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의 문신 심동신(1824∼?)이 입던 금관조복 중 금관 1점이다. 금관은 조복에 갖추어 쓰던 모자로 양관(梁冠)이라고도 하는데, 량(梁)은 모자의 앞면에서 꼭대기를 지나 뒷면까지 연결되어 붙여진 금색선을 말하며, 그 수에 따라 계급이 구분된다. 이 금관은 5량관으로, 1품의 관리가 쓰던 금관이다.
금관의 모양은 원통형인데 머리둘레와 뒷면 전체에 금칠이 되어 화려하고 윗부분은 검은 비단으로 싸여 있다. 뒷면은 금칠한 나무비녀 2개를 꽂아 고정하였고 비녀의 양 끝에는 술을 감아 늘어 뜨렸다.
이 금관은 1948년 석주선씨가 심동신의 7대 손자며느리로부터 인수받았다고 하며, 1890년대를 전후한 구한말의 유품으로 추정된다.
|
무기 연당은 칠원천이 흐르는 평지에 위치하고 있다. 붉은 정려로 장식된 주씨 고가가 있고 이 안에 무기 연당이 위치한다. 무기 연당은 주씨 고가에 딸린 정원이며, 주씨 고가는 1700년대에 지었다.
1728년(영조 4) 이인좌의 난을 평정하는데 공을 세운 국담(菊潭) 주재성(周宰成, 1681~1743)을 기리기 위해 지었다. 대문채를 통해 진입하면 한서문을 통해 무기연당이 위치하는 공간 내부로 들어 갈 수 있는데, 정방형의 연당을 중심으로 좌측에 하환정이 있으며, 우측에 충효각와 영정각이 위치한다. 연당의 위쪽에는 풍욕루라는 누각이 있다. 연당의 서북쪽에는 주재성의 종택인 함안 무기리 주씨 고가(경상남도 민속자료 제10호)가 위치하고 있다.
직사각형의 연당은 길이 20미터, 폭 12.5미터로 민가 정원에서는 보기 드문 큰 규모이다. 연당의 둘레에는 자연석으로 두 단의 석축을 쌓고, 연목 가운데 기암괴석으로 원형의 당주를 만들어 봉래산을 상징하는 양심대(養心臺)를 만들었다. 이는 천원지방을 상징화한 음양화합형의 원리를 따라 조성한 것으로 천지가 화합해 있으니 곧 축소된 우주를 뜻하는 것이다. 또한 석가산의 돌에 봉황석(鳳凰石)과 백세청풍(百世淸風)이라는 글귀를 새겨 봉황과 더불어 노니는 도교적 이상세계를 구축하고 있다.
비교적 원형을 잘 간직하고 있는 무기 연당은 조선 후기 양반집 정원의 형식과 공간구조를 이해하는데 귀중한 자료이다.
※ 위 문화재는 일반적으로 관람이 가능하나, 소유주 등의 개인적 사정으로 관람이 제한될 수도 있습니다.
전문설명 김함(1568∼1598 본관 김해) 전남 영암에서 김극희의 아들로 태어나 1588년(선조21)에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宣傳官)에 이르렀고 임진왜란때에는 부친과 함께 이순신 장군의 휘하에 들어가 왜적과 싸웠다. 정유재란 당시 한산도 해전에서 부친이 순절하자 김함은 부친의 시신을 임시로 안치한 뒤 적진에 들어가 싸우다 역시 순절하였다. 그 후 그의 시신을 거두지 못한 문중에서는 초혼장(招魂葬)을 하고 그의 의복으로 장을 치렀다. 묘비에는『선무공신(宣武功臣) 선전관(宣傳官) 김공(金公) 의리장비(衣履藏碑)』라는 묘명이 기록되어 있다.
1985년 문중에서 그의 묘가 있던 영암군 학산면 학계리 산2번지에서 같은 묘역내 다른곳으로 이장하던 중 묘에서 이중목관과 함께 다수의 의류와 부장품들이 발견되어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되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1661435DE335EB0E)
아청색 화문단 솜누비장옷 ![](https://t1.daumcdn.net/cfile/blog/99D753435DE335EC05)
김함의묘출토의복 ![](https://t1.daumcdn.net/cfile/blog/99D9B2435DE335ED0F)
김함의묘출토의복(솜저고리) ![](https://t1.daumcdn.net/cfile/blog/99AFEE435DE335EE0B)
김함의묘출토의복
![](https://t1.daumcdn.net/cfile/blog/99D0E84A5DE337F410)
김함의 묘 출토 의복 중 모자
![](https://t1.daumcdn.net/cfile/blog/99E527435DE335EF0F)
김함의묘출토의복 ![](https://t1.daumcdn.net/cfile/blog/99DABC435DE335F00E)
김함의묘출토의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