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강 줄기를 끼고 깊은 산골에 자리하고 있는 19세기 중엽의 건물이다. ㄱ자형의 안채와 ㄴ자형의 행랑채가 튼 ㅁ자형으로 이루어진 민가형식의 집이다.
ㄱ자형의 안채는 19세기 중엽 정도에 지어진 것으로 보이는 우수한 건물이다. 대청 앞쪽으로 툇마루가 있고, 부엌과 안방 뒷쪽에 툇마루를 설치하였다. 평면은 중부 내륙지방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남쪽에 부엌 2칸과 뒤에 2칸의 안방이 있으며, 꺾어져서 2칸의 대청과 작은방이 배치되어 있다. 부엌 남쪽에는 아랫방이 붙어있는데 이것은 남도방식 가운데 하나이다. 작은방 앞에는 마루시설 없이 아궁이가 설치되어 있다.
행랑채는 원래 一자형이었으나, 근래에 행랑방을 지어서 ㄱ자형 집으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 구성은 오른쪽부터 광·마구간·대문간·문간방이 있으며, 안으로 꺾어져서 2칸의 행랑방이 있다.
이곳은 대문간이 동북향이고 안채의 대청이 동남향을 하고 있어, 일반적인 살림집과는 다르게 행랑채 대문간이 돌아앉아 있는 배치를 하고 있다. 또한 가옥의 구성이 튼 ㅁ자형에서 벗어나기는 하였으나, 안채를 ㄱ자형으로 구성한 집이 이 지역에 있다는 점에서 가치를 인정할 만 하다.
전문설명
ㄱ자(곱은자)형 안채와 ㄴ자형 행랑채가 맞물려서 튼ㅁ자 모양을 이루는 민가형식의 집이다. 집의 방위는 대문간 기준으로 동북향하고 있는데 대문이 안채 부엌을 향하므로 대청(大廳)은 동남향을 하고 있다. 통상 우리가 보던 살림집과는 좀 다르게 행랑채 대문간이 돌아 앉아 있는 셈이다. 안채는 19세기 중엽 정도로 추정되는 우수한 건물이며 행랑채는 20세기 중엽에 지은 초가집으로 전해진다.
안채는 가로간을 앞퇴로, 세로간을 뒷퇴로 처리하고 평면은 중부내륙지방의 형식으로 구성했다. 서남쪽에 2간부엌, 뒤에 2간안방을 두고 꺾어져서 2간대청, 맨 끝에 건넌방의 차례로 배치했는데 부엌 남쪽에 다시 아랫방을 곁달은 것이다. 이와 같이 부엌에 아랫방을 붙이는 것은 남도방식 가운데 하나이다. 건넌방 앞에는 툇마루를(구조는 뒷퇴인데 앞퇴에 시설함), 안방의 뒷퇴와 대청의 앞퇴에도 툇마루가 놓였다. 대청 앞에는 문 시설물이 없으며 건넌방 앞에는 마루시설 없이 함실 아궁이가 축조되었다. 부엌에는 뒤쪽 1간에만 상부에 다락이 만들어진다.
구조는 3평주 3량으로 내진에 고주가 서지 않고 평주로 처리되었다. 이것은 중남부 내륙지역에서 흔히 쓰이는 구조기법이다. 그러나 대청 중앙은 긴보 3량 구조이고 도리어 장혀를 받친 납도리인데 모를 굴리지 않고 면접이한 것이 눈에 띈다. 대청 중앙 기둥에는 앞뒤 공히 단이(보아지)를 대들보 밑에 받쳤다. 밖은 직체(直切)이고 안은 사절(斜絶)이다. 대들보 역시 도리와 비슷하게 옆구리를 훑고 아랫모는 면접이 해서 아랫배를 수장폭으로 평탄하게 깎았다. 대공은 어깨를 적당히 둥글게 다듬은 판대공인데 대청 중앙만 사다리꼴 판대공이다. 기본적으로 3량집이기 때문에 서까래를 단연은 없이 장연 하나로만 처리했다. 기둥은 네모인데 속기둥들은 자귀로 다듬은 채 그대로 사용했고 겉기둥(외부로 노출되는)들은 대패로 밀었다. 댓돌은 거의 노출되지 않을 정도로 낮다. 지붕은 합각인데 아래와 머리에만 두고 복판에는 만들지 않았다.
행랑채는 원래 一자형 집이었으나 근래에 행랑방을 덧달아 이어서 ㄱ자형집으로 만들었다. 구조는 맞걸이 3량이고 평면구성은 오른쪽으로부터 광, 마구간, 대문간, 복판의 문간방, 안으로 꺾어져서 행랑방 2간이 마련되었다.
집 앞으로는 남한강 줄기를 끼고 깊은 산골에 자리하기 때문에 주변의 자연경관은 대단히 아름답지만 그에 걸맞는 집안의 정원시설은 아무 것도 없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B508485DF3A2FC10)
사랑채 ![](https://t1.daumcdn.net/cfile/blog/99E80B485DF3A2FD0B)
안채 ![](https://t1.daumcdn.net/cfile/blog/99B3A7485DF3A2FE2C)
북쪽에서 내려다본 전경 ![](https://t1.daumcdn.net/cfile/blog/998C92485DF3A2FF08)
안마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