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70호 |
---|---|
명 칭 |
반야암 목조석가여래좌상 (般若庵 木造釋迦如來坐像) |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
수량/면적 |
1구 |
지정(등록)일 |
2014.09.25 |
소 재 지 |
서울 서대문구 봉원동 30(반야암) |
시 대 | 조선시대 |
소유자(소유단체) |
반야암 |
관리자(관리단체) |
반야암 |
상 세 문 의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문화과 02-330-1122, 1129 |
일반설명
반야암(般若庵) 목조석가여래좌상은 봉원동에 위치한 봉원사(奉元寺) 암자인 반야암(般若庵) 대웅전에 봉안된 주존상으로, 약간 길어진 계란형 얼굴에 머리는 육계의 구분이 불분명하다. 이마 위 머리 중앙에는 반원형의 중앙계주(中央髻珠)가 마련되어 있으며, 꼭대기에는 정상계주(頂上髻珠)가 구비되어 있어 전반적으로 얼굴이 길어 보인다. 허리를 곧게 세우고 머리를 앞으로 살짝 숙여 시선이 아래로 향하는 원만형의 얼굴에는 곡선의 눈썹에 일자로 반쯤 뜬 눈, 약간 두툼한 눈두덩에 가늘고 오뚝한 삼각형의 코를 하고, 입가에 엷은 미소가 번져나 단정해 보인다. 얼굴에 비해 좁아진 어깨로 인해 다소 왜소해 보이기는 하지만, 상체가 길어지고 무릎이 약간 넓어져 안정감을 보인다. 양손은 무릎 위에 가지런히 올려 오른손은 무릎 위에 내리고, 왼손은 앞쪽을 향해 손바닥이 위로 향하도록 하여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있다. 법의(法衣)는 드러난 오른쪽 어깨를 덮은 뒤 팔꿈치를 감싸고 돌아 복부 쪽으로 말려들어 간 변형된 우견편단이며, 대의 안쪽에 표현되어 있는 승각기[內衣]는 상부를 연판형으로 처리하였다. 대의(大衣)는 목 부분의 옷주름이 이중으로 되어 있으며 대의 끝자락은 허리까지 길게 늘어져 있다. 반야암(般若庵) 석가여래좌상의 경우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전반에 활동한 조각승 진열(進悅) 유파의 양식특징을 엿보인다. 즉, 1713년 진열(進悅)이 수화승으로 책임을 맡아 조성한 고양 상운사 목조아미타불좌상의 상호와 비슷함은 물론, 제주 용문사 석조여래좌상의 오른쪽 어깨를 덮는 대의자락의 넓고 뾰족한 옷주름 표현 또한 약간 유사함이 엿보인다. 또한 밀양 여여정사 목조관음보살좌상의 옷주름 표현과 뒤 목 주위에서 보이는 이중으로 접힌 옷주름 등이 서로 비슷함을 확인할 수 있다.「개금중원문기(改金重修願文記)」를 살펴보아 반야암(般若庵) 목조석가불좌상은 1872년 19세기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대 활약상을 보인 대표적 화승 한봉당(漢峰堂) 창엽(瑲曄)이 수화승(首畵僧)을 맡고 역암당(櫟庵堂) 승의(勝宜)와 덕월당(德月堂) 응륜(應崙)이 보조화승으로 참여하여 개금중수되었음을 알 수 있다. 금곡당(金谷堂) 영환(永煥)을 은사로 두고 있는 한봉당(漢峰堂)은 화승으로서 불화 이외에도 1861년에는 고성 유점사 소조아미타불을 조성하고, 1873년에는 도봉산 자락의 오봉산 석굴암의 지장보살상 조성 및 나반존자상 보수하며, 1887년에는 안성 운수암 아미타불 조성에 책임을 맡고 있음이 파악된다. 목조불상으로서 틈이 갈라지거나 표면 금이 벗겨지는 등의 손상 없이 보존이 잘 이루어져 있으며, 개금 또한 벗겨지거나 균열이 보이지 않아 전반적으로 보존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그러나 18세기 전반 진열(進悅) 유파의 양식특징을 보이는 것과 함께, 1872년 개금중수가 이루어진 점으로 미루어 보아 이 불상은 아무리 늦어도 18세기 중엽 경에는 조성 되었을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겠다. 따라서 반야암(般若菴) 목조석가불좌상은 서울·경기지역의 조선 후기 불상양식을 파악하는 데 학술적 가치가 있다고 여겨져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사료된다. 한편 석가불좌상에서 복장물이 발견되었는데, 복장물의 종류는 강희(康熙)라는 간지명만 남아 있는 조성발원문 잔편과 개금중수원문기, 분책된 묘법연화경, 후령통, 다라니 등으로 「개금중수원문기(改金重修願文記)」는 다음과 같다. 鐘頭 比丘 性宜
반야암 목조석가여래좌상
반야암 목조석가여래좌상 |
'문화재 > 서울유형문화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72호 흥천사 바로자나삼신괘불도 및 괘불함 (0) | 2015.05.21 |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71호 반야암 석조보살좌상 (0) | 2015.05.21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69호 반야암 목조관음보살좌상 (0) | 2015.05.20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68호 흥천사 지장시왕도 (0) | 2015.05.20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67호 흥천사 극락보전 아미타불도 (0) | 2015.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