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53호 |
---|---|
명 칭 | 남양주 흥국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일괄() |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목조/ 불상 |
수량/면적 | 21구 |
지정(등록)일 | 2011.03.08 |
소 재 지 | 경기 남양주시 별내면 덕송리 331 |
시 대 | 조선시대 |
소유자(소유단체) | 대한불교조계종 흥국사 |
관리자(관리단체) | 대한불교조계종 흥국사 |
상 세 문 의 | 경기도 남양주시 문화관광과 031-590-2064 |
일반설명
흥국사(興國寺)는 별내면 덕송리 수락산 아래에 위치한 봉선사의 말사이다. 599년(신라 진평왕 21) 원광법사(圓光法師)가 당나라에서 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후 창건하였으며 처음에는 절 이름을 수락사(水落寺)라고 하였다. 현재는 『봉선사본말사지』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전하고 있다. 조선 중기 1568년(선조 1) 선조가 아버지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원당(願堂)을 이곳에 건립하면서 흥덕사(興德寺)라는 편액을 하사하였으며 1626년(인조 4) 흥덕사를 흥국사(興國寺)로 바꾸었다. 흥국사(興國寺) 시왕전(十王殿) 중앙의 목조지장삼존을 비롯하여 시왕, 판관, 귀왕, 사자, 장군 등의 명부권속을 배치하였다. 지옥에서 망자의 죄를 심판하는 10인 왕의 형상이다. 시왕전에 목조지장보살상 등과 함께 봉안하였으며, 모두 의자에 앉아 있는 좌상으로 높이는 92~108cm 정도이다. 봉안된 목조 시왕상은 진광왕(秦廣王), 초강왕(初江王), 송제왕(宋帝王), 오관왕(五官王), 염라왕(閻羅王), 변성왕(變成王), 태산왕(泰山王), 평등왕(平等王), 도시왕(都市王), 오도전륜왕(五道轉輪王)이다. 1774년에 제작된 시왕도와 함께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남양주 흥국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남양주 흥국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남양주 흥국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
'문화재 > 경기유형문화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55호 남양주 봉영사 아미타불도(阿彌陀佛圖) (0) | 2014.04.10 |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54호 남양주 흥국사 영산전 소조석가삼존불좌상 (0) | 2014.04.10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52호 남양주 흥국사 대웅보전 목조석가삼존불좌상 (0) | 2014.04.10 |
ㅁ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51호 류상운 약재집 초고본 (0) | 2014.04.10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50호 박동량 호성공신교서(朴東亮 扈聖功臣敎書) (0) | 2014.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