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13호 |
---|---|
명 칭 | 서천저산팔읍길쌈놀이(舒川苧産八邑길쌈놀이) |
분 류 | 무형유산 / 전통연행/ 놀이/ 세시놀이 |
수량/면적 | 단체 |
지정(등록)일 | 1991.07.09 |
소 재 지 | 충남 서천군 한산면 지현리 60-1 |
시 대 | 대한민국 |
소유자(소유단체) | 서천저산팔읍길쌈놀이보존회 |
관리자(관리단체) | 서천저산팔읍길쌈놀이보존회 |
상 세 문 의 | 충청남도 서천군 문화관광과 041-950-4225 |
일반설명 서천 저산팔읍 길쌈놀이는 모시짜기로 유명한 한산지방을 중심으로 발달한 베짜기에 관한 민속놀이로 주로 부녀자들의 가내수공업이었다. 신라 유리왕(재위 24∼57)이 두 왕녀로 하여금 부내의 여자들을 나누어 길쌈을 하게 하고, 추석날에 결과를 심사하여 진 편에서 이긴 편에게 술과 음식을 대접하였다는 『삼국사기』기록으로 미루어 일찍부터 모시길쌈이 있었으며, 나라에서도 이를 장려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길쌈놀이는 모시를 베어다 모시베끼기, 모시삼기, 모시꾸리감기, 모시날기, 모시매기, 모시짜기 등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노래와 행위로 표현하고 있다. 노래는 민요풍으로 여인네의 애환과 체념, 그리움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또 저산팔읍을 예찬하는 노래에 맞추어 흥겹게 춤추면서 농사의 고달품을 잊고, 이웃과 화합을 꾀하며 협동을 다진다. 발표가 끝나면 모든 사람들이 원을 그리며 춤을 추고 장원을 한 마을을 축하해준다. 서천 저산팔읍 길쌈놀이의 전통은 근래까지 전승되어 농촌 부녀자들이 7월에서 8월까지 일정한 장소에 모여 공동으로 길쌈을 하였으며, ‘두레길쌈’이라고 하여 서로 겨루기보다는 함께 돕는 품앗이 같은 두레의 성격이 짙다.
![]() 서천저산길쌈놀이
![]() 서천저산길쌈놀이 |
'문화재 > 충남무형문화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15호 아산옹기장(牙山甕器匠) 해제 (0) | 2011.03.07 |
---|---|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14호 연산백중놀이 (0) | 2011.03.07 |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12호 황도붕기풍어제(黃島붕기豊漁祭) (0) | 2011.03.07 |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11호 아산연엽주(牙山蓮葉酒) (0) | 2011.03.07 |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10호 서천대목장(舒川大木匠) (0) | 2011.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