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전라남도 기념물 제3호 |
---|---|
명 칭 | 영암월출산(靈岩月出山) |
분 류 | 자연유산 / 명승/ 자연경관/ 지형지질경관 |
수량/면적 | 36,694,215㎡ |
지정(등록)일 | 1972.01.29 |
소 재 지 | 전남 영암군 ,강진군 일원 |
시 대 | |
소유자(소유단체) | 국유 |
관리자(관리단체) | 영암군 |
상 세 문 의 | 전라남도 영암군 문화관광과 061-470-2225 |
일반설명
강진군과 영암군을 경계로 동쪽으로는 장흥, 서쪽으로는 해남, 남쪽으로는 완도를 비롯한 다도해를 바라보는 곳에 있는 월출산은 천황봉을 최고봉으로 하여 구정봉, 사자봉, 도갑봉, 주거봉 등 깎아지른 듯한 기암절벽이 많다. 『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신라 때에는 월나산(月奈山), 고려 때에는 월생산(月生山)이라 불렸다고한다.
월출산은 그 아름다움으로 인하여 예로부터 많은 시인들의 칭송을 들어왔는데, 고려시대 시인 김극기는 “월출산의 많은 기이한 모습을 실컷 들었거니, 그늘지며 개고 추위와 더위가 서로 알맞도다”라고 예찬을 하였다. 조선시대 시인 김시습은 “남쪽 고을의 한 그림 가운데 산이 있으니, 달은 청천에서 뜨지 않고 이 산간에 오르더라”하고 노래하였다. 도갑사와 무위사가 있고 구정봉으로 오르는 산기슭 중턱에 마애여래좌상(국보 제144호)이 있다. 북쪽에 용추폭포, 동쪽에 구절폭포, 남쪽에 금릉경포대가 아름다운 경치를 간직하고 있다. 월출산의 특산물로는 궁중 진상품으로 이름났던 참빗과 산란기인 3∼5월에 잡은 숭어의 알, 별미의 세(細)발낙지·짱뚱어 요리가 있어 아름다운 산세와 더불어 중요한 관광자원이 되고 있다.
![]() 영암월출산전경 ![]() 영암월출산 |
'문화재 > 전남기념물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라남도 기념물 제5호 소쇄원 <해지> (0) | 2014.05.16 |
---|---|
전라남도 기념물 제4호 담양 추월산 (0) | 2010.09.25 |
전라남도 기념물 제2호 입암산성(笠岩山城) <해지> (0) | 2010.06.07 |
전라남도 기념물 제1-2호 송강정(송강정) (0) | 2008.03.13 |
전라남도 기념물 제1-1호 식영정(息影亭) <해지> (0) | 2008.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