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77호 |
---|---|
명 칭 | 밀양 퇴로리 서고정사(密陽 退老里 西皐精舍) |
분 류 | |
수량/면적 | 2동 |
지정(등록)일 | 2009.10.22 |
소 재 지 | 경남 밀양시 부북면 퇴로1길 43 |
시 대 | 조선시대 |
소유자(소유단체) | 여주이씨 항재공파 종중 |
관리자(관리단체) | 여주이씨 항재공파 종중 |
상 세 문 의 | 경상남도 밀양시 문화관광과 055-359-5646 |
일반설명 서고정사는 1898년에 항재(恒齋) 이익구(李翊九)가 1898년에 창건한 별서(別墅)로, 그는 교위공 이사필의 13세손이며 도원(桃源) 이종극(李鍾極)의 장남이다. 퇴로마을의 서쪽 산기슭에 위치하고 있어 西皐精舍라 했으며, 그는 만년을 이 정사와 주변의 경관을 즐기시면서 교육과 독서, 저술에 전념 하였다. 항재 별세 후에는 그의 장자 성헌(省軒, 炳熹 1859-1938)과 차자 화하(華下, 炳壽 1861-1930) 형제가 이 정사에서 장수(藏守)했다. 서고정사는 전면 우측에 관리사를 두고 좌측 후부에 정사의 주공간을 배치한 형태이다. 외부공간은 크게 세 영역으로 구분되며, 각 영역의 경계에는 내담을 쌓았다. 먼저 항재(正堂)와 한서암으로 이루어진 정사(精舍)의 주공간과 관리인이 거주하는 관리사와 부속채로 이루어진 관리지원공간 그리고 연못인 활수당과 정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공간에는 항재와 한서암이 ‘역ㄱ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항재 우측에 있는 관리사와 정사 사이에는 내담을 쌓아 공간적으로 구분하고, 출입을 위해 두 곳에 협문을 건축했다. 서고정사의 범위는 담장 안의 건축물은 물론 담 밖의 자연물을 포괄하는 개념이었다. 서고정사기에는 한서암 밖 작은 개울을 영과간(盈科澗)을 비롯 일제안(一躋岸), 과육천(果育泉), 제가곡(霽佳谷), 우경평(耦耕坪), 곡구림(谷口林), 사우정(四友亭), 심진경(尋眞徑)을 모두 서고정사의 영역에 포함시키고 있다. 이는 조선중기의 유학자들이 강학과 장수의 공간으로 즐겨 지었던 정사건축의 조영전통을 따른 것이다. 정당인 항재(恒齋)는 정면 4칸, 측면 2칸의 규모의 홑처마 장혀수장 팔작집이다. 평면은 한 편 마루형으로 정면 왼편에 2칸 마루를 두고 오른편에 온돌방 2칸을 배설한 형태이다. 이처럼 마루를 왼편에 둔 것은 한서암과 활수당과의 관계를 고려한 것이다. 청방간(廳房間)에는 사분합 들문을 달아 마루와 온돌방을 한 공간으로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정당의 2칸 마루는 역락(亦樂)이라 편액했으며, 이는 논어 학이편에서 취한 것이며, 2칸 온돌방은 항재 이익구의 호를 따서‘항재(恒齋)’라 편액했다. 한서암(寒棲庵)은 정면 3칸, 측면 2칸(우측면은 1.5칸) 규모의 장여수장 팔작집으로, 당호는 주자(朱子)의 반초은(反招隱)에서 취한 것이다. 평면은 1칸 마루와 2칸 온돌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못인 활수당에 면해 2칸 마루를 꾸미고, 그 주위에 계자각 난간을 둘렀다. 마루는 온돌방에 비해 정면으로 반 칸을 더 내밀어 2칸(1× 2칸)의 비교적 넓은 공간을 형성했다. 이는 활수당에 면해 마루를 다양한 용도로 쓰기 위해 최대한 넓게 형성하려고 한 결과이다. 마루 배면에는 판벽을 치고 주간에 두 짝의 울거미 판문을 달았다. 廳房間에는 삼분합 들문이 달려 있어 마루와 방을 하나의 공간으로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정당과 한서암에는 經世致用을 주장한 건축주 항재 이익구의 건축관의 반영되어 있다. 대청을 가운데 두는 일반적인 中堂夾室形 평면을 고집하지 않고 활수당, 침우천, 영과천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한편 마루형으로 건축했다. 두 건물 공히 활수당에 가까운 곳에 마루를, 그 맞은편에 온돌방을 두었으며, 온돌방에는 책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수장공간을 만들어 놓았다. 正堂인 항재와 한서암에 사용된 재목은 일정한 크기로 규격화되어 있으며, 전반적으로 질박하고 간결한 구조가 특징이다.
밀양 퇴로리 서고정사
|
'문화재 > 경남문화재자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79호 합천 평구리 효정각 (0) | 2011.01.07 |
---|---|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78호 밀양 미촌리 칠산정 (0) | 2011.01.07 |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76호 밀양 범평리 성재정 소장 고문서 (0) | 2011.01.07 |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75호 김해 모은암 석조 아미타여래좌상 (0) | 2011.01.07 |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74호 함양 하륜 부조묘 소장 향로 및 향합 (0) | 2011.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