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청자의 전성기인 12세기경에 만들어진 청자주전자로 높이 24.4cm, 밑지름 10.3cm이다. 용의 머리와 물고기의 몸을 가진 특이한 형태의 동물을 형상화했는데, 이런 물고기모양은 옛날부터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상징적인 의미로 건축물에 많이 장식하였다.
물을 따르는 부리는 용의 머리모양이고, 이빨과 지느러미, 꼬리 끝에는 백토(白土)를 발랐다. 얼굴의 털이나 지느러미들을 매우 가늘고 섬세하게 표현하였다. 주전자 몸체에는 비늘이 도드라지게 표현되었고, 중앙부에는 앞뒤로 커다란 갈퀴모양의 옆지느러미가 묘사되었다. 손잡이는 연꽃줄기 모양으로 주전자의 몸체 위로 자연스럽게 늘어져 있고, 뚜껑은 물고기의 꼬리부분을 본떠서 만들었다.
전체적인 구조로 볼 때 기이하면서도 각 부위를 갖춘 한 마리의 상상의 동물모습을 하고 있다. 비취빛의 유약색과 더불어 지느러미와 꽃무늬에 나타난 세밀한 음각 표현은 능숙한 솜씨를 보여준다. 이 주전자는 상서로운 동물이나 식물을 모방해서 만든 상형청자 중에서도 매우 기발함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전문설명
용두어신(龍頭魚身)처럼 보이는 일종의 어양(魚樣)을 상형(象形)한 몸체에 연(蓮)줄기 모양의 손잡이를 단 주전자이다.
귓대부리는 어두(魚頭)를 형상화했고 꼬리부분은 주전자 뚜껑이며 날개 모양으로 된 2개의 큰 지느러미가 머리 밑에 달려 있다. 이런 어형(魚形)은 고래(古來)로 방화주(防火呪)의 상징인데 건물 용마루 끝에 장식하는 상상적인 치미(치尾)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상형청자(象形靑磁) 중에서도 매우 기발한 구상을 보여주는 작품인데 비취옥(翡翠玉) 빛의 유약과 정치(精緻)한 태토(胎土)가 잘 융합되어 유면(釉面)에 거의 식은테가 없다. 지느러미와 꼬리 끝에는 백토(白土)로 된 점과 선을 퇴화(堆花)했으며 이 밖에도 음각선으로 지느러미의 연골(軟骨)을 그리고 앙련좌(仰蓮座)의 표현은 양각으로 능숙하게 처리하고 있다.
이런 상형청자의 뛰어난 파편은 전남(全南) 강진군(康津郡) 대구면(大口面) 사당리(沙堂里) 요지(窯址) 조사에서 발견된 예가 많다.
청자 어룡형 주전자 청자 어룡형 주전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