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제5호 |
---|---|
명 칭 | 청자도공(靑磁陶工) |
분 류 | 무형유산 / 공예기술/ 도자공예/ 자기공예 |
수량/면적 | 개인 |
지정(등록)일 | 1986.09.29~2007.12.20 |
소 재 지 | 광주 광산구 연산동 산870-1 |
시 대 | 대한민국 |
소유자(소유단체) | 조기정 |
관리자(관리단체) | 조기정 |
상 세 문 의 | 광주광역시 광산구 문화정보과 062-940-8225 |
설명 청자도공은 청자로 대표되는 고려자기를 만드는 사람 또는 기술을 말한다. 고려비색으로 일컬어지는 청자는 오랜 세월의 흐름속에서 기술이 단절되었으나 고려비색을 찾아내기 위한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 광주를 중심으로 한 강진과 부안은 청자요지로 그 명성이 자자하다. 제작과정은 제토(製土)·성형(成形)·조각(彫刻)·시유(施釉)·소성(燒成) 등의 과정을 거친다. 제토과정은 돌을 깨뜨려 가루로 만든 뒤 흙을 풀어서 배합하는데 청자의 경우 거칠고 나쁜 조악점토와 백토를 7 : 3의 비율로 섞는다. 섞은 후 불순물을 제거하는 수비과정을 거치며, 이후에 바탕흙(태토)을 짓이긴다. 짓이긴 흙을 물레에 올려 물건의 형태를 만들고, 성형이 끝나면 말려서 문양을 칼로 새긴다. 이어 초벌구이를 하고 유약을 바른 뒤 재벌구이를 한다. 재벌구이가 끝나면 작품완성이다. 제작용구로는 물레·방망이·지래박·수레·물가죽·쇠홀태·목홀태·전칼 등이 쓰인다. 청자도공은 한국의 미를 표현하는 전통공예기술로서 보호하고 전승하기 위해 무형문화재로 지정하였다. 광주에 살고 있는 조기정씨가 연구원 설립 및 작품전을 통해 그 맥을 이어가고 있다.
보유자 사망으로 해제
청자도공 |
'문화재 > 광주무형문화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제7호 남도의례음식장(南道儀禮飮食匠) 해지 (0) | 2011.03.05 |
---|---|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제6호 남도판소리서편제(南道판소리西便制) (0) | 2011.03.05 |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제4호 필장(필장) (0) | 2011.03.05 |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제3호 탱화장(撑畵匠) <해제> (0) | 2011.03.05 |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제2호 판소리강산 <해제> (0) | 2011.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