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충북유형문화재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46호 묘법연화경 권4∼7

오늘의 쉼터 2010. 8. 20. 20:53



종 목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46호
명 칭

묘법연화경 권4∼7 (妙法蓮華經 卷四∼七)

분 류기록유산 / 전적류/ 목판본/ 왕실본
수량/면적

4권1책

지 정 일2004.10.24
소 재 지충북 단양군 영춘면 백자리 132-
시 대조선시대
소 유 자구인사
관 리 자구인사

 

설명

 

소백산 기슭에 자리한 구인사(救仁寺)에서 소장, 관리하고 있는 조선시대의 불경이다.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전체 7권 중 4권부터 7권까지 4권 1책으로 되어 있다. 1422년(세종 4)에 성녕대군()과 그의 어머니인 원경왕후()가 왕생발원(), 즉 다시 태어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인순부윤() 성억(抑, 1386~1448년)이 새긴 목판본이다. 세종이 즉위한 초기에 판천태종사()가 된 행호()와 이녕대군(), 삼한국부인() 정씨 등이 시주하여 왕실본으로 간행하였다. 책의 크기는 가로 26.7cm, 세로 16.3cm이며, 책의 판본 양식은 사방을 하나의 선으로 둘러싼 사주단변()이다. 각 장의 한 면은 평엽()이고, 행자수()는 10행 20자로 구성되어 있다. 장정 방식은 낱장을 한 장 한 장 접어 우측을 실로 꿰매는 선장본()이다. 보존 상태는 양호하다. 이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은 줄여서 <법화경(法華經)>이라고도 부른다. ‘진실한 가름침의 연꽃 같은 경’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 인간 누구에게나 평등하게 갖추어져 있는 불성()을 인정함으로써 인간에 대한 신뢰를 말하고, 그 약속을 인간 스스로 실천하여 성불()하도록 하는 구체적인 실현 방법을 말하고 있다. 이와 같은 판본으로는 1456년(세조 원년) 소혜왕후()이자 동궁 덕종()의 빈인 한씨()가 조선 초기의 문신이자 좌의정인 한확(確, 1403~1456년)의 부인 홍씨()의 명복을 빌기 위해 찍은 것으로, 경남 양산 통도사에 소장된 보물 제1196호 <묘법연화경>이 있다. 


※명칭변경; 묘법연화경 권4,5,6,7묘법연화경 권4~7


묘법연화경

묘법연화경 권4,5,6서문


////////////////////////////////////////////////////////////////////////////////////////////////////////////////////////



종 목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46-2호
명 칭

묘법연화경 권2ㆍ4ㆍ5ㆍ6 (妙法蓮華經 卷二・四・五・六)

분 류기록유산 / 전적류/ 목판본/ 
수량/면적

4권4첩

지 정 일2008.04.11
소 재 지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대성로 298 (내덕동, 청주대학교)
시 대고려시대
소 유 자구인사
관 리 자구인사

 

설명

 

이 「묘법연화경」은 고려 충렬왕 14(1288)년경에 간행된 목판본으로 추정되는 불경이다. 묘법연화경은 삼승(성문・연각・보살)의 각기 다른 것을 깨닫게 하여 일불승으로 합일시킴을 주안으로 하는 가장 대표적인 대승경전으로 흔히 ‘법화경’이라 부른다. 우리나라 천태종의 근본경전이며, 부처가 되는 길이 누구에게나 열려 있다는 것을 기본사상으로 하고 있다. 「화엄경」과 함께 우리나라 불교사상의 확립에 크게 영향을 끼쳤으며, 우리나라에서 유통된 불교경전 가운데 가장 많이 간행된 경전이다.

이 판본은 鳩摩羅什의 번역본에 의거하여 「법화경」의 대의를 조리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 본문과 본문에 연결 지은 소자본을 입수하여 충렬왕 14 (1288) 년경에 판각한 것의 일부인 듯하다.

본서는 보물 제918호(강태영 소장)와 동일한 판본이나 인출의 시기는 보물 지정본보다 다소 빠른 듯하다.

인쇄는 선명하여 초인본인 듯하며, 지질은 고박한 저지이다. 부분적으로 결락이 있으나 보존상태는 양호하다.

본 「묘법연화경」은 과문을 조목으로 나누어 나열하고 이를 본문에 연결하여 해석한 것으로 「법화경」의 내용을 이해하는데 크게 도움이 되는 귀중한 자료이다.

고려시대에 목판으로 인쇄한 절첩 불경으로서 우리나라 불교사상의 발전과 천태종의 전파과정을 이해하고, 인쇄기술 및 서지학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매우 중요한 자료이며, 문화재적 가치가 크다.




묘법연화경

묘법연화경

묘법연화경




////////////////////////////////////////////////////////////////////////////////////////////////////////////////////////



종 목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46-3호
명 칭

묘법연화경 권6~7 (妙法蓮華經 卷六~七)

분 류기록유산 / 전적류/ 목판본/ 사찰본
수량/면적

2권1책

지 정 일2009.09.11
소 재 지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방곡리 131 대강면 방곡리 131 
시 대조선시대
소 유 자방곡사
관 리 자방곡사

 

설명

 

「妙法蓮華經」은 ‘法華經’이라 약칭하기도 하며 天台宗의 根本經典으로 부처가 되는 길이 누구에게나 열려 있음을 基本思想으로 하고 있다. 「華嚴經」과 함께 우리나라 佛敎思想의 확립에 가장 크게 영향을 끼쳤으며 三國時代 이래로 가장 많이 流通된 佛敎 經典이다.

이 간본은 1561년(명종 16)에 간행된 목판본이다. 발문에는 성달생(成達生, 1376~1444)이 해운(海雲)의 부탁을 받아 능엄경 필사를 하였고, 또 법화경 필사를 시작하였으나 함길도도제사가 되어 북방의 일을 하는 연유로 마치지 못하였다고 하고, 임효인(任孝仁)과 조절(曺楶)이 필사를 마친 후에 혜신(惠信) 등이 발문을 청하여서 그 시종(始終)을 밝힌다고 하였다.

발문은 1477년(成化 13, 성종 8)으로 되어 있으나, 이 시기에 성달생(成達生)은 이미 고인이 되었고 또한 이와 비슷한 발문이 1443년(정통 8, 세종 25)에 간행된 불명산(佛明山) 화암사판본(花岩寺板本)에 보이고 있기 때문에 이미 쓰여진 발문을 그대로 옮겨 쓴 것이라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판본은 1477년 인출된 것으로 판단되는 판본을 저본으로 하여 1561년에 경상도 풍기 소백산지질방사에서 번각한 것으로 판단된다.

跋文 : 成化十三年丁酉二月日 崇祿大夫判中樞府事 昌寧成達生 謹跋

刊記 : 嘉靖四十辛酉正月日 慶尙道豊基地小白山池叱方寺開版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은 천태종(天台宗)의 근본경전이며 “화엄경(華嚴經)”과 함께 한국 불교사상의 확립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경전(經典)이다.





묘법연화경〈권제6, 7〉(Ⅰ)

묘법연화경 권6 권수제




 

////////////////////////////////////////////////////////////////////////////////////////////////////////////////////////



종 목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46-4호
명 칭

묘법연화경 권6~7 (妙法蓮華經 卷六~七)

분 류기록유산 / 전적류/ 목판본/ 사찰본
수량/면적

2권1책

지 정 일2009.09.11
소 재 지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방곡리 131 대강면 방곡리 131 
시 대조선시대
소 유 자방곡사
관 리 자방곡사

 

설명

 

「妙法蓮華經」은 ‘法華經’이라 약칭하기도 하며 天台宗의 根本經典으로 부처가 되는 길이 누구에게나 열려 있음을 基本思想으로 하고 있다. 「華嚴經」과 함께 우리나라 佛敎思想의 확립에 가장 크게 영향을 끼쳤으며 三國時代 이래로 가장 많이 流通된 佛敎 經典이다.

「妙法蓮華經」은 後秦의 鳩摩羅什이 飜譯한 것을 宋의 戒環이 解釋한 것이다.

이 「妙法蓮華經」은 1455(世祖 1)년에 姜希顔의 書體를 字本을 鑄造한 乙亥字로 刊行한 「妙法蓮華經」을 底本으로 하여 嘉靖 10(1531, 中宗 26)년 6월에 慶尙道 永川郡 公山本寺에서 重刻(翻刻)한 版本이다.

公山本寺에서 重刻(翻刻)된 2년 뒤인 嘉靖 12(1533, 中宗 28)년 가을부터 嘉靖 14(1535, 中宗 30)년 3월까지 三聖菴에서 印行한 版本이다.

권7 말미에는 참여 승려의 명단과 施主, 刻手, 鍊板 공양주, 화주의 명단이 보인다. 가장 말미에는 ‘嘉靖十年(1531) 辛卯 六月日 慶尙道永川郡公山本寺重刻’이라 하고, 끝 겉표지에 墨書로 ‘嘉靖十二年 癸巳秋始 乙未三月日 印出行 三聖菴’이라 하였다.

이 간본은 1533년(中宗 26)에 간행된 목판본이다. 간기에는 경상도 영천군 공산본사(公山本寺)에서 중각한다는 내용이 있다. 이 판본은 세조 원년(1455)에 강희안의 서체를 자본으로 하여 주조한 을해자로 인출한 《묘법연화경》판본이 저본으로 추정되는데, 법화경의 많은 판본 가운데 매우 드물게 전래되는 종류이다.

많은 판본 가운데 드문 종류로서 의미를 지니며, 조선초기의 사회사는 물론 불교사 및 인쇄문화의 연구에 긴요한 자료라 할 수 있다.




묘법연화경〈권제6, 7〉(Ⅱ)

묘법연화경 권6,권7 권수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