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시도유형문화재 제4호 (광주시) |
---|---|
명 칭 | 현절사(顯節祠) |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제사유적/ 제사터 |
수량/면적 | 1동 |
지정(등록)일 | 1972.05.04 |
소 재 지 | 경기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 310-1 |
시 대 | 조선시대 |
소유자(소유단체) | 국유 |
관리자(관리단체) | (재)경기문화재단 |
상 세 문 의 | 경기도 광주시 문화공보과 031-760-4821 |
일반설명
병자호란(1636) 때 3학사 윤집·홍익한·오달제의 넋을 위로하고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사당이다. 3학사는 적에게 항복하기를 끝까지 반대하다가 청나라에 끌려가 갖은 곤욕을 치르고 참형을 당하였다.
조선 숙종 14년(1688)에 그들이 끝까지 척화의 의리를 내세우던 곳인 남한산성 기슭에 지었으며, 숙종 19년(1693)에는 나라에서 ‘현절사’라 이름을 지어 현판을 내렸다. 우국충절을 장려할 목적으로 지었으므로 모든 경비를 나라에서 지원하였다. 숙종 37년(1711)에 김상헌과 정온을 함께 모시게 되면서 현 장소로 옮겨 지었다. 앞면 3칸·옆면 2칸의 규모로, 지붕은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앞면은 제사지낼 때 활용할 수 있도록 퇴칸으로 개방하였고, 옆면은 바람막이 풍판을 달고 방화벽으로 마감하였다. 고종 8년(1871) 전국의 서원 및 사우에 대한 대대적인 철폐 때에도 제외되어 지금까지 존속되고 있다. ![]()
![]() ![]()
![]() ![]()
![]() |
'문화재 > 경기유형문화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도유형문화재 제6호 (광주시) 연무관(演武館) (0) | 2010.06.28 |
---|---|
시도유형문화재 제5호 (광주시) 침괘정(枕戈亭) (0) | 2010.06.28 |
시도유형문화재 제3호 (광주시) 청량당(淸凉堂) (0) | 2010.06.28 |
시도유형문화재 제2호 (광주시) 숭렬전(崇烈殿) (0) | 2010.06.09 |
시도유형문화재 제1호 (광주시) 수어장대(守禦將臺) (0) | 2010.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