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8376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84호) 청자상감정사색명유로문매병

종 목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84호 명 칭 청자상감정사색명유로문매병 (靑瓷象嵌淨事色銘柳蘆紋梅甁) 분 류 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청자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1.04.30 소 재 지 전라북도 부안군 보안면 청자로 1493(부안청자박물관) 시 대 고려 14세기 후반 소 유 자 부안군 관 리 자 부안군 청자박물관 일반설명 청자 매병은 고려 14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2017년 9월 김완식 선생으로부터 무상으로 기증받은 작품이다. 매병 몸체에는 버드나무와 갈대 무늬가 흑백상감 기법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몸체 중앙에는 ‘정사색(淨事色)’이라는 글자가 흑상감으로 커다랗게 새겨져 있는 점이 특징이다. 정사색은 고려의 국왕이 도교(道敎)의 신에게 제사를 지낼 때 준비를 맡아 하던 왕실 내전의 관청..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83호) 익산 정각사 소장 육경합부

종 목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83호 명 칭 익산 정각사 소장 육경합부 (益山 正覺寺 所藏 六經合部)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수량/면적 1권 지 정 일 2021.04.30 소 재 지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 오산 4길 47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정각사 관 리 자 정각사 일반설명 익산 정각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육경합부는 1555년 황해도에서 살았던 이순재 집안에서 출판 비용을 부담하고, 강원도 철원군에 소재한 심원사에서 간행하였다. 이 유물은 다른 육경합부와 달리 사금강변상도(四金剛變相圖)가 실려 있으며, 심원사본으로는 유일본이며, 임진왜란 이전 북한지역에서 간행된 희귀본으로 불교사적·서지학적 가치가 높다.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82호) 조필달 신도비

종 목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82호 명 칭 조필달 신도비 (趙必達 神道碑) 분 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수량/면적 1기 지 정 일 2021.04.30 소 재 지 전라북도 김제시 복죽동 112-16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조환용(김제조씨 문중) 관 리 자 조환용(김제조씨 문중) 일반설명 조필달(1600∼1664)은 1624년에 무과에 급제, 1627년 정묘호란 때에 세자를 호위하였으며, 1636년 병자호란 때에 인조를 호종하였으며, 1663년 삼도수군통제사를 역임하였다. 조필달 신도비는 귀부와 비신이 일체형이며 조각수법이 뛰어나며 찬자(撰者)는 병자호란시 의병에 참여했던 화곡 홍남립(1606∼1679)이고, 서자(書者)는 전라도의 최고 명필인 송재 송일중(1632∼1717)으로 인물사적·예술적·금석..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81호) 김제 원각사 대웅전 목조아미타불좌상

종 목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81호 명 칭 김제 원각사 대웅전 목조아미타불좌상 (金堤 圓覺寺 大雄殿 木造阿彌陀佛坐像)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면적 1구 지 정 일 2021.04.30 소 재 지 전라북도 김제시 시 대 고려시대 소 유 자 원각사 관 리 자 원각사 일반설명 김제 원각사 대웅전 목조아미타불좌상은 조선시대 17세기 전반 전라도와 충청도 일대를 중심으로 활동했던 조각승 법령(法靈)과 그를 계승한 조능(祖能)이 조성한 불상과 유사하며, 군의(裙衣) 표현은 17세기 불상의 양식을 보여준다. 조선시대 후기의 아미타불 도상 연구에 중요한 학술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80호) 남원 만복사지 석조인왕상

종 목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80호 명 칭 남원 만복사지 석조인왕상 (南原 萬福寺址 石造仁王像)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당간 수량/면적 2구 지 정 일 2021.04.30 소 재 지 전라북도 남원시 왕정동 533 시 대 고려시대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남원시 일반설명 남원 만복사지 석조인왕상의 형태는 3면에 인왕상의 머리와 신체를 조각하고 나머지 한면은 편평하게 다듬어 두 개의 홈을 내었다. 만복사지 석조인왕상은 고려시대 유일하게 한 쌍으로 남아있는 단독상이며, 당간지주(幢竿支柱)의 용도로 조성된 인왕상으로 국내에서 유례가 없는 창조적 조형 형식으로서 미술사적·민속학적 가치가 높다.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79호) 고창 삼호정

종 목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79호 명 칭 고창 삼호정 (高敞 三湖亭) 분 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조경건축 / 누정 수량/면적 1동 536㎡ 지 정 일 2021.04.09 소 재 지 전라북도 고창군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옥천조씨문중 관 리 자 고창군 일반설명 고창 삼호정(高敞 三湖亭)은 옥천조씨 삼형제(인호 조현동, 덕호 조후동, 석호 조석동)의 호(湖)를 따서 1700년대에 지었고, 1864년에 중건한 정자로 정면 3칸, 측면 3칸, 홑처마 팔작집 구조 등 조선 후기의 건축학적 특징을 보여준다.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78호) 고창 석탄정

종 목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78호 명 칭 고창 석탄정 (高敞 石灘亭) 분 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조경건축 / 누정 수량/면적 1동 674㎡ 지 정 일 2021.04.09 소 재 지 전라북도 고창군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고창군 관 리 자 고창군 일반설명 고창 석탄정(高敞 石灘亭)은 1581년 석탄(石灘) 류운(柳澐)이 낙향 후 학문 강론을 위해 건립한 정자(1830년 중건)로, 드넓은 평야에 동산처럼 솟아오른 암반지대에 정자를 세우고 풍류와 학문을 즐기던 공간으로 전해진다. 전북지역 누정 중에서 창건연대가 빠르고 정면 3칸, 측면 3칸, 홑처마 팔작지붕 등 독특한 구조로 건축학적 가치를 높이 평가받고 있다.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77호) 고창 선운사 영산전

종 목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77호 명 칭 고창 선운사 영산전 (高敞 禪雲寺 靈山殿)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사찰 수량/면적 1동 121.8㎡ 지 정 일 2021.04.09 소 재 지 전라북도 고창군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선운사 관 리 자 선운사 일반설명 영산전은 1713년 2층 각황전으로 창건돼 1821년 단층으로 재건하는 등 연혁과 관련된 기록이 명확하고, 19세기 초 부불전의 특징을 볼 수 있다. 또 영산전에는 목조삼존불상(도유형문화재 제28호), 16나한상과 함께 건물 내부 벽면에는 1821년 재건 당시의 벽화가 보존돼 재건 당시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영산(靈山)’은 부처님이 영축산에서 법화경을 설법했던 법회 연산회상을 의미하고, 영산전은 영산회상의 모습을 재현한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76호) 사암 박순 초상화

종 목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76호 명 칭 사암 박순 초상화 (思菴 朴淳 肖像畵) 분 류 유물 / 일반회화 / 인물화 / 초상화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1.01.22 소 재 지 전라북도 익산시 시 대 조선시대 (18~19세기) 소 유 자 원광대 박물관 관 리 자 원광대 박물관 일반설명 사암 박순은 눌재 박상의 조카로서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한 조선 중기 문신이다. 박순 초상화는 오사모와 청색 단령을 입은 전신의교좌상으로서 16세기 공신 초상화의 전형적 양식을 갖추고 있다. 18세기 이후 이모과정에서 당시의 시대색 및 장식적 기법이 추가되었다. 박순 초상화는 조선시대 초상화의 전형적 양식과 시대적 변천과정을 보여주고 있으며 회화사적, 지역사적으로 중요한 자료가 된다.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75호) 눌재 박상 초상화

종 목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75호 명 칭 눌재 박상 초상화 (訥齋 朴祥 肖像畵) 분 류 유물 / 일반회화 / 인물화 / 초상화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1.01.22 소 재 지 전라북도 익산시 시 대 조선시대 (18~19세기) 소 유 자 원광대 박물관 관 리 자 원광대 박물관 일반설명 눌재 박상 초상화는 병조좌랑, 사간원헌납, 상주목사, 나주목사 등을 역임한 조선 전기 사림파 문신이다. 박상 초상화는 오사모에 담홍색 단령을 입은 전신교의좌상으로 15세기 문인 관료 초상화의 양식을 갖추고 있으며 19세기 이후 이모과정에서 당시의 시대색 및 음영기법이 추가되었다. 박상 초상화는 조선시대 초상화의 전형적 양식과 시대적 변천과정을 보여주고 있으며 회화사적, 지역사적으로 중요한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