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풍수게시판

10. 사격(砂格)의 종류(種類)

오늘의 쉼터 2008. 2. 14. 21:43

 

사격(砂格)의 종류(種類)

 

 

(1) 청룡(靑龍)과 백호(白虎)

혈장을 중심으로 좌측에 있는 산을 청룡  우측에 있는 산은 백호라한다 .

(청룡백호의 역할을 보면)

1. 외부의 바람이 혈을 침범하는 것을 막아준다.

생기는 바람을 타면 흩어지므로 이를 막아주는 것이 있어야 한다.
2. 자신이 품고있는 기운을 혈에 공급해준다.

청룡백호가 수려하면 좋은 기운이, 험하고 탁하면 나쁜 기운이 혈로 보내진다.

따라서 청룡백호는 항시 다정한 모습이어야 한다.
청룡백호는 주산에서 나온 것도 있고, 객산에서 나와 생긴 것도 있다.

또 혈 바로 옆에 있는 내청룡, 내백호가 있는가 하면, 그 뒤쪽으로 외청룡, 외백호가 있다.

어느 것이든 혈을 잘 감싸주는 것이 좋은 것이다.
혈을 맺는데 반드시 청룡백호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평전(平田)에 맺는 혈과 같이 무용호무안산 혈도 있다.

그러므로 생기보호를 대신하는 것만 있다면 청룡백호에 크게 구애받지 않아도 된다.

혈을 결지 하는데는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용과 혈이다.

용진혈적하지 않고는 어떠한 혈도 있을 수 없다.

청룡백호가 아무리 좋아도 용과 혈이 없으면 무용지물이다.

 항상 ‘용혈이 먼저고, 사수는 다음’이라는 원칙을 명심해야 한다.

청룡은 주로 남자와 귀(貴)를 관장한다. 백호는 여자와 부(富)를 관장한다.

또 청룡은 장남궁(長男宮)으로 본손(本孫) 장남과 4, 7, 10번째 자손을 관장한다.

백호는 지손(支孫), 서손(庶孫)과 3, 6, 9번째 자손을 관장한다.

명당과 안산은 부인과 2, 5, 8번째 자손을 관장한다. 이것이 일반적인 화복론이다.

그러나 이러한 화복론은 전적으로 믿을 것이 못된다.

인자수지(人子須知)에서도 이러한 화복론에 현혹되지 말라고 강조하였다.

청룡백호는 멀리 있는 것보다는 가까이 있는 것이 더 중요하고 소중하다.

청룡백호가 가까이서 혈을 다정하게 감싸고 있으면 속발한다.

 

(2) 안산(案山)과 조산(朝山)

안산(案山)과 조산(朝山)은 혈 앞에 있는 산이다.

혈과 정면으로 있는 가장 가까이 있는 산을 안산이라고 한다.

 안산 뒤로 있는 산들은 모두 조산이다.

비유하자면, 안산은 귀인(貴人) 앞에 놓인 책상과 같다.

조산은 귀인을 찾아온 손님으로 책상 건너편에서 주인에게 예를 드리는 것과 같다.

안산과 조산이 단정하고 아름답게 혈을 향해 있으면 좋은 보국(保局)을 이룬다.

장풍(藏風)은 물론 원진수의 직거를 막는다.

그리고 명당을 주밀하게 하여 혈지의 생기를 흩어지지 않게 보호해준다.

중요한 것은 안산과 조산이 아무리 좋아도 용과 혈이 부실하면 아무런 쓸모가 없다.

용진혈적하고 청룡 백호를 비롯해서 안산과 조산이 혈을 향해 수려 양명하게 있으면 매우 길한 혈이 된다. 또 혈의 대혈(大穴)과 소혈(小穴)의 구분은 용과 혈의 역량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혈 주위에 있는 사격(砂格)이나 수세(水勢)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다.

사격으로 둘러싼 보국이 크다고 하여 대지가 되는 것은 아니다.
옛말에 “백리내룡(百里來龍)에서는 백리의 국세(局勢)가 나의 것이고, 천리내룡(千里來龍)에서는

천리의 국세가 나의 것”이라는 말이 있다. 이는 용혈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표현 한 것이다.

 

(3) 귀성(鬼星)과 낙산(樂山)

귀성(鬼星)과 낙산(樂山)은 혈 뒤를 받쳐주고 있는 산이다.

직룡입수하는 혈은 주산과 현무봉이 뒤를 받쳐 주므로 귀성과 낙산이 필요하지 않다.

그렇지만 횡룡입수하는 혈은 혈 뒤가 허약하고 비어 있다.

반드시 뒤를 지탱해주고 바람을 막아주는 산이 필요하다. 

1) 귀성(鬼星)
 횡룡입수(橫龍入首)하여 결지하는 혈에는 반드시 귀성이 있어야한다.
귀성이 붙어 있는 위치에 따라 횡룡입수하는 용과 혈의 위치를 알 수가 있다.

귀성이 높게 붙어 있으면 혈도 높은 곳에 있다. 낮은 곳에 있으면 혈도 낮게 결지한다.

귀성이 오른쪽에 있으면 혈도 오른편에 있으며, 귀성이 왼쪽에 있으면 귀성도 왼편에 있다.

귀성이 가운데에 있으면 혈도 귀성을 밀어주고 있는 가운데에 있다.

귀성은 입수룡 반대 측면에 붙어 있는 작은 지각으로 용과 혈을 지탱해주는 역할을 한다.

때문에 지나치게 길거나 변화 생동하면 오히려 입수룡의 기운을 빼앗아 간다.
귀성은 작고 아름다워야 하며, 깨끗하고 밝아야 한다.

귀성을 부사(富砂)라고도 하는데, 횡룡입수하는 혈은 대개 치산갑부(治産甲富)가 기약되기 때문이다.

2) 낙산(樂山)
낙산(樂山)은 횡룡입수하는 용의 뒤를 받쳐 주면서 서있는 산이다.

혈 뒤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막아주고, 혈의 허함을 보충해준다. 횡룡입수혈의 베개와 같은 산이다.
귀성은 반드시 주룡의 본신에 붙어 있어야 한다.

그렇지만 낙산은 주룡의 본신에서 나온 산이든 외부에서 온 객산이든 상관없다.

어느 것이든 혈 후면을 가깝고 단정하게 잘 보호해주면 된다.

낙산은 혈에서 뒤를 돌아보았을 때 보이는 것이 최고다.

혈에서는 보이지 않더라도 내명당에 내려와 보았을 때 보여야 낙산이라고 말할 수 있다.

혈장이나 내명당에서 조차 보이지 않으면 낙산이라고 말 할 수 없으므로 흉하다.
만약 낙산에서 득수한 물이 혈 후면을 감아주고 돌아 나와, 다시 혈 앞으로 가로질러 흘러가면

매우 귀한 것이다.

낙산의 종류에는 특락(特樂), 차락(借樂), 허락(虛樂)이 있다.

특락은 멀리서부터 온 객산이 혈 후면을 겹겹이 중첩되게 감싸준 것이다.

이는 부귀왕정(富貴旺丁)하는 최고로 길한 낙산이다.
차락은 본신룡에서 나온 산이든 객산이든 상관없이 혈 후면에 횡으로 서있는 산이다.

 마치 병풍을 두른 것처럼 보인다. 특락 보다는 못하지만 부귀왕정(富貴旺丁)하는 길한 낙산이다.
허락은 낙산이 작고 낮으며, 산만하게 흩어져 있는 것을 말한다.

혈 후면을 보호해주지 못하므로 흉하다.

후면이 낮으면 바람이 혈을 충사(?射)한다.

이를 음곡살풍(陰谷殺風)이라 하여 인망손재(人亡損財)를 당한다.

 

(4) 하수사(下水砂)

혈 아래에 붙어있는 작은 능선으로 혈장을 지탱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 용맥을 보호하면서 따라온 원진수가 직류하지 않도록 해주는 역할도 한다.

원진수가 곧장 빠져나가면 원진직거(元辰直去)가 되어 매우 흉하다.

혈의 생기를 뽑아 나가기 때문이다.

원진수의 직거를 막아주고 혈의 생기를 보호하는 것이 하수사의 소임이다.

생기를 보호하는 물이 곧장 흘러가지 않도록 역수(逆水)시켜 혈의 생기가 흩어지지 않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하수사는 혈장 아래에서 손 팔처럼 혈을 앞에서 감아주어 원진수(元辰水)를 걷어준다 하여

하수사(下手砂), 하비사(下臂砂), 역관사(逆關砂)라 하기도 하고 하수사가 있는 혈은 부자가

된다하여 재사(財砂)라 불리기도 한다.

하수사를 재사(財砂)라고 하는 것은 풍수지리에서 물은 재물을 관장하므로 하수사가 겹겹이

중첩되어 물을 잘 거두어들이면 그만큼 재물이 모인다는 뜻에서 말한 것이다.

하수사가 짧거나 순수하면 빈곤하게 된다.

 

(5) 수구사(水口砂)

물이 흘러나가는 파구(破口)에 있는 작은 산이나 바위다.

수구사가 있으면 물이 직선으로 빠르게 나가지 못하도록 물길을 막아 유속(流速)을 느리게 함으로서

혈 앞을 지나는 양(陽)인 물이 음(陰)인 용과 충분하게 음양충화(陰陽庶和)를 하여 혈을 결지(結地)

하도록 하고, 명당(明堂)의 기운을 보전하여 생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수구사는 주로 청룡과 백호 끝에 붙어 있는 작은 산이나 바위이거나 물 가운데 있는 암석을 말한다.

내청룡 내백호가 서로 교차하여 만나는 곳이 내수구(內水口)이고, 외청룡 외백호가 서로 교차하여

만나는 곳이 외수구(外水口)다. 청룡 백호가 주밀(周密)하게 감싸주면 수구는 매우 좁아지는데

이를 쪽배 하나 통과 할 수 없다하여 불능통주(不能通舟)라 하고 자물쇠로 문을 잠근다 하여

관쇄(關鎖)라고 한다.

만약 수구가 관쇄되지 않아 명당수(明堂水)가 급류직거(急流直去)하면 물과 용의 음양충화(陰陽庶和)가

불가능하여 혈을 결지 할 수 없으며 물은 재물을 관장하므로 재산이 빠르게 빠져나가 도산패가

(倒産敗家)한다는 것이 풍수지리의 이론(理論)이다.

혈을 찾을 때도 수구에 들어서서 수구에 있는 사격(砂格)을 보고 혈의 결지(結地) 여부와 대소(大小)

여부를 판단한다.

수구에 일월형(日月形), 기고형(旗鼓形), 창고형(倉庫形), 금고형(金庫形), 귀사형(龜蛇形), 인형(印形),

홀형(笏形), 상형(箱形), 통형(筒形), 어형(魚形)등 기암괴석(奇巖怪石)이 있으면 매우 길한 사격이다.
그러나 시신사(屍身砂)등 흉한 암석이 있으면 익사자(溺死者)가 나오는 등 매우 흉한 사격이다.

 사격(砂格)이 수구를 관쇄(關鎖)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청룡 백호 양쪽 능선이 서로 교쇄하는

방법과 물 가운데 금성(禽星)이라고도 불리는 기암괴석이 서 있어 파구처(破口處)를 주밀하게 관쇄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이 수구처를 관쇄하는 방법과 모양에 따라 수구사(水口砂)를 크게 한문(?門), 화표(華表),

북신(北辰), 나성(羅星)등으로 분류한다.

1) 한문
수구의 양쪽 물가에 산이나 바위가 마주보고 서 있는 것을 한문(?門)이라고 한다.

마치 대궐문을 지키는 수문장과 같은 모습으로 물의 직거(直去)를 막아준다.

수구가 보국(保局)의 대문 또는 출입문이라면 한문은 그 대문의 양쪽 문기둥

즉 문설주(門說柱)에 해당된다.

한문의 형태가 기이하고 존엄하여 마치 대궐문 양쪽에 서있는 사자상 같거나, 해나 달 모양이거나

깃발 또는 북 모양으로 생기고, 그 간격이 조각배 하나 지날 수 없는 불능통주(不能通舟)로 좁다면

수구 안에는 백세부귀(百世富貴)가 기약되는 대혈이 있다는 증거가 된다. 

2) 화표(華表)
화표(華表)는 수구(水口) 한문( 門) 사이 물 가운데에 있는 바위로 유속을 느리게 하는 역할을 한다.

화표가 있어 수구가 관쇄 된다면 수구 안에는 진혈(眞穴)이 있다는 증거가 된다.

3) 북신(北辰)
북신(北辰)은 수구 한문 사이 물 가운데에 화표보다는 괴이하게 생긴 바위가 용, 거북, 잉어, 창고,

금궤 같은 형상을 하고 있는 기암괴석(奇巖怪石)을 말한다.

북신은 대부귀(大富貴)를 상징하는 것으로 용진혈적(龍盡穴的)한 혈의 수구에 부신이 있으면

왕후장상(王侯將相)이나 국부(國富)가 나와 만세영화지지(萬世榮華之地)가 된다.

4) 나성(羅星)
나성(羅星)은 수구의 수중(水中)에 돌이나 흙이 점차 퇴적하여 쌓여진 작은 섬으로 물의 직류나 급류를

막아 물의 흐름을 완만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나성의 형태가 용이나 뱀, 거북, 잉어 등 영물의 형상을

하고 있으면 대귀(大貴)와 대부(大富)가 기약된다.

특히 나성이 머리를 위로하고 꼬리를 아래로 하여 마치 물을 거슬러 올라가는 모양이면 등문(登門)의

상징이다.
 

(6) 관성(官星)

관성(官星)은 안산이나 조산 뒷면에 붙어있는 사격으로 안산이나 조산의 기운을 혈 쪽으로 밀어주어

혈의 발복을 더 크게 하는 역할을 한다. 
관성은 혈에서 보이지 않는 것이 대부분이나 간혹 보이는 것도 있다.

혈에서 안산 뒷면의 관성이 보이는 것을 현세관(現世官) 또는 현면관(現面官)이라 하여 매우 귀한 것이며, 속발하여 당대에 현관(顯官)이 기약된다.

관성은 크기나 모양에 상관없이 모두 길한 것이나 작은 것보다는 큰 것이, 보이지 않는 것보다는

보이는 것이 더욱 좋은 관성이다. 

 

(7) 요성(曜星)

요성(曜星)이란 주룡의 기운이 왕성하여 혈을 결지하고도 그 기운이 남아 용신(龍身)이나 혈장(穴場)

혹은 명당 좌우에 창과 같이 뾰족하게 붙어있는 사격이다.

요성은 흙이나 바위로 되어 있으며 위치는 정해져 있지 않으므로 용이나 혈장, 명당, 수구, 청룡, 백호 등

어느 곳에서나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요성이 창이나 화살같이 뾰족 하게 첨리(尖利)하여 흉성(凶星)인 살성과 비슷하므로 구분이 쉽지

않다. 이를 구분하는 기준은 용과 혈에서 찾아야 한다.
용진혈적(龍眞穴的)한 곳에서는 날카롭다 하더라도 길격(吉格)인 요성이 되지만, 비혈지에서는

흉격(凶格)인 살성(殺星)이 된다.

이를 사람에 비유하면 장군이나 높은 관직에 있는 사람이 칼을 차고 다니면 보검이 되지만 강도나 깡패

같은 빈천한 사람이 칼을 가지고 다니면 흉기가 되어 흉악무도한 일에 상용하는 것과 같다. 


(8) 나성(羅城)
혈을 중심으로 사방 팔방에서 혈을 둘러싸고 있는 모든 산을 나성(羅城)이라고 한다.

혈에서 멀리 있는 산들은 그 모습이 마치 성곽을 두른 것처럼 둥글게 이어졌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나성은 하늘의 지존성(至尊星)을 수많은 별들이 둘러싸고 있는 형세와 같다하여 나성원국(羅城垣局)

또는 원국(垣局)이라고도 한다. 나성은 혈과 보국의 안정과 기운을 감싸고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나성원국은 혈을 둘러싸고 있는 모든 산들이 빈틈없이 겹겹이 있고, 국세는 넓고 광활하면서 평탄

원만한 것이 길격이다

 

 

 

 

 

'풍수지리 > 풍수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 移葬과 合葬때 지켜야할 조건  (0) 2008.02.14
11. 이장(移葬)할때 택일 방볍  (0) 2008.02.14
9. 용의 3출맥(三出脈)  (0) 2008.02.14
8. 水勢(물의 形勢)  (0) 2008.02.14
7. 穴의 四相과 禍福  (0) 2008.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