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때 돌로 쌓은 산성으로 능선을 따라 5각형에 가까운 형태를 띠고 있다.
현재 성 안의 특별한 시설물들은 확인되지 않고 있으며 성의 내력에 대해서는 『하동군읍지』가 유일한 자료이다. 이 기록과 성의 위치 및 규모로 보아 신라가 군사적 목적으로 쌓은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는 5세기 전반 고구려 광개토왕이 신라를 거쳐 왜군을 토벌하면서 남하했을 때 쌓은 고구려 계통의 성으로 보는 의견도 제시되고 있다.
성벽은 네모나게 다듬은 돌과 자연석을 사용하여 견고하게 쌓았다. 산성의 동·북·서·남면은 성벽이 거의 완전하게 남아있으나, 서남쪽 섬진강을 굽어보는 구간은 거의 허물어져서 돌무더기만 남아있다.
지리산의 험한 산줄기를 뒤에 두고 섬진강이 앞을 가로막는 천연의 요새로서 남해에서 호남지방으로 들어가는 중요한 길목이다. 이러한 지형을 이용하여 크고 견고하게 지은 산성이다.
전문설명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에 있는 신라 시대의 석축 산성으로 성벽 둘레는 약 800m이다. 높이 300m정도의 능선을 따라 5각형에 가까운 평면으로 쌓은 산복식석성(山腹式石城)으로 현재 성내에 특별한 시설물들은 확인되지 않는다.
이 성의 내력에 대하여는 하동군읍지(河東郡邑誌)가 유일한 자료인데, 이 기록과 성의 위치 및 규모로 보아 신라나 백제가 군사적 목적으로 이성을 쌓은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는 이 산성이 5세기 초에 고구려 광개토왕이 신라를 거쳐 왜(倭)를 토벌하면서 남하하였을 때 축조한 고구려 계통의 성으로 보는 의견도 제시되어 있기도 하다. 성벽은 장방형의 가공석과 자연석으로, 바닥 너비 6m, 윗너비 2m, 높이3.5∼4.5m의 단면 사다리꼴로 견고하게 축조하였다. 산성의 동·북·서 삼면은 성벽이 거의 완전하게 남아 있으나, 서남쪽의 섬진강을 굽어보는 구간은 거의 허물어져서 돌무더기만 남아 있다.
이곳은 지리산에서 서남향으로 뻗어 내린 산맥이 섬진강에 의하여 끊어지면서 강의 양쪽은 험준한 비탈을 이룬 곳이다. 그러므로 뒤로 준령을 등지고 섬진강의 큰 강이 앞을 가로막은 천연의 요해지(要害地)로서 남해에서 호남 지방으로 들어가는 중요한 길목이다. 이러한 지형을 이용하여 웅장한 규모와 견고한 축성법(築城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산성(山城)의 한 예라 하겠다.
고소성원경 성벽근경 성벽근경 성벽근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