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 《고봉화상 선요》는 송나라 고봉선사 원묘(原妙, 1238-1295)가 선(禪)수행의 요령을 간추려서 해설한 선종의 지침서로, 우리나라에서는 스님들의 교육기관인 불교 전문강원(승가대학)의 사집과(四集科)의 과목 중 하나로 고려이후 지금까지도 학습하고 있다. 이 책은 고봉의 제자인 지정(持正)이 기록하고 홍교조(洪喬祖)가 편록하여 ‘선요(禪要)’라 이름을 붙였으며, 권수에는 1354년에 쓴 홍교조의 서문과 주영원(朱潁遠)의 발문이 있다. 권말에는 간행기록이 있으며, 전체는 앞뒤 표지를 포함하여 55장이며, 본문은 권수의 구분 없이 51장으로 되어 있다. 이 책은 고봉화상이 수행중 겪은 갖가지 선적(禪的) 체험을 토대로 갈등을 두려워하지 않는 간절함과 뛰어난 지혜의 섬광이 곳곳에 나타나 있어 방황하는 수행인에게 좋은 길잡이가 되었으므로 고려 이후 우리나라 선종을 비롯한 스님들의 강원교재로 채택되었으며 30여 차례 간행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책이 우리나라에 전래된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고려시대 1358년에 최초로 간행하였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그 직전에 전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법장사 소장본은 표지에 ‘高峰錄(單)’으로 묵서된 표제가 원형을 잘 유지하고 있으며, 우측 하단에 ‘密庵(밀암)’이라는 소장자 표시가 있다. 그리고 천두(天頭: 페이지 상단) 부분에는 간혹 주해가 세필로 쓰여 있으며, 본문은 구결과 한글 훈독이 세필로 묵서되어 있어 독해에 참고가 된다. 권말에는 간행시에 천관(天寬) 스님이 쓴 것으로 보이는 발문이 수록되어 본서의 간행배경에 대해서 밝히고 있어 자료적 가치가 있으며, 발문의 끝부분에 “萬曆元年癸酉(1573)孟冬 黃海道文化地妙九月山月精寺開刊”이라는 간행기록이 보이고 있다. 따라서 법장사 소장본은 1573년에 황해도 문화의 구월산 월정사에서 개판한 판본임을 알 수 있다. 현재 이와 동일한 내용을 지닌 《고봉화상 선요》는 국내 여러 기관과 사찰 등에 다수 소장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황해도 월정사에서 1573년에 간행한 판본은 법장사 소장본이 유일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는 희귀한 판본이다.
고봉화상선요 고봉화상선요 고봉화상선요 고봉화상선요 고봉화상선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