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00호 |
---|---|
명 칭 | 원효사출토유물 (元曉寺出土遺物) |
분 류 | 유물 / 불교공예/ 기타/ 기타 |
수량/면적 | 32점 |
지 정 일 | 1985.02.25~1987.12.31 |
소 재 지 | 전남 광주 북구 금곡동 209-13번지 |
시 대 | 통일신라 |
소 유 자 | 원효사 |
관 리 자 | 원효사 |
설명
신라 문무왕(재위 661∼681) 때 원효(元曉)가 머물었다는 광주 무등산에 있는 원효사(元曉寺) 대웅전을 신축하던 중 발견된 유물들이다. 수 백점이 발굴되었으나 그 중 금동·청동불상 12점, 소조불상 18점, 청동거울 2점이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근래에 8∼9세기의 해무리굽 청자 조각이 발견되어, 이 절의 창건연대를 높이는 단서가 되었으며, 조선시대 분청사기의 파편들이 다수 발견되어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금동·청동불상들은 대부분 부식상태가 심하여, 다른 불상이 가지고 있는 몸 뒤의 광채 즉, 광배와 받침인 좌대를 잃어 버렸다. 불상들은 10㎝ 내외의 서 있는 것으로, 통일신라에서 조선시대까지 만들었다. 보살상과 동자 2점을 제외한 모든 불상이 손바닥을 앞으로 하고 왼쪽은 손가락을 위로, 오른쪽은 아래로 향하고 있다. 원효사(元曉寺)의 발굴유물 대부분이 진흙으로 빚어 만든 소조불상들로 100여점이 넘는다. 그 가운데 비교적 원래 모습에 가까운 18점을 문화재로 지정하였다. 고려시대에 만든 것으로, 머리모양 수법이 비슷하다. 발굴 당시의 조각들을 모아 복원한 결과 머리높이 10.5㎝, 상체 10㎝, 하체 6.5㎝로 전체 높이 27㎝ 가량의 불상들로 밝혀졌다. 이들 소조불의 발견으로 원래 원효사(元曉寺)에 천불전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청동거울 중 2마리 용이 새겨진 거울은 조각이 섬세하고 정교하다. 중심에는 2겹으로 된 연꽃을 새겼고, 그 밖으로 2마리의 용을, 외곽에는 구름무늬를 새겼다. 가운데 있는 2마리 용은 서로 반대 방향에서 꿈틀 거리는 모습이며, 예리한 발톱을 가지고 있고 여의주로 보이는 2개의 구슬이 돋아나게 새겼다. 또 다른 백색의 거울은 무늬가 없으며 별 특징이 없다. 이 2점의 거울은 고려시대 공예 조각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가. 금동, 청동불상 : 12점
* 진성당(眞性堂) 부도 부도전에 있는 대리석제 부도로서 1984년에 만들어진 8각형 원당형 모습을 다소 보이고 있다. 전체적으로 균형이 잡히지 않은 부도이며 총높이는 228cm이다.
* 기타 유물 ◆ 전라남도와 광주광역시 분리되면서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8호로 재지정됨에 따라 1987년12월31일 해제. 원효사출토유물 원효사출토유물 원효사출토유물 원효사출토유물 원효사출토유물 원효사출토유물 |
'문화재 > 전남유형문화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02호 금탑사 극락전 (0) | 2010.07.28 |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01호 정수사 대웅전 (0) | 2010.07.27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99호 심향사 아미타여래좌상 <해제> (0) | 2010.07.27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98호 신용리 오층석탑 <해제> (0) | 2010.07.26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97호 송광사 진영당 (0) | 2010.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