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경북유형문화재 590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70호) 상주 전식조복 및 공예품 일괄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70호) 명 칭 상주 전식조복 및 공예품 일괄 (尙州 全湜朝服 및 工藝品 一括) 분 류 유물 / 생활공예 / 복식공예 / 의복 수량/면적 조복 3점, 공예품 일괄 10점 지 정 일 2021.12.20 소 재 지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관동1길 58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전상룡 관 리 자 전상룡 ​ 일반설명 전식조복은 상태가 양호하지는 않으나 조복 홍의와 훈상, 대대 외에 패옥, 아홀 등 12종의 구성물 중 5종이 함께 소장되어 있는 국내 최고(最古)의 전세 유물로 출토복식에서는 볼 수 없는 당시의 실제 색상을 유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자료로 판단됨.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69호) 상주 전식초상 일괄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69호) 명 칭 상주 전식초상 일괄 (尙州 全湜肖像 一括) 분 류 유물 / 일반회화 / 인물화 / 초상화 수량/면적 4점 지 정 일 2021.12.20 소 재 지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관동1길 58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전상룡 관 리 자 전상룡 ​ 일반설명 상주 전식초상 일괄은 조선 중기 17세기 영정 양식으로 제작된 전신교의좌상으로, 신청한 반신상의 초본을 기초로 이모된 초상화다. 초상화를 보관하는 나무함 2점도 조선후기 전통 짜임 방식으로 제작된 것으로 자료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됨.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68호) 상주 전식종가 소장 고문서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68호) 명 칭 상주 전식종가 소장 고문서 (尙州 全湜宗家 所藏 古文書) 분 류 기록유산 / 문서류 / 국왕문서 / 교령류 수량/면적 69점 지 정 일 2021.12.20 소 재 지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관동1길 58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전상룡 관 리 자 전상룡 ​ 일반설명 이번에 문화재로 지정된 유물은 상주 지역에서 수백 년에 걸쳐 세거한 사서(沙西) 전식(全湜, 1563∼1642) 종택의 소장 고문서이다. 전식은 서애 류성룡과 여헌 장현광의 문인으로, 1603년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1640년 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하고 死後 좌의정에 추증되어 상주 옥동서원에 배향되었다. 고문서 69점은 1603년부터 1697년에 발급된 유지, 교지, 녹패 등으로 상주 지역의 사족..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67호) 경주 최진립 정려비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67호) 명 칭 경주 최진립 정려비(慶州 崔震立 旌閭碑) 분 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수량/면적 1기 지 정 일 2021.12.20 소 재 지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이조리 226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월성최씨가암파 문중 관 리 자 월성최씨가암파 문중 ​ 일반설명 경주 최진립 정려비는 병자호란 시 청군과 맞서 싸우다 전사한 최진립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1707년에 향리 마을 입구에 세워진 1313자 규모의 비석이다. 충의당, 용산서원, 신도비 등과 마을 구역 내에 함께 있어 숭렬(崇烈)의 의미를 잘 보여줄 뿐만 아니라 이수형 개석과 복련의 하대석은 경주 소재 비석 중에서 희귀한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66호) 경주 최진립 신도비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66호) 명 칭 경주 최진립 신도비(慶州 崔震立 神道碑) 분 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수량/면적 1기 지 정 일 2021.12.20 소 재 지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이조리 618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월성최씨가암파 문중 관 리 자 월성최씨가암파 문중 ​일반설명 경주 최진립 신도비는 병자호란때 전사한 최진립(1568~1636)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1740년에 건립된 비석이다. 신도비 석역 및 제작에 대한 관련기록이 남아 있어 의의가 클 뿐만 아니라 귀부·이수의 문양과 조각 기법 또한 ‘태종무열왕릉비’를 포함한 신라 석조미술의 영향을 받은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65호)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 전적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565) 명 칭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 전적 (嶺南大學校 中央圖書館 所藏 典籍)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간본 수량/면적 3종 3책 지 정 일 2021.08.26 소 재 지 경상북도 경산시 대학로 280 (대동, 영남대학교) 시 대 고려 ~ 조선시대 소 유 자 영남대학교 관 리 자 영남대학교도서관 ​ 일반설명 『救急簡易方』은 1489년(성종 20)에 윤호, 임원준, 허종 등이 임금의 명을 받들어 편찬한 언해본 의학 서적으로 질병을 127개 부문으로 나누어 그 치료방법을 제시하였다. 신청된 1책(卷7)은 임란 이전에 간행된 목판본으로 인본(印本)의 글씨가 선명하고 현재 전존본이 매우 희귀하여 조선시대 국어 및 의학을 연구를 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64호) 포항 광덕사 소장 선종영가집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564) 명 칭 포항 광덕사 소장 선종영가집 (浦項 廣德寺 所藏 禪宗永嘉集)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간본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1.08.26 소 재 지 경상북도 포항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광덕사 관 리 자 광덕사 일반설명 『선종영가집(禪宗永嘉集)』은 조선시대 함허당(涵虛堂) 득통(得通)이 설의(說誼)한 책으로, 광덕사 소장본은 1572년(선조 5)에 임천 지역의 김론번 댁에서 판각한 것이다. 1책 권上과 권下로 이루어져 있고, 처음부터 불복장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표지는 없다. 두 개의 지념(紙捻)이 온전히 박혀 있으며 보존 상태는 매우 양호하다. 이 책은 조선 중기의 목판인쇄문화를 비롯하여 불교 및 서지학 연구의 중요한 자료일 뿐만 아니..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63호) 영덕 장육사 대웅전 벽화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563) 명 칭 영덕 장육사 대웅전 벽화 (盈德 莊陸寺 大雄展 壁畵)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벽화 / 판벽화 수량/면적 18점 지 정 일 2021.06.17 소 재 지 경상북도 영덕군 장육사1길 172 (창수면)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장육사 관 리 자 장육사 ​ 일반설명 ‘영덕 장육사 대웅전 벽화’는 경북 영덕군 창수면 갈천리에 위치한 장육사의 대웅전 내부 벽면 및 천장에 그려진 벽화로 문수·보현동자도, 주악비천도, 운룡도, 나한·조사도 등 총 18점이 양호한 상태로 남아 있다. 조성시기 및 제작자에 관해서는 구체적인 내용을 알 수 없으나, 건물 내부에 봉안된 불화 및 배치형식 등을 통해 17∼20세기 전반에 조성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승물을 탄 문수동자와 보현동..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62호) 청송 대전사 영산회상도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562) 명 칭 청송 대전사 영산회상도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 수량/면적 1폭 지 정 일 2021.06.17 소 재 지 경상북도 청송군 시 대 조선시대(1740년 또는 1750년으로 추정) 소 유 자 대전사 관 리 자 대전사 ​ 일반설명 '청송 대전사 영산회상도’는 인도 영취산에서 있었던 석가모니불도의 설법 모임을 도해한 불화이다. 화면 중앙의 석가여래 좌우에는 문수와 보현보살,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 지장보살을 포함한 8위 보살로 구성됐다. 화기(畵記) 일부가 마모돼 있지만 수화승 밀기(密機) 등을 통해 불화의 조성연대(1740년 또는 1750년)를 추정할 수 있다. 특히, 석가모니불도의 영산회상을 주제로 한 전형적인 군집형 구도로서 18세기 전반기 특징..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61호) 경주 길상사 소장 칠성도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561) 명 칭 경주 길상사 소장 칠성도 (慶州 吉祥寺 所藏 七星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기타 수량/면적 1幅(폭) 지 정 일 2021.06.17 소 재 지 경상북도 경주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길상사 관 리 자 길상사 ​ 일반설명 칠성도는 '치성광여래', '자미대제'를 중심으로 '칠성여래', '일광‧월광보살', '칠원성군', '일원천자' 등이 그려져 있는 불화다. 2013년 개인 소장가가 해외 경매에서 낙찰받아 환수된 후 제자리를 찾지 못한 것을 안타깝게 여긴 길상사 주지 혜광스님이 2019년 소유권을 확보, 소장중이다. 칠성도는 화기(畵記)를 통해 조선시대 후기인 1866년 화승(畵僧) 영담(暎潭)이 그린 것을 알 수 있다. 영담은 19세기 중엽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