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경남문화재자료

문화재자료 제326-2호 함양용추사청허대사영정

오늘의 쉼터 2011. 1. 2. 11:47

 

 

종 목 문화재자료  제326-2호
명 칭 함양용추사청허대사영정(咸陽龍湫寺淸虛大師影幀)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탱화/ 나한조사도
수량/면적 1점(點)
지정(등록)일 2002.10.24
소 재 지 경남 함양군  안의면 상원리 962
시 대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용추사
관리자(관리단체) 용추사
상 세 문 의 경상남도 함양군 문화관광과 055-960-5510

 

일반설명

 

조선 중기의 고승인 청허대사(1520∼1604)의 초상화이다.

청허대사의 자는 현응(玄應)이며, 호는 청허이고, 다른 이름은 서산대사(西山大師)이다. 조선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왕의 특명을 받아 노령으로 전국에 격문을 돌려 승병 1,500여명을 모아 활약하는 등 전쟁에 공을 세웠다.

초상화는 비단 바탕에 채색하여 그려진 것으로, 향좌측을 바라보며 의자에 앉아 있는 전신교의좌상(全身交椅坐像)으로서 족좌대(足座臺)를 하고 있다. 왼손에는 짙은 갈색의 염주를 쥐고 있고, 오른손은 의자의 손잡이를 살짝 쥐고 있다. 얼굴색은 황백토를 바르고, 가는 먹선으로 육신선을 표현하고 있다. 수염과 머리부분 표현은 담묵으로 바림한 후 가는 선으로 먹점과 백색점을 찍어 표현하고 있다. 승복은 남색과 먹을 혼합한 어두운 청회색이며, 가사 표면은 주색이고 그 이면은 황토색이다. 옷주름부분과 의자 손잡이는 엷은 채색으로 밑그림선이 드러나 보이게 표현하였다. 바닥에는 화문석을 배치하여 배경과 구분하였는데, 화문석은 바탕에 호분을 바른 뒤 가로로 옅은 갈색 혹은 죽도(竹刀)로 세선을 그어 결을 나타내고 있다.

이 초상화는 조선 정조 5년(1781)에 조성된 함양용추사무학대사영정과 인체비례·채색법·선묘처리·귀의 묘사·화문석과 배경처리 등의 표현기법이 유사한 것으로 보아, 같은 시기 혹은 적어도 18세기 이후에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함양 용추사 청허대사 영정은 18세기 조사영정을 연구하는데 학술적 가치가 있다.

 

 

 


함양용추사청허대사영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