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9/12 6

국보 (제334호) 기사계첩 및 함

종 목 국보 (제334호) 명 칭 기사계첩 및 함 (耆社契帖및 函) 분 류 유물 / 일반회화 / 풍속화 수량/면적 화첩 1첩, 내함 1점, 호갑 1점, 외궤 1점 지 정 일 2020.12.22 소 재 지 충청남도 아산시 시 대 조선시대 1719∼1720년(숙종 45∼숙종 46) 소 유 자 홍*** 관 리 자 홍*** 일반설명 ‘기사계첩’은 1719년(숙종 45) 59세가 된 숙종이 태조 이성계의 전례를 따라 기로소(耆老所)에 들어 간 것을 기념해 기로소에서 주관한 계첩(契帖)으로, 18세기 전반을 대표하는 궁중기록화이다. 기로 소는 70세 이상, 정2품 이상 직책을 가진 노년의 문관(文官)들을 우대하던 기관이다. 행사는 1719년에 실시되었으나 계첩은 초상화를 그리는데 오랜 시간이 걸려 1720년(숙종 ..

문화재/국보 2022.09.12

국보 (제333호) 합천 해인사 건칠희랑대사좌상

종 목 국보 (제333호) 명 칭 합천 해인사 건칠희랑대사좌상 (陜川 海印寺 乾漆希朗大師坐像)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수량/면적 1구 지 정 일 2020.10.21 소 재 지 경상남도 합천군 시 대 고려시대 소 유 자 해인사 관 리 자 해인사 문화재설명 ‘합천 해인사 건칠희랑대사좌상’은 신라 말∼고려 초에 활동한 승려인 희랑대사(希朗大師, 10세기)의 모습을 조각한 것이다. 현존하는 우리나라의 유일한 초상조각[祖師像;僧像]으로서, 고려 10세기 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유사한 시기 중국과 일본에서는고승(高僧)의 모습을 조각한 조사상을 많이 제작했으나, 우리나라에는 유례가 거의 전하지 않으며 이 작품이 실제 생존했던 고승의 모습을 재현한 유일한 조각품으로 남아 있다. 희랑대사는 화엄학(華嚴學)에 ..

문화재/국보 2022.09.12

국보 (제332호)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

종 목 국보 (제332호) 명 칭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 (旌善 淨岩寺 水瑪瑙塔)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1기 지 정 일 2020.06.25 소 재 지 강원도 정선군 함백산로 1410 (고한읍, 정암사) 시 대 고려시대 소 유 자 정암사 관 리 자 정암사 일반설명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이 있는 정암사는 「삼국유사」가 전하는 바에 따르면 신라 자장율사(慈藏律師)가 당나라 오대산에서 문수보살로부터 석가모니의 몸에서 나온 진신사리(眞身舍利)를 받아 귀국한 후, 643년(선덕여왕 12년)에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는 사찰임. 정암사에는 수마노탑을 바라보는 자리에 적멸보궁이 자리 잡고 있으며, 이는 통도사, 오대산 중대, 법흥사, 봉정암의 적멸보궁과 더불어 우리나라 5대 적멸보궁으로서..

문화재/국보 2022.09.12

국보 (제331호) 창덕궁 이문원 측우대

종 목 국보 (제331호) 명 칭 창덕궁 이문원 측우대 (昌德宮 摛文院 測雨臺) 분 류 유물 / 과학기술 / 천문지리기구 / 천문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0.02.27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 일반설명 국보 제331호 ‘창덕궁 이문원 측우대(昌德宮 摛文院 測雨臺)’는 1782년(정조 6) 정조의 명에 의해 창덕궁 규장각의 부속 건물인 이문원(摛文院) 앞에 설치되었던 것으로, 이는 측우대 좌우 네 면에 새겨진 ‘측우기명(測雨器銘)’과 19세기 궁궐그림인 를 통해 확인된다. 에는 이문원 앞뜰에 받침돌 없이 놓인 것으로 그려진 측우대 한 기가 그려진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이 바로 ‘창덕궁 이문원 측우대’이다. 석재는 조선시대 왕실..

문화재/국보 2022.09.12

국보 (제330호) 대구 경상감영 측우대

종 목 국보 (제330호) 명 칭 대구 경상감영 측우대 (大邱 慶尙監營 測雨臺) 분 류 유물 / 과학기술 / 천문지리기구 / 천문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0.02.27 소 재 지 서울특별시 동작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기상청 일반설명 국보 제330호 ‘대구 경상감영 측우대(大邱 慶尙監營 測雨臺)’는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높이 46cm의 장방형 석재로, 원래 대구감영(大邱監營)에 설치되어 있었다. 전면에 ‘측우기(測雨器)’, 후면에 ‘측우대, 건륭 경인년 5월에 만듦(測雨臺, 乾隆庚寅五月造)’이라고 새겨진 명문을 통해 1770년(영조 46)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일제강점기 일본인 기상학자였던 와다 유지[和田雄治]의 기록을 따르면, 이 측우대는 경상감영 선화당(宣化堂)의 ..

문화재/국보 2022.09.12

국보 (제329호) 공주 충청감영 측우기

종 목 국보 (제329호) 명 칭 공주 충청감영 측우기 (公州 忠淸監營 測雨器) 분 류 유물 / 과학기술 / 천문지리기구 / 천문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0.02.27 소 재 지 서울특별시 동작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기상청 일반설명 국보 제329호 ‘공주 충청감영 측우기(公州 忠淸監營 測雨器)’는 1837년(헌종 3)에 제작된 것으로, 측우대는 없고 측우기만 전해오고 있다. 조선시대 충남지역 감독관청이었던 공주감영[錦營]에 설치되었던 것으로, 1915년 경 일본인 기상학자 와다 유지[和田雄治]가 국외로 반출한 뒤 1971년 일본에서 환수되어 기상청이 보관해 오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중앙정부에서 측우기를 제작해 전국의 감영에 보냈기 때문에 여러 점이 만들어졌으리라 예상되지만..

문화재/국보 2022.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