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대구무형문화재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호 고산농악(孤山農樂)

오늘의 쉼터 2011. 3. 4. 18:44

 

종 목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호
명 칭 고산농악(孤山農樂)
분 류 무형유산 / 전통연행/ 음악/ 민속음악
수량/면적
지정(등록)일 1984.07.25
소 재 지 대구 수성구  내환동 467
시 대
소유자(소유단체)
관리자(관리단체)
상 세 문 의 대구광역시 수성구 문화공보실 053-666-2172

 

농악은 농부들이 두레를 짜서 일할 때 치는 음악으로 꽹과리·징·장고·북과 같은 타악기를 치며 벌이는 음악을 두루 가리킨다. 농악을 공연하는 목적에 따라 종류를 나누어 보면 당산굿·마당밟이·걸립굿·두레굿·판굿·기우제굿·배굿 등으로 나눌 수 있고, 지역적 특징에 따라 분류하면 경기농악·영동농악·호남우도농악·호남좌도농악·경남농악·경북농악으로 갈라진다.

고산농악은 마을 개척시기부터 해마다 정월 대보름 마을제사를 지내는 한 과정으로 행해져온 것이라 전해진다. 농악의 과정은 농기구를 앞세우고 상쇠를 선두로 징·북·장구·상모·잡색이 농악이 행해질 곳으로 향하는 길매구, 상쇠의 지휘에 따라 가볍게 뛰며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다가 태극무늬를 만들며 시계방향으로 도는 덩덕궁이, 원을 돌며 상쇠의 지휘에 따라 뒤돌아가기와 두 개의 동심원을 그리는 둘석, 상쇠의 가락에 따라 원을 돌며 각자 춤을 추는 춤굿, 상모를 쓴 사람들이 원 가운데에서 서로 손을 잡고 작은 원을 돌면서 닭을 쫓는 닭쫓기, 농기구를 중간에 두고 원을 돌면서 좁혀 들어갔다가 다시 풀어 나오는 방석말이, 원이 풀어지면서 징·북·장구가 한 줄로 서고 상모 1명이 중앙에 마주보고 서서 쇠를 치는 모내기굿, 상모·장구·북·징의 순서로 같은 악기를 연주하는 사람들끼리 원 가운데에 나와 놀이를 하는 법고놀이로 진행된다.

고산농악의 특징은 고유의 전통적 아름다움을 잃지 않고 향토색 짙은 농악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다른 농악놀이에는 없는 닭쫓기 마당이 있다는 점이다.

 

 


고산농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