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상사에 위치한 수철화상의 탑비이다.
수철화상은 통일신라 후기의 승려로, 본래 심원사에 머물다가 뒤에 실상사에 들어가 수도하였다. 진성여왕 7년(893) 5월 77세로 이 절에서 입적하자 왕이 시호와 탑명을 내렸다고 한다. 비문에는 수철화상의 출생에서 입적까지의 행적과 사리탑을 세우게 된 경위 등을 기록하고 있다. 그는 실상사에서 입적하였으나 심원사의 승려이었기 때문에 비문에는 ‘심원사수철화상’으로 적고 있다. 비문을 짓고 쓴 사람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마멸과 손상이 심한 편이다.
탑비의 형식은 당시의 일반적인 탑비 형식과는 달리 거북모양의 받침돌 대신 안상(眼象) 6구를 얕게 새긴 직사각형의 받침돌을 두어 그 위로 비를 세웠다. 비를 꽂아두는 비좌(碑座)에는 큼직한 연꽃을 둘렀다. 머릿돌에는 구름 속에 용 두마리가 대칭하여 여의주를 다투는 듯한 모습이 조각되어 있고 그 앞면 중앙에는 ‘능가보월탑비’라는 글이 새겨져 있는데, 조각수법이 형식적이고 꾸밈이 약화된 경향이 뚜렷하다.
비의 건립 연대는 효공왕(재위 897∼912)대로 추정되고, 글씨는 당대를 전후하여 성행한 구양순체를 따랐다. 전문설명 석비 상부의 이수(이首) 중앙에는 '능가보월탑기(楞伽普月塔記)'라 전자(篆字)로 새기고, 그 위에 쌍룡이 구슬을 다투는 모습을 조각하였다. 높이는 2.9m이다. 수철화상(817∼893)은 홍척국사(洪陟國師)의 제자로서 실상산문(實相山門)의 제2조사(祖師)이다.
신라 진성여왕(眞聖女王) 7년(893)에 입적(入寂)한 수철화상의 부도탑비(浮屠塔碑)로 비문에는 수철화상의 출생(出生), 수계(受戒), 득도(得道), 세속 교화, 입적, 조탑(造塔)에 이르는 경위 등을 기록하고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DB17405C51583530)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https://t1.daumcdn.net/cfile/blog/9958CD405C5158372C)
탑비 이수 중앙의 제액 ![](https://t1.daumcdn.net/cfile/blog/99AFAA405C51583828)
탑비 이수 측면의 구름 무늬 ![](https://t1.daumcdn.net/cfile/blog/99ABF3405C51583A27)
탑비 받침돌의 연꽃 무늬와 안상 ![](https://t1.daumcdn.net/cfile/blog/996FE2405C51583C21)
탑비 이수 ![](https://t1.daumcdn.net/cfile/blog/99E114405C51583D30)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