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보물

보물 제35호 남원 실상사 석등

오늘의 쉼터 2008. 2. 3. 12:31


종    목 보물  제35호
명     칭남원 실상사 석등 (南原 實相寺 石燈)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석등
수량/면적 1기
지 정 일 1963.01.21
소 재 지 전북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 50 실상사
시     대통일신라
소 유 자실상사
관 리 자실상사

일반설명

실상사는 지리산 천왕봉의 서쪽 분지에 있는 절로, 통일신라 흥덕왕 3년(828)에 홍척(洪陟)이 선종 9산의 하나로 실상산문을 열면서 창건하였다. 이 석등은 실상사 보광명전 앞뜰에 세워져 있다.

석등은 불을 밝히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밑에 3단의 받침을 쌓고, 위로는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었는데, 평면은 전체적으로 8각형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받침부분의 아래받침돌과 윗받침돌에는 8장의 꽃잎을 대칭적으로 새겼다. 화사석은 8면에 모두 창을 뚫었는데, 창 주위로 구멍들이 나 있어 창문을 달기 위해 뚫었던 것으로 보인다. 지붕돌은 여덟 곳의 귀퉁이가 모두 위로 치켜올려진 상태로, 돌출된 꽃모양 조각을 얹었다. 머리장식에는 화려한 무늬를 새겨 통일신라 후기의 뛰어난 장식성을 잘 보여준다.

이 석등은 규모가 커서 석등 앞에 불을 밝힐 때 쓰도록 돌사다리를 만들어 놓았으며, 지붕돌의 귀퉁이마다 새긴 꽃모양이나 받침돌의 연꽃무늬가 형식적인 점 등으로 보아 통일신라 후기인 9세기 중엽에 만들어진 작품으로 보인다.

 

전문설명

 

경내< 境內 > 대광명전< 大光明殿 > 앞 원위치< 原位置 >를 고수< 固守 >한 이 석등< 石燈 >은 전형적< 典型的 >인 양식< 樣式 >에서 벗어난 고복형계< 鼓腹形系 >이다. 이는 전부재< 全部材 >를 완전히 갖추고 있을 뿐 아니라 등계< 燈階 >까지 구비< 具備 >하고 있다. 8각의 지대석< 地臺石 > 위에 폭좁은 기대석< 基臺石 >을 안치< 安置 >하고 각 측면에 안상< 眼象 >을 조식하였다. 귀꽃을 갖춘 하대연화석< 下臺蓮華石 >은 폭< 幅 >이 넓으며 판< 瓣 >안의 자엽< 子葉 >은 단형< 短形 >으로 선각< 線刻 >하였다. 고복형< 鼓腹形 > 간주석< 竿柱石 >의 중간고형< 中間鼓形 > 표면< 表面 > 중앙< 中央 >에는 3조< 三條 >의 대< 帶 >를 두르고 8곳에 4엽문장식< 四葉紋裝飾 >을 한 고견< 鼓肩 >에 16판< 瓣 >의 앙·복련< 仰·覆蓮 >을 장식하였다. 상·하< 上·下 > 양고< 兩鼓 >의 표면장식도 동일하다. 이 석등< 石燈 >에서 주목< 注目 >되는 것은 옥개석< 屋蓋石 >으로 귀에는 귀꽃을 구비하고 낙수면< 落水面 >에는 8엽단판연화< 八葉單瓣蓮華 >로 전면< 全面 >을 덮은 것이다. 정상< 頂上 >에는 복발형< 覆鉢形 >의 노반< 露盤 >이 놓이고 그 위에 고복형< 鼓腹形 >의 간< 竿 >과 8각의 보개< 寶蓋 >와 보주< 寶珠 >가 장식되었다. 이 석등은 보림사석등< 寶林寺石燈 >(국보 제44호)과 담양< 潭陽 > 개선사지석등< 開仙寺址石燈 >(보물 제11호)의 장단점< 長短點 >을 뽑아 절충한 양식이며 조성시기< 造成時期 >는 9세기말로 추정< 推定 >된다.




남원 실상사 석등

석등 화사석과 옥개부

석등 하대석 복련과 중대 북 모양 간석

석등 하대석 복련과 귀꽃 장식

남원 실상사 석등

석등 앞 돌계단

석등

석등

석등

석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