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제주문화재자료

제주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 제4호 월정사 소장 불상

오늘의 쉼터 2010. 9. 3. 20:37

 

종 목

제주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  제4호

명 칭월정사소장불상(月正寺所藏佛像)
분 류유물 / 불교조각/ 목조/ 불상
수량/면적2기
지정(등록)일2000.12.27
소 재 지제주 제주시  오라2동 652-2번지(월정사내)
시 대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김지문
관리자(관리단체)제주시
상 세 문 의제주도 제주시 문화체육과 064-750-7224
 
일반설명
 
월정사(月正寺)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으로 이조여래좌상(泥造如來坐像) 높이 59㎝, 너비 24.5㎝이고 흙으로 조성되었다. 나발(螺髮)의 머리 위에 높직한 육계가 있고 상호는 원만하나 경직된 모습이다. 법의(法衣)는 양어깨를 모두 덮은 통견(通肩)이며 수인(手印)은 왼손의 손바닥이 하늘을 향하고 오른손은 무릎 위에 가볍게 걸쳐 놓았다. 또한 귀는 길게 표현되어 있고 얼굴의 눈·코·입 등의 표현이 섬세하고 단정하며 안정감 있는 자세 등으로 보아 조선 후기에 제작된 불상이다.
목조보살입상(木造菩薩立像)은 향나무로 만들어졌으며 길이 78.5cm, 어깨너비 20.5cm이다. 머리에는 화려한 금속제 보관(寶冠)을 썼으며, 상호는 원만하고 목에는 삼도(三道)가 표현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인자하면서도 근엄한 인상을 풍긴다. 얼굴에는 백호(白毫)와 눈·코·입이 섬세하게 표현되어 있으며 양쪽 귀는 짧게 표현되어 있다. 이마 위에서 흘러내린 검은 머리는 양쪽 귀를 감싸고 어깨 위까지 내려왔다. 천의(天衣)는 왼쪽 어깨에 걸쳤고 허리 부분의 군의(裙衣) 띠에서부터 원호를 그리며 양쪽 발등까지 길게 흘러내린 유려한 옷주름이 특징적이다. 가슴과 오른팔 등에 굵은 장신구가 있고 양쪽 손목에도 염주가 길게 늘어뜨려져 있으며 두 손으로 연꽃줄기를 들고 있다. 화려한 보관과 유려한 의문(衣紋), 뛰어난 장신구를 비롯한 불상의 조각양식과 기법으로 보아 고려 말기에 제작된 불상으로 추정된다.
 
 
 

이조여래좌상

목조보살입상

///////////////////////////////////////////////////////////////////////////////////////////////////////////////////////////////




종 목

제주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  제4-1호

명 칭이조여래좌상 (泥造如來坐像)
분 류유물 / 불교조각/ 목조/ 불상
수량/면적

1기

지정(등록)일2000.12.27
소 재 지제주 제주시 오라이동 652-2번지 (월정사)
시 대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김지문
관리자(관리단체)월정사
상 세 문 의제주도 제주시 문화예술과 064-728-2731~5
 
일반설명
 
월정사(月正寺)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으로 이조여래좌상(泥造如來坐像) 높이 59㎝, 너비 24.5㎝이고 흙으로 조성되었다. 나발(螺髮)의 머리 위에 높직한 육계가 있고 상호는 원만하나 경직된 모습이다. 법의(法衣)는 양어깨를 모두 덮은 통견(通肩)이며 수인(手印)은 왼손의 손바닥이 하늘을 향하고 오른손은 무릎 위에 가볍게 걸쳐 놓았다. 또한 귀는 길게 표현되어 있고 얼굴의 눈·코·입 등의 표현이 섬세하고 단정하며 안정감 있는 자세 등으로 보아 조선 후기에 제작된 불상이다.



이조여래좌상



///////////////////////////////////////////////////////////////////////////////////////////////////////////////////////////




종 목

제주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  제4-2호

명 칭

목조보살입상 (木造菩薩立像)

분 류유물 / 불교조각/ 목조/ 불상
수량/면적

1기

지정(등록)일2000.12.27
소 재 지제주 제주시 오라이동 652-2번지 (월정사)
시 대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김지문
관리자(관리단체)월정사
상 세 문 의제주도 제주시 문화예술과 064-728-2731~5
 
일반설명
 
목조보살입상(木造菩薩立像)은 향나무로 만들어졌으며 길이 78.5cm, 어깨너비 20.5cm이다. 머리에는 화려한 금속제 보관(寶冠)을 썼으며, 상호는 원만하고 목에는 삼도(三道)가 표현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인자하면서도 근엄한 인상을 풍긴다. 얼굴에는 백호(白毫)와 눈·코·입이 섬세하게 표현되어 있으며 양쪽 귀는 짧게 표현되어 있다. 이마 위에서 흘러내린 검은 머리는 양쪽 귀를 감싸고 어깨 위까지 내려왔다. 천의(天衣)는 왼쪽 어깨에 걸쳤고 허리 부분의 군의(裙衣) 띠에서부터 원호를 그리며 양쪽 발등까지 길게 흘러내린 유려한 옷주름이 특징적이다. 가슴과 오른팔 등에 굵은 장신구가 있고 양쪽 손목에도 염주가 길게 늘어뜨려져 있으며 두 손으로 연꽃줄기를 들고 있다. 화려한 보관과 유려한 의문(衣紋), 뛰어난 장신구를 비롯한 불상의 조각양식과 기법으로 보아 고려 말기에 제작된 불상으로 추정된다.


목조보살입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