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7호 |
---|---|
명 칭 | 완초장(莞草匠) |
분 류 | |
수량/면적 | |
지정(등록)일 | 2008.12.15 |
소 재 지 | 인천 남구 |
시 대 | |
소유자(소유단체) | |
관리자(관리단체) | |
상 세 문 의 | 인천광역시 남구 문화공보실 032-880-4298 |
완초장이란 왕골로 기물을 만드는 사람을 말한다. 왕골은 논 또는 습지에서 자라는 1, 2년생 풀로서 키는 60∼200㎝에 이르며 완초, 용수초, 현완, 석룡초라고도 한다. 왕골제품으로는 자리, 돗자리, 방석, 송동이, 합 등이 있다. 왕골이 신라시대에 이미 사용되었음은 『삼국사기』의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다. 고려때에는 사직신(社稷神)의 신위에 왕골자리를 깔았으며, 왕실에서 주로 사용하였고, 중국에 보내는 증여품으로도 사용되었다.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매우 귀한 제품으로 궁중이나 상류계층에서 사용하였고, 외국과의 중요한 교역품으로도 쓰였다. 현존하는 왕골제품을 통해 본 제작기법으로는 도구를 이용하는 두 가지 방법과 손으로 엮는 방법이 있다. 도구를 이용하는 방법 중 한 가지는 고드랫돌에 맨 두 가닥 실을 자리틀에 걸고 자리알을 두가닥 실로 엮는 노경소직(露經疏織:날줄이 겉으로 들어나 보이며 성글게 짜여진 기법)의 자리와 방석이 있으며 또 하나는 돗틀에 씨실을 촘촘히 걸어 긴 대바늘에 꿴 자리알을 넣으면서 바디로 눌러 다져서 짜는 은경밀직(隱經密織:날줄이 겉으로 들어나지 않으면서 촘촘히 짜여진 기법)의 돗방석과 돗자리가 있다. 손으로 엮는 방법으로는 왕골 4날을 반으로 접어 총 8개의 날줄을 정(井)자형으로 엮은 후 두 개의 씨줄을 엮어 만드는 8각, 원형의 방석이 있고, 삼합, 송동이(작은 바구니) 등도 모두 이 기법을 이용하여 만든다.
완초장 |
'문화재 > 인천무형문화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9호 갑비고차농악 (0) | 2011.03.04 |
---|---|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8호 서곶들노래 (0) | 2011.03.04 |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6호 인천근해도서지방상여소리 (0) | 2011.03.04 |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5호 인천수륙재(仁川水陸齋) (0) | 2011.03.04 |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4호 단청장(丹靑匠) (0) | 2011.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