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의 문신 심동신(1824∼?)이 입던 금관조복 중 금관 1점이다. 금관은 조복에 갖추어 쓰던 모자로 양관(梁冠)이라고도 하는데, 량(梁)은 모자의 앞면에서 꼭대기를 지나 뒷면까지 연결되어 붙여진 금색선을 말하며, 그 수에 따라 계급이 구분된다. 이 금관은 5량관으로, 1품의 관리가 쓰던 금관이다.
금관의 모양은 원통형인데 머리둘레와 뒷면 전체에 금칠이 되어 화려하고 윗부분은 검은 비단으로 싸여 있다. 뒷면은 금칠한 나무비녀 2개를 꽂아 고정하였고 비녀의 양 끝에는 술을 감아 늘어 뜨렸다.
이 금관은 1948년 석주선씨가 심동신의 7대 손자며느리로부터 인수받았다고 하며, 1890년대를 전후한 구한말의 유품으로 추정된다.
|
흥선대원군 이하응(1820∼1898)이 입었던 자주색 단령으로 단령은 집무를 볼 때 입던 평상복이다. 겉감은 자주색으로 둥근 깃이고, 안감은 붉은색으로 곧은 깃이며, 넓은 동정이 달려있다. 소매가 넓고 고름은 붉은색과 자주색을 쌍으로 겹쳐 달아서 모두 4개가 양옆에 달려있다.
단령의 가슴부분에는 기린흉배가 달렸는데, 기린무늬는 그의 지위가 대군임을 표시해 준다. 이 흉배는 흑색의 공단에 금실로 정교하게 수놓았는데 기린을 중심으로 아래에는 바위와 물결무늬 등을 수놓고 위의 양옆에는 구름무늬를 배치하였다.
옷의 크기로 보아 대원군의 신체가 다소 작았음을 짐작할 수 있으며 이 유품은 보존상태가 양호하고 기린흉배까지 포함된 완전한 형태로 남아있어 복식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전문설명 이 의복은 흥선대원군의 관복으로 겉은 자주색, 안은 홍색 본사로 되어 있으며 옷고름이 두개씩 네개가 달려있으며 기린흉배가 부착되어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C0DE3B5DE1C06024)
흥선대원군 자적단령
![](https://t1.daumcdn.net/cfile/blog/99B4BF3B5DE1C06126)
단령 앞면의 기린흉배
![](https://t1.daumcdn.net/cfile/blog/99B65B3B5DE1C06325)
흥선대원군자적단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