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경기무형문화재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23호 김포통진두레놀이

오늘의 쉼터 2011. 3. 6. 08:42

 


종 목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23호
명 칭 김포통진두레놀이(金浦通津두레놀이)
분 류 무형유산 / 전통연행/ 놀이/ 세시놀이
수량/면적

단체

지정(등록)일 1998.04.06
소 재 지 경기 김포시  통진면 도사리 434-7
시 대대한민국
소유자(소유단체)김포통진두레문화센터
관리자(관리단체)김포통진두레문화센터
상 세 문 의 경기도 김포시 문화공보담당관실 031-980-2741

  설명

 

김포 통진면에 오랫동안 이어져 내려오는 두레놀이로 농촌공동체의 전통을 이어가고 있는 놀이이다.

통진두레놀이는 농사를 짓는 전 과정을 세밀하게 놀이로서 표현하고 있으며, 특히 농요가 발달되어 흥이 절로 난다. 놀이는 입장, 볍씨뿌리기, 논갈이 및 써래질, 고사지내기, 모찌기, 모내기, 새참먹기, 물고싸움이 두레싸움으로, 김매기, 벼베기, 탈곡하기, 섬쌓기, 마무리의 순서로 진행된다. 고사지내기에서는 한 해 농사가 풍년이 들도록 기원하며 고사떡을 나누어 먹고, 모찌기에서는 메기고 받는 모찌기노래로 힘든 노동을 이겨내고 즐겁게 일하기 위해 흥을 돋운다. 새참먹기는 일하다가 새참을 먹으며 여흥을 즐기는 모습을 그리고 있어 일과 놀이가 한데 어우러짐을 보여준다. 남의 논물을 자기 논으로 대려다 들켜 물고 시비가 되어 두레싸움으로 되는데, 싸움이 곧 화합의 과정으로 이어져 결국 공동체임을 확인시켜 준다.

오늘날에는 예전과 같은 두레의 모습을 찾아보기는 힘들지만 통진두레놀이는 농촌사회의 공동체인 두레의 아름다운 모습을 놀이를 통해 이어가고 있다.

 

 


김포통진두레놀이

열 번째 마당:벼베기

열두번째 마당:섬쌓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