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국가민속문화재

국가민속문화재 제247호 봉화 설매리 3겹까치구멍집

오늘의 쉼터 2008. 5. 10. 19:10


종     목

국가민속문화재 제247호

명     칭봉화 설매리 3겹 까치구멍집 (奉化 雪梅里 3겹 까치구멍집)
분     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가옥
수량/면적 일곽 344㎡
지 정 일 2007.01.12
소 재 지

경북 봉화군  상운면 설매리 519

시     대조선시대
소 유 자봉화군
관 리 자

봉화군

일반설명

상운면 설매리는 깊은 산속에 숨겨져 있는 산골마을로 예전에는 까치구멍집이 주류를 이루었던 것으로 보인다.

약 170여년 전에 건립된 것으로 추측되는 이 건물은 정면3칸 측면3칸 규모인데 입구의 봉당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외양간을 우측에는 부엌을 두었는데 외양간 상부에는 다락을 두고 마루에서 출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뒤쪽에는 마루를 중심으로 좌측에는 사랑방과 아랫방을 우측에는 안방을 두었으며 안방과 부엌사이에는 작은 바라지창을 달았다

가구는 5량가이며 각방 천정은 고미반자를 하고 흙을 올렸으며 반자와 지붕틀 사이의 지붕에 까치구멍을 내어 채광과 환기용으로 사용하였으며 1970년대에 슬레이트 지붕으로 개량된 것을 문화재 지정이후 다시 초가로 복원하였다.

3칸 겹집이라는 점과 사라져가는 까치구멍집의 좋은 표본이 되는 점, 산간지역 서민생활의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화재적 가치가 있다
상운면 설매리는 깊은 산속에 숨겨져 있는 산골마을이다. 예전에는 이른바 까치구멍집이 이 마을 주거의 주류를 이루었던 것으로 보이며, 현재에도 일부가 남아 있다

산간지방 민가들은 추운 기후에 잘 적응하고 산짐승 등의 침입을 막기 위해 겹집 또는 삼겹집의 구성을 하고 지붕이 넓어지기 때문에 팔작지붕의 형태를 취한다. 이 때 합각면을 막지 않고 구멍을 노출시켜 집안의 채광이나 환기를 원활하게 하였는데 이를 ‘까치구멍’이라 하며 이런 집을 ‘까치구멍집’이라 부른다.

가옥의 평면은 정면 3칸 측면 3칸 규모인데, 이러한 평면은 안동지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여칸집에서 세로축 방향으로 1칸이 확장된 모습으로 정면 어칸에 난 대문을 들어서면 흙바닥인 봉당이 나타나는데, 봉당의 좌측에는 외양간을 우측에는 부엌을 배치하였으며 외양간 상부에는 다락을 배치하여 마루에서 직접 출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봉당에서 바로 보이는 대청을 오르면 좌측에는 사랑방과 샛방이 앞뒤로 놓여 있으며, 우측에는 안방이 배치되어 있다

산간지방의 주택답게 판벽과 판문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구조는 넓적한 큰 돌을 쌓아 기단을 만든 후, 자연석 초석을 놓아 각주를 세웠다. 벽체는 온돌방에만 심이 있는 토벽을 설치하였으며, 부엌의 외주벽과 봉당 및 외양간의 전면에는 널벽으로 막았다. 까치구멍 이외에도 상부 흙벽의 일부에 작은 구멍을 내어 채광과 환기용으로 사용하였으며 안방과 정지(부엌) 사이에는 작은 바라지창이 나있다. 가구는 5량가이며 온돌방의 상부는 고미반자를 하고 보온용 흙을 올려 지붕틀과는 격리되어 있다

3칸 겹집이라는 희귀성과 사라져가는 까치구멍집의 좋은 표본이 되는 점, 산간지역 서민생활의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화재적 가치가 있다.


상운면 설매리는 깊은 산속에 숨겨져 있는 산골마을이다. 예전에는 이른바 까치구멍집이 이 마을 주거의 주류를 이루었던 것으로 보이며, 현재에도 일부가 남아 있다

산간지방 민가들은 추운 기후에 잘 적응하고 산짐승 등의 침입을 막기 위해 겹집 또는 삼겹집의 구성을 하고 지붕이 넓어지기 때문에 팔작지붕의 형태를 취한다. 이 때 합각면을 막지 않고 구멍을 노출시켜 집안의 채광이나 환기를 원활하게 하였는데 이를 ‘까치구멍’이라 하며 이런 집을 ‘까치구멍집’이라 부른다.

가옥의 평면은 정면 3칸 측면 3칸 규모인데, 이러한 평면은 안동지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여칸집에서 세로축 방향으로 1칸이 확장된 모습으로 정면 어칸에 난 대문을 들어서면 흙바닥인 봉당이 나타나는데, 봉당의 좌측에는 외양간을 우측에는 부엌을 배치하였으며 외양간 상부에는 다락을 배치하여 마루에서 직접 출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봉당에서 바로 보이는 대청을 오르면 좌측에는 사랑방과 샛방이 앞뒤로 놓여 있으며, 우측에는 안방이 배치되어 있다

산간지방의 주택답게 판벽과 판문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구조는 넓적한 큰 돌을 쌓아 기단을 만든 후, 자연석 초석을 놓아 각주를 세웠다. 벽체는 온돌방에만 심이 있는 토벽을 설치하였으며, 부엌의 외주벽과 봉당 및 외양간의 전면에는 널벽으로 막았다. 까치구멍 이외에도 상부 흙벽의 일부에 작은 구멍을 내어 채광과 환기용으로 사용하였으며 안방과 정지(부엌) 사이에는 작은 바라지창이 나있다. 가구는 5량가이며 온돌방의 상부는 고미반자를 하고 보온용 흙을 올려 지붕틀과는 격리되어 있다

3칸 겹집이라는 희귀성과 사라져가는 까치구멍집의 좋은 표본이 되는 점, 산간지역 서민생활의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화재적 가치가 있다


가옥정면

가옥측면(까치구멍 모습)

가옥내부(부엌찬장 및 상부 살창의 모습)

가옥내부(까치구멍으로 빛이 들어오는 모습)

까치구멍

마루내부

집안 지붕 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