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국가무형문화재

국가무형문화재 제10호 나전장

오늘의 쉼터 2008. 2. 7. 22:43





종     목

국가무형문화재  제10호

명     칭

나전장 (螺鈿匠)

분     류

무형문화재 / 전통기술 / 공예

수량/면적

개인

지 정 일

1966.06.29

소 재 지

기타

시     대

삼국시대

소 유 자

나전장 : 송방웅. 이형만.

관 리 자

ㅁㅁ

일반설명

나전장은 나무로 짠 가구나 기물 위에 무늬가 아름다운 전복이나 조개껍질을 갈고 문양을 오려서 옻칠로 붙이는 기술이다. 나전칠기의 제작과정은, 나무로 기본 틀인 백골을 짜고 그 표면을 사포로 문지르거나 틈새를 메워 고르게 한 다음 자개를 붙인다. 그 후 연마, 옻칠, 광내기 과정을 거쳐 완성한다. 자개로 무늬를 만드는 방법에는 자개를 실처럼 잘게 자른 '상사'로 기하학적인 문양을 만드는 끊음질 기법과, 자개를 문질러 얇게 만들어 국화, 대나무, 거북이 등 각종 도안 문양을 만드는 줄음질 기법이 있다. 나전 무늬는 고려시대와 조선 전기에는 모란·국화·연꽃 등의 식물무늬가, 조선 중기에는 화조·쌍학·포도· 사군자 등의 무늬가 주로 사용되었다.

나전칠기를 만드는데 가장 중요한 재료는 옻나무 수액인 칠과 자개이다. 자개의 재료는 전복, 소라, 진주조개가 주로 사용되며, 남해안과 제주도 근해에서 나는 것이 아름답고 우수하다. 현재 나전칠기로 가장 유명한 지역은 경남 통영이며 강원도 원주는 우수한 옻칠 생산지로 널리 알려져 있다.


전문설명 

 

칠기의 기원이 언제인가는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중국의 기록에는 한(漢)대에 있었다고 보이고, 우리나라에서는 낙랑고분(樂浪古墳)에 칠기가 보이고 신라의 관직제도에 칠전(漆典)이 보이니 삼국시대 이전부터 있었다고 할 수가 있겠다.

식리총(飾履塚), 호우총(壺우塚), 무녕왕능(武寧王陵) 등에서도 이미 출토된 예가 있는데 그것들은 포심(布心)이나 목심 칠기(木心漆器)들로서 주(朱)흑칠(黑漆) 외에도 채화(彩畵)한 것이 대부분이나 오늘날 보는 것과 같은 나전칠기가 있었다는 흔적은 아직까지 확인하지 못하고 있다. 다만 호우총에서 출토한 가면(假面)은 목심(木心)에 흑칠을 하고 눈알을 유리로 상장(嵌裝)한 것과 같은 예가 칠기의 선편(先鞭)을 이루는 것이 되었다고도 생각된다. 고려에 이르면 기록이나 유례(遺例)가 앞 시대에 비해 많고,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더욱 많다.

현재의 나전칠기장 김봉룡(金奉龍)은 경상남도 충무시 태생이다. 최초의 나전장 보유자로 인정된 고 김봉룡은 17세 때부터 충무에서 당시의 명장(名匠) 박정수(朴貞洙)에게 사사하고 뒤이어 근세 나전칠기 제작의 개척자의 하나라 할 김성규(金成圭) 문하에서 수업을 거듭하였고 1994년 사망으로 보유자 인정이 해제되었다. 특히 그의 기능에서 두드러지는 것은 당초문(唐草文)으로서 가늘고 길고 아름다운 선은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해방 전부터 일본, 불란서 등지의 박람회에 출품하여 수상하였고, 조선미술전람회에 14회에 걸쳐 입선을 거듭하였으며 해방 후에는 국전추천작가로서 후진 양성과 우리나라 나전칠기공예의 발전을 위해 일하고 있다.

나전칠기는 목심(木心)인 경우 다음과 같은 공정(工程)을 거쳐서 만들어진다. 소목장(小木匠)이 만든 바탕을 해어피 나 사포로 문지르며 사포질을 하고 돼지털솔로 생칠(生漆)을 하여 하룻밤을 재운다. 생칠에 톱밥과 밥풀을 섞어 백골 바탕의 이음새나 트집이 난 데를 메운다. 생칠과 쌀풀을 섞어서 삼베나 무명천을 백골에 씌워 바른다. 그 위에 뼈가루나 숯가루 또는 황토(黃土)를 고열에서 구워 얻은 가루들을 생칠과 풀을 섞은 것으로 반죽하여 베위에 발라서 바탕이 곱게 한다. 이를 고래바르기라 한다. 고래바르기를 마친 바닥을 물을 주면서 숫돌로 갈아 바닥이 고르고 반드럽게 다스린 다음 한 번 고래바르기를 하고는 아교를 바른 자개를 인두로 지지며 자개붙임을 한다. 이 공정을 자개붙임이라고 하며 주로 근해에서 잡힌 전복껍질을 많이 사용한다. 자개붙임이 끝나고 풀이 마르면 자개 밖으로 묻어난 풀을 열탕(熱湯)으로 재빨리 문질러 없앤다. 자개를 붙인 곳에 생칠을 한 번 더 올리고 고래바르기를 또 하고 숫돌로 갈고 중칠을 바른 다음에 숯으로 갈아내고 하는 작업을 두세 번 거듭한 끝에 생칠로 마지막 칠(漆)을 한다. 상칠(上漆)이 마르면 숯으로 또 갈고 솜에 콩기름을 묻혀 초광(初光)내기를 하고 재광(再光)과 삼광(三光)을 낸 다음에 솜으로 닦아낸다. 이때야 비로소 나전칠기는 완성이 된다.

끊음질나전칠공예에 있어서 나전상감(螺鈿象嵌)은 여러가지로 나뉠 수 있으나 나전의 후박(厚薄)과 감입(嵌入)의 방법에 따라 크게 나뉘며, 제각기 공정에 차이가 있다. 두꺼운 자개를 사용할 경우가 있고 얇은 자개를 쓸 경우가 있으며, 드물게는 두 가지 종류를 병용하는 수도 있다. 감입의 방법도 상감할 자리를 음각해서 거기에 자개를 끼우는 경우와 자개를 먼저 붙여 놓고 그것을 칠(漆)로 발라 감입하는 방법이 있다.

그리고 나전으로 무늬를 다듬는 방법에도 끊음질과 줄음질의 두 가지가 있다. 끊음질은 자개를 거두로 가늘고 길게 따내어 상사를 만든 다음 날카로운 상사칼 끝으로 상사를 잘게 끊으며 기하문(幾何紋)이나 산수문(山水紋), 초화문(草花紋) 등을 표현하는 우리의 고유하고 전통적인 기법이다. 줄임질은 화조(花鳥), 십장생(十長生) 등을 가위로 오려내고 줄로 문질러 얻은 무늬를 붙이는 기법이다. 이 두 가지 방법이 따로 쓰이기도 하고 함께 쓰이기도 한다. 끊음질은 1910년대 이후 실톱이 사용되면서 그 간편함 때문에 차츰 자취를 감추게 되고 줄음질이 주류를 이루게 되면서 전통적인 나전칠공예가 지녔던 고유색과 특질에 결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심부길은 서울 태생으로 편성규 문하에서 쇠멸하려 했던 끊음질을 수업하여 평생을 전념해오고 있으며 특히 그의 끊음질로 된 기하학적인 연속문양의 미는 당대의 제일인자라 할 수가 있다.

끊음질의 재료는 주로 근해에서 잡히는 전복 암컷의 껍질을 쓴다. 끊음질에 쓰이는 연장이나 재료로는 숫돌, 인두, 자개솔, 자톱, 탄철, 집게, 줄, 송곳, 거두, 상사칼, 각도, 칠긁기칼, 사포, 솜, 소나무솔, 붓물감 등을 갖추어야 한다.

공정(工程)은 거두로 자개를 썰어 상사를 따내고 백골 바탕에 아교를 칠한 다음 칫수를 풀어 자로 간격을 맞추어 송곳으로 눈금을 친다. 백골에 칠한 아교를 혀로 핥으며 상사가 잘 붙도록 하여 오른손에 상사칼을 쥐고 왼손으로 상사를 집는데 상사의 끝을 검지손톱 끝에 살짝 끼고 상사의 중간을 엄지와 가운데 손가락으로 가볍게 누르면서 안에서 바깥쪽으로 칼질을 하며 끊어 나간다.

끊음질이 끝나면 무늬에서 벗어난 상사를 칼로 잘라낸다. 이를 누꼽을 뗀다고 한다. 그리고는 뜨끈한 물을 손에 묻혀 배어나온 아교를 닦아내고 말린 다음 얇게 칠을 올린다. 숫돌로 갈아내고 말려서 옻칠을 다시 한 다음 숯으로 갈고 솜에 콩기름을 묻혀 닦아낸 후 화조(花鳥), 수구(水龜) 등 무늬나 꽃잎, 깃털, 거북 등과 같은 곳은 살을 친다고 하여 각도(刻刀)로 새긴다.

심부길이 끊음질에 즐겨 쓰는 무늬는 다음과 같다. 국화(菊花), 거북, 미자구문, 싸리짝, 백문, 백문, 회포문, 반자문(회포꽃문), 동근수자싸리짝문, 대나무, 쌍희자, 아홉끝뇌문, 성틀뇌문, 거북뇌문, 국화뇌문, 세끝뇌문, 다서끝뇌문, 관사무늬, 삼각산무늬, 세모싸리문, 네모부자문, 네모귀자문, 산수문(山水紋) 등이 있다.




나전장-송방웅

나전장-송방웅

나전장-송방웅

나전장-이형만

나전장-이형만

나전장-이형만

나전장

자개붙임

상사톱으로자개그리기(줄음질)

나전상자

상칠

칠긁기

자개오리기

자개붙임

종이본걷어내기

나전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