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강원문화재자료 154

문화재자료 제24호 (영월군) 금강정

종 목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24호 명 칭 금강정 (錦江亭) 분 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조경건축 / 누정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1984.06.02 소 재 지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금강공원길 136 (영흥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영월군 관 리 자 영월군 일반설명 금강정은 조선 세종 10년(1428) 김복항이 세웠다고 전해오나, 영월제영에 따르면 이자삼이 영월군수로 있을 당시 금강의 아름다움을 보고 자신의 재산을 들여 정자를 짓고 금강정이라 하였다고 한다. 숙종 10년(1684)에 송시열이 이곳에 올라 금강정기를 썼다고 한다. 금강정의 규모는 앞면 4칸·옆면 3칸으로, 지붕은 옆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문화재자료 제23호 (영월군) 보덕사 극락보전

종 목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23호 명 칭 보덕사 극락보전 (報德寺極樂寶殿)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1984.06.02 소 재 지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보덕사길 34 (영흥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보덕사 관 리 자 보덕사 일반설명 보덕사는 신라 문무왕 8년(668) 의상조사가 지덕사라는 이름으로 세운 절이다. 단종이 노산군으로 감봉되며 유배당할 때 절 이름을 ‘노릉사(老陵寺)’로 고쳤다가, 단종의 능인 장릉(사적 제196호)의 원찰로 지정되면서 영조 2년(1726)에 보덕사로 이름이 바뀌었다. 극락보전(강원도 문화재자료 제23호)은 고려 의종 15년(1161) 운허선사와 원경국사가 늘려 지었다고 전한다. 건물은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로, 지붕은..

문화재자료 제22호 (원주시) 주포리미륵불및삼층석탑

종 목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22호 명 칭 주포리 미륵불 및 삼층석탑 (周浦里彌勒佛및三層石塔)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일곽 지 정 일 1984.06.02 소 재 지 강원도 원주시 귀래면 주포리 25-2번지 시 대 고려시대 소 유 자 원주시 관 리 자 원주시 일반설명 황산사의 옛 터에 남아 있는 3층 석탑과 이 터에서 멀리 떨어진 뒷산의 높은 봉우리에 조각되어 있는 불상이다. 석탑은 절터에 흐트러져 있던 것을 다시 세워놓은 것으로, 전체의 무게를 지탱해주던 기단(基壇)이 없어진 채 3층의 탑신(塔身)만 남아있다. 탑신의 각 몸돌은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을 본 뜬 조각을 두었다. 두터워 보이는 지붕돌은 3단씩의 받침을 밑면에 새겼으며, 처마는 수평을 이루다 네 귀퉁이에서 느리게 위..

문화재자료 제21호 (원주시) 김제남신도비

종 목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21호 명 칭 김제남신도비 (金悌男神道碑) 분 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수량/면적 1기 지 정 일 1984.06.02 소 재 지 강원도 원주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연*** 관 리 자 연*** 일반설명 신도비란 왕이나 고관 등의 평생업적을 기록하여 후세에 전하고자 그의 묘 가까이에 세워두는 것으로, 이 비는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이자 선조임금의 장인이었던 김제남(1562∼1613) 선생을 기리고 있다. 선생은 선조 18년(1585) 사마시에 합격하여 관직활동을 시작하였고, 별시문과에 급제한 후에는 이조좌랑에까지 올랐다. 둘째 딸이 선조의 둘째 비인 인목왕후로 채택되자 연흥부원군에 봉하여졌다. 광해군 5년(1613)에는 인목왕후의 아들인 영창대군을 왕으로 추..

문화재자료 제20호 (원주시) 법천사당간지주

종 목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20호) 명 칭 법천사지 당간지주 (法泉寺幢竿支柱)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당간 수량/면적 1기 지 정 일 1984.06.02 소 재 지 강원 원주시 부론면 법천리 620번지 시 대 신라시대 소 유 자 원주시 관 리 자 원주시 일반설명 당간지주는 사찰 입구에 설치하는 것으로, 절에 행사나 의식이 있을 때면 이곳에 깃발을 달게 되는데, 이 깃발을 거는 길다란 장대를 당간이라 하고, 당간을 양 쪽에서 지탱시켜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드물게 당간이 남아있는 예가 있으나, 대개는 두 지주만이 남아있다. 이 당간지주는 법천사 절터에 남아 있는 것으로, 지광국사현묘탑비(국보 제59호)와 함께 터를 지키고 있다. 기둥에는 별다른 조각이 없으며, 아래에서 위로..

문화재자료 제19호 (원주시) 입석사석탑

종 목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9호 명 칭 입석사 석탑 (立石寺石塔)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1기 지 정 일 1984.06.02 소 재 지 강원 원주시 소초면 흥양리 산1번지 시 대 고려시대 소 유 자 입석사 관 리 자 입석사 일반설명 입석사에 있는 탑으로 무너져 있던 것을 세워 둔 것인데, 2기의 석탑 부재가 섞여 있는 듯 하다. 부재들은 두툼하고 네모난 연꽃받침이 2개, 얇은 연꽃받침이 1개, 각 면에 기둥 모양을 새긴 탑신(塔身)의 몸돌이 3개, 네모난 판돌이 4개이다. 연꽃무늬 조각이나 탑신의 몸돌을 다듬은 솜씨로 보아 고려시대 전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조선 태종(재위 1400∼1418)이 왕위에 오른 후 어린 시절의 스승 운곡 원천석을 자주 불렀으나 응하지 않고..

문화재자료 제18호 (원주시) 상원사 대웅전

종 목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8호 명 칭 상원사 대웅전 (上院寺大雄殿)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1984.06.02 소 재 지 강원 원주시 신림면 성남로 930 (성남리) 시 대 1988년 중창 소 유 자 상원사 관 리 자 상원사 일반설명 상원사는 치악산 남쪽 남대봉 중턱의 해발 1,100m의 높은 곳에 위치한 사찰이다. 신라 문무왕 때 의상대사가 지었다는 설과 경순왕의 왕사였던 무착대사가 지었다는 설이 있다. 대웅전은 고려말 나옹스님에 의해 새롭게 지어졌으나 한국전쟁 당시 소실된 것을 1968년에 다시 지은 후에 1988년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여 중창하였다. 높은 곳에 조성된 사찰답게 자연지형에 맞게 배치되었으며 비교적 낮은 기단 위에 조성되었고 정면 ..

문화재자료 제17호 (횡성군) 운암정(雲岩亭)

종 목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7호 명 칭 운암정 (雲岩亭) 분 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조경건축 / 누정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1984.06.02 소 재 지 강원 횡성군 횡성읍 읍하리 산7-1번지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횡성군 관 리 자 횡성군 일반설명 운암정은 1937년 횡성에 사는 김한갑과 이원식이 세운 정자이다. 운암정이라는 이름은 김한갑의 호인 운수에서 ‘운’자를, 이원식의 호인 청암에서 ‘암’자를 따서 지은 것이다. 김한갑과 이원식은 어려서부터 같은 마을에서 살아왔는데 둘다 무척 가난하였다. 둘은 잘 살아 보자는 굳은 결심을 하고 열심히 노력하여 마침내 부자가 되었다. 회갑이 되어 이를 기념하고자 공사비를 반 씩 부담하여 정자를 완공하였다고 한다. 운암정은 앞면 3칸·옆면 2칸으로..

문화재자료 제16호 (횡성군) 태종대

종 목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6호 명 칭 태종대 (太宗臺) 분 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 역사사건 수량/면적 일원 지 정 일 1984.06.02 소 재 지 강원 횡성군 강림면 강림2리 2116번지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횡성군 관 리 자 횡성군 일반설명 강림천변 절벽 위에 우뚝 서 있는 태종대는 조선 태종과 그의 스승 운곡 원천석에 관련된 일화가 있는 곳이다. 원천석은 태종이 왕위에 오르기 전, 왕자의 난을 계기로 실망해서 관직을 버리고 이곳에 은거하였다. 태종이 왕위에 오른 뒤 스승을 찾아 이곳에 왔으나,스승은 빨래하는 할머니에게 거짓으로 말하고 피신하였다. 태종은 할머니가 거짓으로 알려준 바위에서 기다리다가 스승이 자신을 만나려 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돌아갔다. 그 뒤 이곳을 태종이 머물렀다..

문화재자료 제15호 (홍천군) 수타사 홍우당 부도

종 목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5호 명 칭 수타사 홍우당부도 (壽陀寺紅藕堂浮屠)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1기 지 정 일 1984.06.02 소 재 지 강원 홍천군 동면 덕치리 산4 시 대 고려시대 소 유 자 수타사 관 리 자 수타사 일반설명 수타사로 들어가는 길 옆에는 7기의 부도가 서 있는데, 이 부도도 그 중의 하나이다. 부도란 승려의 무덤을 상징하여 그 유골이나 사리를 모셔 두는 곳으로, 이 부도는 ‘홍우당’이라는 호를 가진 승려의 사리를 모시고 있다. 땅 위로 드러난 사각 바닥돌 위로, 3단으로 이루어진 기단(基壇)을 두고, 납작한 공모양의 탑몸돌을 올린 후 지붕돌을 얹은 모습으로, 바닥돌을 제외한 대부분이 6각을 이루고 있다. 기단 중에서 아래받침돌은 옆면마다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