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0 22

보물 (제2092호) 안성향교 풍화루

종 목 보물 (제2092호) 명 칭 안성향교 풍화루 (安城鄕校 風化樓) 분 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2020.12.28 소 재 지 경기도 안성시 명륜동 118 안성향교 시 대 조선시대 (1630∼1660년 사이 재건, 1687년 벼락으로 수리) 소 유 자 경기도향교재단 관 리 자 안성향교 일반설명 「안성향교 풍화루」는 누각형태의 정면 11칸, 측면 1칸의 장대한 규모를 가지며, 유식을 위한 누와 향교 출입을 위한 외문의 역할을 겸하는 문루로서, 현존하는 조선시대 향교 문루 중에서 규모가 가장 큼. 특히 경사지라는 입지여건의 특징을 잘 살려 외부에서 향교 내부가 들여다보이지 않도록 향교 전면을 효과적으로 가리면서도 측면 규모를 1칸으로 하여 내부의 명륜당에..

문화재/보물 2022.10.14

보물 (제2091호) 안성향교 대성전

종 목 보물 (제2091호) 명 칭 안성향교 대성전 (安城鄕校 大成殿) 분 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2020.12.28 소 재 지 경기도 안성시 명륜동 118 안성향교 시 대 조선시대 (1630∼1660년 재건, 1872년‧1883년 등 중수) 소 유 자 경기도향교재단 관 리 자 안성향교 일반설명 「안성향교 대성전」은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7세기 중엽에 재건 된 이후로 현재까지 여러 차례 수리가 이루어 졌으나 건축의 형태와 구조, 의장 등 전반에 걸쳐 건립 당시의 고식기법을 잘 유지하고 있음. 대성전은 정면에 개방된 퇴칸을 구성하고 맞배지붕을 얹은 조선시대 사묘건축의 전형적인 형태를 하고 있으며, 정면 5칸의 간살 구성은 조선시대 군․현 단위 향교의..

문화재/보물 2022.10.14

보물 (제2090호) 수원향교 대성전

종 목 보물 (제2090호) 명 칭 수원향교 대성전 (水原鄕校 大成殿) 분 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2020.12.28 소 재 지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향교로 107-9 (교동, 수원향교) 시 대 조선시대 (1636년 건립 추정, 1789년 이건, 1795년 중건) 소 유 자 경기도향교재단 관 리 자 수원향교 일반설명 수원향교는 수원도호부의 향교로서 18세기 말 읍치를 이건하면서 향교도 현 위치로 옮겨 다시 지은 독특한 사례로 신읍은 정조가 주도한 화성 축성과 함께 화성유수부로 승격되었는데 서울 다음으로 중요시된 도시로 변모하며 유수부의 위상에 맞춰 향교 역시 격식을 충실히 갖춤. 「수원향교 대성전」은 정조의 어명을 받아 1795년 2고주 7량가 20칸 ..

문화재/보물 2022.10.14

보물 (제2089호) 강릉향교 동무‧서무‧전랑

종 목 보물 (제2089호) 명 칭 강릉향교 동무‧서무‧전랑 (江陵鄕校 東廡‧西廡‧前廊) 분 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수량/면적 3동 지 정 일 2020.12.28 소 재 지 강원도 강릉시 명륜로 29 (교동, 강릉향교) 시 대 조선시대 (동무‧서무 1413년 중건, 1613년 중창, 1623년 중창/전랑 1486년 중수, 1862년 중건) 소 유 자 강릉향교 관 리 자 강릉향교 일반설명 「강릉향교」는 건축물의 위치와 규모, 기법, 공간구조의 비례와 적합성, 유서 깊은 역사성 등에서 향교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대표성과 역사성, 조형성은 대성전과 명륜당을 비롯한 동무․서무, 전랑(내삼문) 등 모든 부속건물과 일체가 되어 서로 융합됨으로서 가능한 것임. 「강릉향교」에 봉..

문화재/보물 2022.10.14

보물 (제2088호) 강릉향교 명륜당

종 목 보물 (제2088호) 명 칭 강릉향교 명륜당 (江陵鄕校 明倫堂) 분 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2020.12.28 소 재 지 강원도 강릉시 명륜로 29 (교동, 강릉향교) 시 대 조선시대(1413년 중건, 1623년 중수, 1644년 중창) 소 유 자 강릉향교 관 리 자 강릉향교 일반설명 「강릉향교」는 영동지방의 거진인 강릉도호부의 향교로서 고려시대에 가장 먼저 건립된 교육기관의 하나로 손꼽히며, 1413년 중건되어 향교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음. 대성전을 비롯한 명륜당 등은 임진왜란과 한국전쟁 시에도 불타지 않아 조선전기 목조건축물의 규모와 모습을 간직하고 있음. 개화기 이후에는 열악한 교육환경에서 근대학교의 설립주체로 참여거나 교육의 장을 제공..

문화재/보물 2022.10.14

보물 (제2087호) 효의왕후 어필 및 함-만석군전ㆍ곽자의전

종 목 보물 (제2087호) 명 칭 효의왕후 어필 및 함-만석군전ㆍ곽자의전 (孝懿王后 御筆 및 函-萬石君傳ㆍ郭子儀傳) 분 류 기록유산 / 서간류 / 서예 수량/면적 서책 1책, 함 1점 지 정 일 2020.12.22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시 대 조선시대 1794년(정조 18) 소 유 자 국립한글박물관 관 리 자 국립한글박물관 일반설명 「효의왕후 어필 및 함-만석군전․곽자의전(孝懿王后 御筆 및 函-萬石君傳․郭子儀傳)」은 정조(正祖, 재위 1776~1800)의 비 효의왕후 김씨(孝懿王后 金氏, 1753~1821)가 조카 김종선(金宗善, 1766~1810)에게 《한서(漢書)》의 「만석군석분(萬石君石奮)」과 《신당서(新唐書)》의 「곽자의열전(郭子儀列傳)」을 한글로 뒤치게 한 다음 그 내용을 1794년(정..

문화재/보물 2022.10.14

보물 (제2086호) 조선말 큰사전

종 목 보물 (제2086호) 명 칭 조선말 큰사전 (朝鮮말 큰사전 原稿)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필사본 수량/면적 8책(2,204장),5책(1,314장),1책(51장) 지 정 일 2020.12.22 소 재 지 충남 천안시 동남구 독립기념관로 1 (목천읍, 독립기념관) (사)한글학회,동숭학술재단 시 대 일제시대 (1929∼1942년 경) 소 유 자 독립기념관 관 리 자 독립기념관 일반설명 보물 제2086호 ‘조선말 큰사전 원고’는 조선어학회(한글학회 전신)에서 1929∼1942년 경에 이르는 약13년 동안 작성한 사전 원고의 필사본 교정지 총 14책이다. (사)한글학회(8책), 독립기념관(5책), 개인(1책) 등 총 3개 소장처에 분산되어 있다. 우리나라 최초의 국어사전 ‘말모이 원고’(보물 제20..

문화재/보물 2022.10.14

보물 (제2085호) 말모이 원고

종 목 보물 (제2085호) 명 칭 말모이 원고 (말모이 原稿)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필사본 수량/면적 1책(표지 제외 114장) 지 정 일 2020.12.22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용산동6가, 국립한글박물관) 시 대 일제시대 (1914년 경) 소 유 자 국립한글박물관 관 리 자 국립한글박물관 일반설명 「말모이 원고」는 학술단체인 ‘조선광문회(朝鮮光文會)’ 주관으로 한글학자 주시경(1876~1914)과 그의 제자 김두봉(1889~?), 이규영(1890~1920), 권덕규(1891~1950)가 집필에 참여해 만든 우리나라 첫 한글사전 ‘말모이’의 원고다. ‘말모이’는 말을 모아 만든 것이라는 의미로, 오늘날 사전을 뜻하는 순우리말이다. 주시경과 제자들은 한글을 통해 민족의..

문화재/보물 2022.10.14

보물 (제2084호) 경진년 연행도첩

종 목 보물 (제2084호) 명 칭 경진년 연행도첩 (庚辰年 燕行圖帖) 분 류 유물 / 일반회화 수량/면적 1첩(21폭) 지 정 일 2020.12.22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시 대 조선시대 (1761년(영조 37)) 소 유 자 명*** 관 리 자 명*** 일반설명 보물 제2084호 ‘경진년 연행도첩’은 1760년 11월 2일 한양을 출발해 이듬해 1761년 4월 6일 돌아온 경진동지사행의 경과를 영조가 열람할 수 있도록 제작한 화첩으로, 영조의 어명을 받은 정사 홍계희(洪啟禧, 1703-1771)가 화가를 데리고 직접 현장을 찾은 심양관 옛터, 북경의 문묘 및 이륜당 등 유교 사적, 산해관 일대를 그린 그림, 건물 안 위패 위치를 글자로 나타낸 배반도(排班圖), 그림 관련 내용을 정리 기록한 발..

문화재/보물 2022.10.14

보물 (제2083호) 김해 양동리 322호분 출토 목걸이

종 목 보물 (제2083호) 명 칭 김해 양동리 322호분 출토 목걸이 (金海 良洞里 三百二十二號墳 出土 頸飾) 분 류 유물 / 생활공예 수량/면적 1건 2조 574점 지 정 일 2020.10.21 소 재 지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시 대 삼국시대 (3~4세기) 소 유 자 국*** 관 리 자 국*** 일반설명 보물 제2083호 ‘김해 양동리 322호분 출토 목걸이’는 1994년까지 동의대 박물관에 의해 3차 발굴조사한 목곽묘에서 출토된 유물이다. 함께 공반(公班) 출토된 유물 중 중국 한 대(漢代) 청동 예기로 밝혀진 청동 세발 솥[鼎] 등을 통해 3세기 금관가야 고분이 확실하다는 점이 밝혀졌다. 이 목걸이는 수정제 곡옥 147점, 대형 수정제 다면옥 2점, 마노 환옥 6점, 파란 유리 환옥 418점 등 다..

문화재/보물 2022.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