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철원군 화개산에 자리잡은 도피안사는 신라 경문왕 5년(865)에 도선대사가 창건하였다. 기록에 의하면 도선대사가 철조비로자나불을 만들어 철원의 안양사(安養寺)에 모시려고 했으나 운반 도중에 불상이 없어져서 찾아보니 도피안사 자리에 앉아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이곳에 절을 세우고 불상을 모셨다고 한다.
신라말에서 고려초에는 철로 만든 불상이 크게 유행했는데, 이 작품은 그 대표적인 예로, 불상을 받치고 있는 대좌(臺座)까지도 철로 만든 보기 드문 작품이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갸름한 얼굴은 인자하고 온화한 인상이다. 평판적인 신체에는 굴곡의 표현이 없고, 양 어깨를 감싼 옷에는 평행한 옷주름이 형식적으로 표현되었다.
몸에 비해 가냘픈 손은 가슴 앞에서 왼손 검지를 오른손으로 감싸고 있는 모양으로 비로자나불이 취하는 일반적인 손모양이다. 불상이 앉아 있는 대좌는 이 시기에 가장 유행한 형태로, 상대와 하대에는 연꽃무늬를 새겼으며 중대는 8각을 이루고 있다.
불상 뒷면에 신라 경문왕 5년(865)에 만들었다는 내용의 글이 남아 있어서 만든 연대를 확실하게 알 수 있다. 통일신라 후기에 유행하던 철조비로자나불상의 새로운 양식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능숙한 조형수법과 알맞은 신체 비례를 보여주는 뛰어난 작품이다. 전문설명 이 불좌상은 신체와 대좌(臺座)가 모두 철로 된 신라말(新羅末)의 보기 드문 불상이다. 뒷면에 새겨진 100여 자의 명문(銘文) 가운데 "함통(咸通) 6년(六年) 기유(己酉) 정월(正月)"의 문구가 있어서 이 불상의 제작 시기는 신라 경문왕(景文王) 5년(865)임을 알 수 있다.
살상투(肉계)의 표현이 분명하지 않은 점, 계란 모양의 단정한 얼굴, 이상적이며 생동하는 느낌이 사라진 극히 현실적인 체구 등에서 우리는 당시의 참선하고 있는 스님을 대하는 듯한 친근한 느낌을 받는다.
법의(法衣)에는 얇게 빚은 듯한 평행 옷주름이 전면적으로 표현되어 있는데, 이 명문(銘文)에 의하면 이 불상은 철원군(鐵原郡)의 거사(居士) 신도(信徒) 1,500여 명의 열렬한 신앙심에서 만든 것으로서, 당시의 활발했던 불교신앙(佛敎信仰) 결사(結社)의 한 단면을 엿보게 한다.
이와 함께 이 불상은 당시 유행하던 철조 비로자나불상의 새로운 양식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크게 각광받고 있다.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