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92호 |
---|---|
명 칭 | 남지장사 청련암(南地藏寺靑蓮庵) |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법당 |
수량/면적 | 1동 |
지정(등록)일 | 1977.07.15~1995.05.12 |
소 재 지 | 경북 달성군 가창면 우록리 865 |
시 대 | 조선시대 |
소유자(소유단체) | 남지장사 |
관리자(관리단체) | 남지장사 |
상 세 문 의 | 경상북도 달성군 |
일반설명
남지장사(南地藏寺)는 통일신라 신문왕(神文王) 4년(684)에 양개조사(陽介祖師)가 세운 절이라고 전한다. 조선시대에 고승 무학대사(無學大師)가 수도한 곳이며 임진왜란 때에는 사명대사(四溟大師)가 승병들의 훈련장으로 사용하였으나 그 당시 병화(兵火)로 소실되었다고 전한다. 효종(孝宗) 4년(1653) 인혜대사(印惠大師)가 이 청련암을 중건하였으나 순조(純祖) 6년(1806) 화재를 당하여 그 2년뒤(1808)에 재건하였다. 이 건물은 법당(法堂)과 요사(寮舍)를 겸하고 있어 평면배치가 특이하며 구조는 소박하면서 부분적으로 고식수법(古式手法)이 남아있다. 청련암은 법당과 생활공간의 기능을 겸한 특이한 평면을 가진 건물로,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이다. 그러나 실제로 법당의 기능보다 강당의 기능을 가진 건물로 ‘인법당’으로도 부르고 있다. 남지장사 청련암(南地藏寺靑蓮庵)은 부분적으로 옛 건축수법을 간직하고 있는 소박한 구조의 건물이다.
경북 달성군이 대구광역시로 편입됨에 따라 대구광역시 시도유형문화재 제34호로 변경되어 1995년5월12일 해지. 남지장사 청련암
남지장사 청련암
남지장사 청련암
|
'문화재 > 경북유형문화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94호 경주 남산 입곡 석불두 (0) | 2010.07.22 |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93호 대구부수성비(大邱府修城碑) <해지> (0) | 2010.07.22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91호 구미 황상동 마애아미타여래석불입상 <해지> (0) | 2010.07.21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90호 영천 호수종택(湖수宗宅) (0) | 2010.07.21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89호 청도 이운룡장군 영정 (0) | 2010.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