 > 광주무형문화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4호 판소리강산제(심청가) (0) | 2011.03.05 |
---|---|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3호 화류소목장(樺榴小木匠) (0) | 2011.03.05 |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1호 판소리고법(판소리鼓法) (0) | 2011.03.05 |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0호 완제시조창(完制時調唱) (0) | 2011.03.05 |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제9호 남도창동편제(南道唱東便制) (0) | 2011.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