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경기문화재자료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82호 포천 화봉사 신중탱화

오늘의 쉼터 2016. 10. 4. 00:12




종 목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82호

명 칭

포천 화봉사 신중탱화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탱화 /기타

수량/면적

1점

지정(등록)일

2016.07.22

소 재 지

경기도 포천시 가산로 227-37 (가산면)

시 대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화봉사

관리자(관리단체)

화봉사

상 세 문 의

경기도 포천시 문화체육과 031-538-3482

 

일반설명

 

포천 화봉사 신중탱화는 1867년(고종4) 양주 오봉산 석굴암에서 제작 봉안되었으나 3년 후인 1870년(고종7) 포천 화봉사가 개창되면서 이운된 불화이다. 설암당 관익 스님이 총감독 겸 화주로 칠성각의 칠성도, 삼성각의 독성도와 함께 조성하였으며, 불화를 그린 금어는 최정이다.

이 불화는 화면을 황색의 운무로 경계 짓고 상단에 대범천과 제석천, 그리고 공양자와 주악천녀상 등을 배치하고, 하단에 위태천을 중심에 두고 신장상을 배치하였다. 주존격인 대범천과 제석천, 위태천의 녹색두광을 꼭지점으로 역삼각형구도를 이루고 있지만 위태천 주변에 일렬로 무장상 등의 인물을 배치하여 구도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단구조와 주존을 중심으로 한 역삼각형구도의 결합은 19세기 신중도의 전형적인 구성법이다.

상단 우측에 위치한 범천의 옆에는 사물놀이패의 복식을 갖추고 입은 천녀와 동자가 북과 장고, 피리, 생황을 연주하고 있다. 상단에 위치한 동자는 머리에 흰 종이화관을 쓰고 북채를 든 두 손을 치켜들어 흥겹게 북을 치는 형상이다. 북에는 전통적인 삼태극 문양이 그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이 연주하는 장고, 피리, 생황은 모두 조선의 전통적인 악기들이다. 이들의 형상은 조선후기 민간에서 유행했던 사물놀이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어 신중도의 제작에 적용된 조선후기 대중문화의 단면을 볼 수 있다. 또한 하단부에 한국의 토속신인 산신이 무장상들과 같은 비중을 두고 배치되는 것은 19세기 전반부터 보이기 시작하는 특징적인 요소로서 전통적인 산신신앙이 불교에 습합되면서 바뀐 도상적인 변화이다.

전체적으로 적생, 황색, 청색을 주조로 하고 부분적으로 녹색, 흰색 등을 적절히 섞어 조화롭게 채색하였다. 아수라와 팔부신장의 피부는 백색 안료에 붉은 색의 진사나 황색 안료 등을 혼합하여 엷게 선염하여 입체감을 주고 있다. 이러한 전통적인 음영법은 신장상들의 위엄과 용맹한 성정을 드러내는 데 적극 활용하고 있는 기법적인 특징이다.

불화의 뒷면에는 오봉산 석굴암에서 포천 화봉사로 이동하게 된 경위가 상세히 기록되어 있어 기록물로서의 의미 뿐 아니라 불화의 조성과 이동에 관한 새로운 사실도 알 수 있어 중요하다.




포천 화봉사 신중탱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