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 숲이 우거진 동산 기슭에 남향으로 자리잡고 있는 집으로 조선 중기의 문신 계서 성이성(1595∼1664)이 조선 광해군 5년(1613)에 지었다고 전한다. 성이성은 문과에 급제한 후 6개 고을의 수령을 지냈고, 3차례나 어사로 등용되었을 정도로 청렴한 관리로 이름이 높았다. 사랑채는 후에 넓히거나 다시 지은 것으로 추측된다. 아래쪽 마당 끝에 대문간채를 두고 그 북쪽 높은 곳에 사랑채와 안채가 하나로 연결되어 ㅁ자형 집을 이루고 있다. 대문간을 들어서면 비교적 넓은 사랑마당이 있고 맞은편 높은 곳 서쪽에 중문간채가 있다. 동쪽에는 사랑채가 자리잡고 있고, 사랑채 서쪽의 중문으로 들어서면 안채가 있다. 또한 동북쪽에 따로 담장을 둘러 사당을 배치하였다. 이곳의 안채와 사랑채는 다른 곳과는 다른 특징을 보이고 있다. 안채는 도장방이 많은 것이 특징이고, 사랑방은 대부분 홑집으로 구성하는데, 이 집은 겹집으로 만들어 안채의 날개집 구조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안채부분은 약간 변형은 되었지만 경북 북부지방 ㅁ자 민가의 옛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집으로 주택발달사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
전문설명
조선 중기의 문신(文臣) 계서(溪西) 성이성(成以性)(1595∼1664)은 창녕인(昌寧人)으로 남원부사(南原 府使)를 지낸 부용당(芙蓉堂) 성안의(成安義)의 자제(子弟)이며 인조(仁祖) 5년(1627) 문과(文科)에 급제한 후 진주부사(晋州 府使) 등 6개 고을의 수령을 지냈고, 세차례나 어사(御使)로 등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사생활과 마음이 아울러 검소하여 훗날에 부제학(副提學)을 추서(追敍)받았으며 청백리(淸白吏)로 이름이 높았다. 본 건물은 그가 광해군(光海君)5년(1613)에 건립하였다고 전하는데 사랑채 부분은 후대에 증개축(增改築)된 것으로 추측된다.
후방(後方)의 숲이 우거진 동산을 배경으로 건물을 남향으로 배치하였다.
솟을대문이 달린 행랑채는 논의 가장자리 평지에 세웠으나 몸채는 뒷동산의 경사진 산록에 올려놓아 우뚝하게 솟아 보이고 앞쪽의 논들을 부감(俯瞰)할 수 있으며, 우측으로 10여미터 떨어져서 일곽의 토담을 두르고 사당을 배치하였다.
안채 부분을 안마당에서 바라보면 정면 3칸 대청(大廳)의 좌우에 안방과 상방이 대칭적으로 놓여져 있고 이 안방과 상방의 뒤쪽에는 각각 반칸크기의 도장방이 자리잡고 있다. 그런데, 대청의 좌측칸 즉 안방 측칸의 뒤쪽에도 안방의 것과 같은 크기의 도장방이 설치되어 있고, 그 앞 마루의 기둥에 걸린 상방(上枋)에는 고미받이를 걸치고 고미혀를 끼웠던 흔적들이 남아 있으며, 기둥의 측면에는 가시새를 설치하여 벽을 쳤던 자국이 남아있다. 따라서 이 마루 1칸은 원래는 온돌방으로 안방과 연결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안방 부엌은 마당쪽으로 2칸통(間通)으로 길게 뻗어 중문간(中門間)이 있는 앞채와 직교(直交)하였으며 상방 앞의 부엌은 칸반(間半)을 내밀어 사랑채 부분과는 1m 가량 틈을 두었다.
안대청 상부는 오량가(五樑架)로 제형(梯形) 판대공(板臺工)을 세웠고 기둥은 방주(方柱)에 자연석 주초를 놓았다. 앞채의 중문간은 사랑채와 연접하였고 좌측에는 고방 2칸이 배치되었으며 좌단(左端)의 모방 1칸이 돌출되어 있다. 사랑채 부분은 전면 3칸, 측면 3칸의 9칸집으로 전면 3칸과 우측면 2칸에 ㄴ자형의 마루를 설치하고 기둥 바깥으로 헌함을 돌렸다. 마루의 뒤쪽에는 사랑방, 책방, 사랑웃방 등을 배치하여 구색을 갖추었으며 마루의 양측면은 널벽으로 꾸미고 각 칸에 널문을 달았다. 사랑채의 정면은 누다락같이 꾸몄는데 누하(樓下) 방주 사이는 잡석쌓기 위에 토벽을 쳐서 막았고 누상(樓上) 방주(方柱)의 머리에는 주두(柱頭)를 놓았으며 퇴보와 결구된 처마도리 밑에는 둔중(鈍重)한 모양의 첨차를 놓았다. 마루 상부 천장은 합각 밑에만 우물반자를 설치하였다.
이 집의 안채부분은 경북 북부지방 ㅁ자 민가의 고태(古態)를 간직하고 있으며 약간 변형은 되었으나 복원 가능한 상태로서 주택 발달사 연구의 좋은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3D5D3B5DED144C26)
전경 ![](https://t1.daumcdn.net/cfile/blog/99AC833B5DED144D2B)
안채 전경 ![](https://t1.daumcdn.net/cfile/blog/999C493B5DED144E23)
안대청에서 바라본 솟을대문 ![](https://t1.daumcdn.net/cfile/blog/99622E3B5DED144F25)
안대청 상부가구 ![](https://t1.daumcdn.net/cfile/blog/99628C3B5DED145125)
사랑방 내부 ![](https://t1.daumcdn.net/cfile/blog/99D4ED3B5DED14522A)
사당 ![](https://t1.daumcdn.net/cfile/blog/99F2063B5DED145329)
중문간채와 사랑채 ![](https://t1.daumcdn.net/cfile/blog/9908EE3D5DED145429)
가평리계서당사랑채 ![](https://t1.daumcdn.net/cfile/blog/9976AF3D5DED145538)
사당 전경 ![](https://t1.daumcdn.net/cfile/blog/9969BC3D5DED145607)
사당 ![](https://t1.daumcdn.net/cfile/blog/9936BE3D5DED145832)
사랑채 ![](https://t1.daumcdn.net/cfile/blog/99AD923D5DED14592D)
성이성 소나무 ![](https://t1.daumcdn.net/cfile/blog/99D75C3D5DED145A2B)
솟을대문 ![](https://t1.daumcdn.net/cfile/blog/995D413D5DED145B30)
전경 ![](https://t1.daumcdn.net/cfile/blog/9949E4415DED145C03)
현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