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는 개울이 흐르고 뒤로는 낮은 동산을 두르고 있는 곳에 자리잡은 집이다. 원래 대문을 들어서면 행랑채에 나 있던 중문을 통해 사랑채로 출입하였는데, 행랑채와 중간 담이 모두 무너져 현재는 대문을 들어서면 바로 사랑채이다.
사랑채는 별당처럼 구성되었는데 앞·뒤 모두 툇마루가 있으며, 마루방과 툇마루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구들을 설비한 방이다. 안채는 사랑채의 왼쪽으로 자리하였다. 부엌·안방·대청·건넌방이 배열된 안채는 건넌방의 앞쪽으로 작은 부엌을 만들어 불을 지피게 한 ㄱ자형 구조이다. 안마당을 가운데에 두고 안채의 왼쪽에 아래채가 있는데, 뜰아랫방과 곳간으로 되어있다. 안채 뒤쪽으로는 담장과 문이 없어진 상태의 사당이 자리한다. 방·부엌·광으로 이루어진 광채는 안채의 오른쪽에 있으며, 광채와 사랑채 사이에는 쪽문이 있어 사랑후원과 뒤뜰을 연결하고 있다.
이 집에는 다양한 외부공간이 구성되어 짜임새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대략 19세기 중엽에 세워진 집으로 추정되며, 충주댐 건설로 인근의 중요한 집들이 옮겨져 다시 지어지거나 없어져서 이제는 이만한 집조차 볼 수 없게 되어 지정·보존하게 되었다. 같은 중부지방의 집이면서 서해안 일대의 집들과는 다른 성격을 보이고 있어 학술적인 가치가 있다.
전문설명
집 앞으로 개울이 흐르고 집 뒤로는 야트막한 야산을 두르고 있다. 개울에 면한 솟을대문을 들어서면 오른쪽의 일각대문을 통해 사랑마당에 이르고, 왼쪽으로 행랑채에 시설된 중문을 지나서 안마당에 다다르도록 계획되었으나 지금은 행랑채나 중간담이 모두 무너져서 흔적조차 찾기 어렵다.
솟을대문 뒤에는 약간 오른쪽으로 축을 옮겨 일각대문과 사랑채를 배치해서 담장을 두르고 사랑공간을 만들며 왼쪽으로 축을 옮겨 중문을 둔 행랑채와 ㄱ자 모양의 안채를 배열해서 안마당을 형성한다. 안마당 서쪽에는 직각으로 아래채가 놓이고 안채 뒤는 뒤안이 마련되는데 외부로 통하는 편문(便門)이 시설되었다. 안채 동쪽에는 뒤뜰이 설정되는 바 사랑채와 축을 맞춰 뒤에 사당채가 배치되고 동쪽에는 사랑채와 사이에 직각으로 광채가 만들어졌다. 광채 동쪽은 뒤뜰과 공간을 구분하여 사랑후원이 된다.
사랑채는 3간전퇴일자형 합각지붕 집으로서 별당처럼 구성되었다. 평면은 왼쪽에 2간 사랑방을 두고 머리에 대청을 두었는데 대청은 전퇴까지를 쓰고 사랑방 앞의 아래 전퇴는 골방을, 위 전퇴는 툇마루를 시설했다. 또한 아랫사랑 뒤로는 처마 밑을 이용하여 헛기둥을 세워 내밀고 방을 크게 만들었다(툇마루 앞 합각문과 윗사랑 뒤 쪽마루는 후보(後補)인 듯). 대청(大廳)의 창문은 모두 판장문으로 된 점이 특이하다. 납도리집이며 네모기둥, 네모 높은주초, 화강암 외벌대 댓돌로 처리했다. 합각은 전돌로 장식되었다.
안채의 평면구성은 역시 남도식인데 특이하게 T자 모양으로 되었다. 전체적으로 전퇴집으로서 왼쪽에 부엌을 두고 다음은 안방, 웃방, 안대청 그리고 작은대청, 앞으로 꺾어져서 간반(間半) 크기의 건넌방을 배치했다. 그러나 대청 동쪽으로 고방을 1간 덧달아서 일반적 유형과는 달리했다. 안방에서 안대청까지의 앞퇴에는 툇마루를 깔고 건넌방 안쪽에는 쪽마루를 놓았으며 건넌방 동쪽 퇴는 골방이 만들어지고 앞쪽에는 반간(半間)을 들여서 상부는 벽장을, 아래는 아궁이를 시설했다. 부엌은 전퇴까지 크게 쓰며 상부에는 다락을 만들었다. 대청 앞문은 분합문이며 안대청과 고방문은 모두 지게문이다. 건넌방과 안대청의 샛문은 틀 수 있는 미닫이이고 안대청과 고방은 모두 마루가 깔렸다. 지붕은 골기와에 박공지붕이며 T자로 모이는 부분은 합각없이 모임지붕으로 처리했다. 납도리집이며 네모기둥, 높은 네모주초, 외벌대 화강암 댓돌로 만들었다.
아래채는 L자 모양으로서 전체적으로 뒷퇴를 만들었는데 꺾어진 날개만 3량으로 처리했다. 꺾어진 중앙에 2간 부엌을 놓고 뒤로 뒷방을 덧붙였으며 도리간으로 아래 ·위의 아랫방을 두고 끝머리에 광을 시설했다. 아랫방으로부터 광까지는 헛기둥을 세워 퇴를 달아내고 아랫방 뒤는 골방, 다음은 널마루, 광간은 광을 크게 쓰고 있다. 아랫방 앞에는 또한 쪽마루가 널마루로 놓였는데 나중에 덧달아냈는지의 여부는 알 수 없다. 부뚜막 위에는 벽장이 시설되며 아래 ·웃방과의 사이 및 골방과의 사이에는 틀 수 있는 미닫이가 만들어졌다. 지붕은 골기와로서 맞배지붕이며 역시 납도리, 네모기둥, 높은주초, 외벌대 장대석 댓돌로 되었다.
사당채는 3간 맞배집이며 광채는 맞걸이 3량5간집으로서 남쪽으로부터 구들, 부엌(상부 다락), 3간 광으로 이루어졌다. 광채와 사랑채 사이에는 쪽문이 시설되어 사랑후원과 뒤뜰을 연결하고 솟을대문은 5간이었던 듯하나 가운데 솟을대문간만 남아있다. 이와 같이 이 집에는 바깥마당, 가운데마당, 사랑마당, 사랑후원, 안마당, 뒤꼍, 뒤뜰 등 다양한 외부공간이 구성되어 하나의 짜임새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전체적으로 19세기 중반에 지어진 아름다운 집이라고 생각되나 변형된 부분이 많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14133D5DF38BF40C)
전경 ![](https://t1.daumcdn.net/cfile/blog/99567B3D5DF38BF511)
중문 ![](https://t1.daumcdn.net/cfile/blog/997BC43D5DF38BF630)
안채 ![](https://t1.daumcdn.net/cfile/blog/998DFF3D5DF38BF737)
안채 내부 ![](https://t1.daumcdn.net/cfile/blog/99F2163D5DF38BF813)
사랑채 ![](https://t1.daumcdn.net/cfile/blog/99F8503D5DF38BF90D)
사당 ![](https://t1.daumcdn.net/cfile/blog/992B733D5DF38BFA05)
전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