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6호 |
---|---|
명 칭 | 전통자기도공(傳統磁器陶工) |
분 류 | |
수량/면적 | |
지정(등록)일 | 1989.05.01 |
소 재 지 | 강원 횡성군 공근면 창봉리 533 |
시 대 | |
소유자(소유단체) | |
관리자(관리단체) | |
상 세 문 의 | 강원도 횡성군 관광경제과 |
전통자기도공은 전통적인 기법으로 자기를 만드는 사람 또는 기술을 말한다. 우리나라는 신석기부터 흙으로 토기를 만들어 사용했으며, 10세기 초에는 중국 당나라의 도자기 기술을 받아들여 상감청자를 만들게 되었다. 그 후 몽고의 침입으로 청자 제작기법은 쇠퇴하고, 조선 전기에 분청사기와 조선백자의 제작이 활발해졌다. 그러나 임진왜란(1592)을 거치면서 가마가 파괴되고 많은 도공들이 일본에 끌려가면서 도자기술이 쇠퇴하기에 이르렀는데, 다행히도 광주관요(官窯)가 유일하게 남게되어 조선백자를 중심으로 하는 큰 줄기를 이루게 되었다. 전통자기의 제작과정은 제토(製土)·성형(成形)·조각(彫刻)·시유(施釉)·소성(燒成) 등의 과정을 거친다. 제토과정은 돌을 깨뜨려 가루로 만든 뒤 흙을 풀어서 섞은 후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수비과정을 거친 다음 바탕흙(태토)을 짓이긴다. 짓이긴 흙을 물레에 올려 물건의 형태를 만들고, 성형이 끝나면 말려서 칼로 문양을 새긴다. 이어 초벌구이를 하고 유약을 바른 뒤 재벌구이를 마치면 작품완성이다. 제작용구는 물레·방망이·지래박·수레·물가죽·쇠홀태·목홀태·전칼 등이 쓰인다. 전통자기도공은 한국의 미를 표현하는 전통공예기술로서 보호하고 전승하기 위해 무형문화재로 지정하였다. 전통도자기 제작기능을 이수한 강원도의 장송모씨가 강원도자문화연구회 설립을 통해 그 맥을 이어가고 있다.
전통자기도공 |
'문화재 > 강원무형문화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8호 전통활쏘기(傳統활쏘기) (0) | 2011.03.06 |
---|---|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7호 양구돌산령지게놀이 (0) | 2011.03.06 |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5호 강릉학산오독떼기 (0) | 2011.03.06 |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4호 횡성회다지소리(橫城회다지소리) (0) | 2011.03.06 |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3호 강릉농악(江陵農樂) (0) | 2011.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