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서울특별시유형문화재 제260호 (성북구) |
---|---|
명 칭 | 경국사지장시왕도(慶國寺 地藏十王圖) |
분 류 | 유물 / 불교회화/ / |
수량/면적 | 1폭 |
지정(등록)일 | 2008.05.08 |
소 재 지 | 서울 성북구 정릉3동 753 대한불교조계종 경국사 |
시 대 | 조선시대 |
소유자(소유단체) | 대한불교조계종 경국사 |
관리자(관리단체) | . |
상 세 문 의 | 서울특별시 성북구 문화공보과 02-920-3412 |
일반설명
이 불화는 1870년에 경선 응석(慶船 應釋)과 봉감(奉鑑),자한(自閒), 체훈(軆訓)이 그린 개운사 지장시왕도를 초본으로 하여 혜산축연에 의해 제작된 것이다. 혜산축연(惠山 竺演)은 19세기 후반 ~ 20세기 전반 강원도와 경기도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던 화승으로 금강산의 신계사, 유점사를 비롯한 강원도 일대의 사찰들과 흥천사, 봉림사 등 경기지역 사찰의 불화를 많이 조성한 화승이다. 그는 서울지역에서도 활발하게 불화를 제작하여 현재 서울에서 조성한 작품은 20여 점이 남아있는데, 그중 1887년 경국사 불화 제작시에는 수화사(首畵師)로 활동하면서 불사를 주도하였다. 이 시기에는 그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파격적인 음영법이 아직 형성되지 않은 듯 전통적인 수법의 양식이 보여진다. 특히 이 불화는 선악동자를 함께 그린 지장시왕도 형식의 대표적인 작품으로서, 유난히 가늘고 긴 눈과 아주 작은 입 등 얼굴 한 가운데로 몰려있는 이목구비라든가 놀란 듯한 동그란 눈동자와 좁은 미간, 눈 주위와 코, 뺨 부분에 음영을 표현하여 얼굴의 골격을 강조한 점은 다른 지역의 불화와 구별되는 서울경기지역 불화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경국사 지장시왕도 |
'문화재 > 서울유형문화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특별시유형문화재 제262호 (성북구) 경국사팔상도(慶國寺 八相圖) (0) | 2011.12.15 |
---|---|
서울특별시유형문화재 제261호 (성북구) 경국사감로도(慶國寺 甘露圖) (0) | 2011.12.15 |
서울특별시유형문화재 제259호 (강북구) 도선사 청동 종 및 일괄 유물 (0) | 2011.12.15 |
서울특별시유형문화재 제258호 (서초구)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天地冥陽水陸齋儀纂要) (0) | 2011.12.15 |
서울특별시유형문화재 제257호 (서초구) 법계성범수륙승회수재의궤권1 (0) | 2011.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