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당에 자리잡은 혈장을 잡아내는 것이 목적인 풍수에 있어서 명당주위 에 지형지세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하는 문제는 풍수의 이해에 매우 중요한 대목이라 생각된다. 명당 주변의 지세에 관한 풍수이론을 통칭하 여 장풍법이라고 하며, 결국 장풍법을 통하여 정혈도 이루워지는것인 만 큼 실제로 도읍이나 주택 혹은 음택을 상지함에 있어서 장풍법이 바로 요체라 하여도 과언이 아닐정도이다. 데 이 음양의 기는 내뿜으면 바람이 되고 오르면 구름이 되고 분노하면 우뢰가 되며 떨어지면 비가 되고 땅속을 흘러 다닐 때는 생기가 된다. 풍이나 생기를 모두 음양이기로부터 생겨난 동질이체의 것으로 보고 있다. | ||
뿐으로 양이란 음(陰)의 체(體)요, 음(陰)은 양(陽)의 용(用) 「太初之始本是一陽之氣一升一降分而爲二 二有陰陽之名然陽爲陰之體陰爲陽之用」에 지나지 않는다. 그런데 이처럼 중요한 기가 바람을 타면 흩어 져 버리고 물에 닿으면 머문다는 것이다. 따라서 장자(葬者)가 생기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법술을 바람 과 물 즉 풍수라 일컫게 되었다는 것이 장서의 주장이다. | ||
「經曰 氣乘風則散界水則止 故謂之風水」라 하여 풍수의 법수은 물을 얻고 바람을 막는 방법을 얻는데 풍수지법(風水地法) 득수위상(得水 爲上) 장풍차지(葬風次之)에 중점을 두게 된다. 바람은 지중에서 발생 하는 생기를 흩어버리므로 생기를 포옹하고 음양의 원기를 지닌 바람을 잡아 모을 수 있다면 풍수가 노리는 목적이 공(供)할 가능성이 있기 때 문이다. 여기에 장풍의 필요성이 생긴다. 이것을 바람을 막은 것이 아니 고 불어서 흩어지고 사라져가는 바람을 잘 끌어들여 간수하자는 장풍의 의미로 보아야겠지만 실제 상지(相地)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없을것으로 여겨진다. | ||
이것을 장서에서는 [古人聚之便不散行之便有止表現]라 하였다. 혹은 장풍법을 이렇게 설명할 수 도 있다. 그 요형중앙에 혈을 정하는 것이 음양조화에 맞으므로 그것을 찾는 방법이 장풍법이라는 견해이다. 철형양내(凸形陽來)의 래용과 요형양수(凹形陽受)의 중앙분지(中央盆地)가 마주치는 곳에 생기가 넘쳐 흐르리라는 판단일 것이다. | ||
學者自當精究也 風來骸骨與泥同 | ||
「艮山切忌 巽拗風요, 巽乾二位 馬頭峯요, 坤山忌 震坎上艮요, 震山又 遇乾空요, 離山忌 坤兌忌坎요, 某風某向方不忌」라. |
'풍수지리 > 풍수지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행론 (0) | 2008.06.15 |
---|---|
나경패철론 (0) | 2008.06.15 |
수세론 (0) | 2008.06.15 |
주역 64괘 일람표 (0) | 2008.06.13 |
풍수지리학(風水地理學) (0) | 2008.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