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46호 | ||||||||||||||||||||||||||||||||||||||||
---|---|---|---|---|---|---|---|---|---|---|---|---|---|---|---|---|---|---|---|---|---|---|---|---|---|---|---|---|---|---|---|---|---|---|---|---|---|---|---|---|---|
명 칭 | 묘법연화경 권4∼7 (妙法蓮華經 卷四∼七) | ||||||||||||||||||||||||||||||||||||||||
분 류 | 기록유산 / 전적류/ 목판본/ 왕실본 | ||||||||||||||||||||||||||||||||||||||||
수량/면적 | 4권1책 | ||||||||||||||||||||||||||||||||||||||||
지 정 일 | 2004.10.24 | ||||||||||||||||||||||||||||||||||||||||
소 재 지 | 충북 단양군 영춘면 백자리 132- | ||||||||||||||||||||||||||||||||||||||||
시 대 | 조선시대 | ||||||||||||||||||||||||||||||||||||||||
소 유 자 | 구인사 | ||||||||||||||||||||||||||||||||||||||||
관 리 자 | 구인사 | ||||||||||||||||||||||||||||||||||||||||
설명
소백산 기슭에 자리한 구인사(救仁寺)에서 소장, 관리하고 있는 조선시대의 불경이다.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전체 7권 중 4권부터 7권까지 4권 1책으로 되어 있다. 1422년(세종 4)에 성녕대군(誠寧大君)과 그의 어머니인 원경왕후(元敬王后)가 왕생발원(往生發願), 즉 다시 태어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인순부윤(仁順府尹) 성억(成抑, 1386~1448년)이 새긴 목판본이다. 세종이 즉위한 초기에 판천태종사(判天台宗事)가 된 행호(行乎)와 이녕대군(李寧大君), 삼한국부인(三韓國夫人) 정씨 등이 시주하여 왕실본으로 간행하였다. 책의 크기는 가로 26.7cm, 세로 16.3cm이며, 책의 판본 양식은 사방을 하나의 선으로 둘러싼 사주단변(四周單邊)이다. 각 장의 한 면은 평엽(平葉)이고, 행자수(行字數)는 10행 20자로 구성되어 있다. 장정 방식은 낱장을 한 장 한 장 접어 우측을 실로 꿰매는 선장본(線裝本)이다. 보존 상태는 양호하다. 이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은 줄여서 <법화경(法華經)>이라고도 부른다. ‘진실한 가름침의 연꽃 같은 경’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 인간 누구에게나 평등하게 갖추어져 있는 불성(佛性)을 인정함으로써 인간에 대한 신뢰를 말하고, 그 약속을 인간 스스로 실천하여 성불(成佛)하도록 하는 구체적인 실현 방법을 말하고 있다. 이와 같은 판본으로는 1456년(세조 원년) 소혜왕후(昭惠王后)이자 동궁 덕종(德宗)의 빈인 한씨(韓氏)가 조선 초기의 문신이자 좌의정인 한확(韓確, 1403~1456년)의 부인 홍씨(洪氏)의 명복을 빌기 위해 찍은 것으로, 경남 양산 통도사에 소장된 보물 제1196호 <묘법연화경>이 있다. ※명칭변경; 묘법연화경 권4,5,6,7 → 묘법연화경 권4~7 묘법연화경 묘법연화경 권4,5,6서문 ////////////////////////////////////////////////////////////////////////////////////////////////////////////////////////
|
////////////////////////////////////////////////////////////////////////////////////////////////////////////////////////
종 목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46-4호 |
---|---|
명 칭 | 묘법연화경 권6~7 (妙法蓮華經 卷六~七) |
분 류 | 기록유산 / 전적류/ 목판본/ 사찰본 |
수량/면적 | 2권1책 |
지 정 일 | 2009.09.11 |
소 재 지 |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방곡리 131 대강면 방곡리 131 |
시 대 | 조선시대 |
소 유 자 | 방곡사 |
관 리 자 | 방곡사 |
설명
「妙法蓮華經」은 ‘法華經’이라 약칭하기도 하며 天台宗의 根本經典으로 부처가 되는 길이 누구에게나 열려 있음을 基本思想으로 하고 있다. 「華嚴經」과 함께 우리나라 佛敎思想의 확립에 가장 크게 영향을 끼쳤으며 三國時代 이래로 가장 많이 流通된 佛敎 經典이다. 묘법연화경〈권제6, 7〉(Ⅱ) 묘법연화경 권6,권7 권수제 |
'문화재 > 충북유형문화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48호 묘법연화경 권4~7 (0) | 2010.08.20 |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47호 묘법연화경 권4∼7 (0) | 2010.08.20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45호 홍우경 영정 (0) | 2010.08.20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44호 제천 두학동 석조여래입상 (0) | 2010.08.20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43호 옥천 곽은 재실 (0) | 2010.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