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민화외 다수...... ♤ 일본 민화외 다수...... 오래된 도시 교토(京都)에서도 옛 정취가 가장 잘 남아있다는 기온(祇園)의 거리를 돌아다닐 때였습니다. 기온이 원래 유명한 게이샤 구역이라기에 혹시 얼굴에 하얗게 분칠을 하고 화려한 기모노를 입은 여인을 보게 되지 않을까 내심 기대하고 있었죠. 그러다 이 사람들과 .. 문화예술/민화모음 2008.02.25
조선왕실 보물 떨잠, 어보, 어검(御劍) 등 조선왕실 보물 떨잠(떨철반자)은 궁중의 여인들이 큰머리 ·어여머리의 앞 중심과 양 옆에 꽂았던 머리꾸미개이다. 원형 ·각형 ·나비형의 옥판에 칠보 ·진주 등의 보석으로 꾸미고, 은사로 가늘게 용수철을 만들어 끝에 은으로 만든 꽃,새, 나비 모양의 떨새를 붙인다. 떨.. 문화예술/진품명품 2008.02.13
장식장소와 용도에 따른 민화의종류 ① 화조영모도 :민화 가운데 종목이 가장 많으며 꽃과 함께 의좋게 노니는 한 쌍의 새를 소재로 한 화조도가 많다. 화조도는 매화·동백·진달래·개나리·오동·솔·버드나무·메꽃·해당화 등과 봉황·원앙·공작·학·제비·참새·까치 등을 물이나 바위와 함께 그렸으며 .. 문화예술/회화감상 2008.02.11
조선시대 妓房 出入圖 [ 기방무사 (妓房無事) (1805) ] 방안에서 남녀가 무슨 일을 하고 있다가 누군가 들어오는 소리에 당황한 듯 하죠?아마도 방 안의 여인은 기생의 몸종이고,방안의 남자는 기생을 찾아왔다가 그녀의 몸종과 사랑을 나누던 게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갑자기 기생이 들어오니 사내는 이불로 자신의 벗은 몸을.. 문화예술/회화감상 2008.02.11
이 충 휘 / 민화 이 충 휘 / 민화 송학도(松鶴圖) 이충휘 1999년작 131×71㎝ 미인도 이충휘 좌측 2000년작 65×134㎝ 우측 2003년작 승무도(僧舞圖) 이충휘 2000년작 86×109㎝ 어락도(魚樂圖) 가리개 2폭 이충휘 1999년작 104×138㎝ 장생도(長生圖) 이충휘 2000년작 82×115㎝ 연화도(蓮花圖) 이충휘 2000년작 127×68㎝ 화 조 도(花鳥圖).. 문화예술/민화모음 2008.02.11
정 숙진(鄭 淑眞) / 여인상 정 숙진(鄭 淑眞) Sook Jin Chung 강원도 강릉에서 태어나서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대학원을 나왔으며, 개인전 15회(서울, 부산, 일본도쿄, 프랑스파리)와 화랑미술제, 5월미술제, 광주 비엔날레, 문화 관광부 초대전, 미국, 일본, 중국 뉴질랜드, 러시아, 인도, 루마니아 등 국내외전 200회와 KBS TV "그 곳에 가.. 문화예술/회화감상 2008.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