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국가민속문화재

중요민속자료 제113-3호 착수납의창의(窄袖納衣氅衣)

오늘의 쉼터 2008. 4. 28. 17:05


종    목 중요민속자료  제113-3호
명     칭 착수납의창의(窄袖納衣氅衣)
분     류 유물 / 생활공예/ 복식공예/ 의복
수량/면적 2점
지 정 일 1980.04.01
소 재 지 서울 성북구  안암동 5-1
시     대 시대미상
소 유 자 고려대학교
관 리 자 .
일반설명
조선시대 문신인 홍진종(1649∼1702)의 의복으로 1968년 경기도 오산읍에서 출토되었다. 홍진종은 숙종 3년(1677) 과거에 급제하여 평강현감을 지낸 바 있다.

창의는 대개 평상복의 웃옷으로 입었고 관복에는 밑받침 옷으로 입었다. 소매통이 좁은 창의 2점 중 하나는 옷길이 113.2㎝, 화장 94.5㎝, 뒷품 27.8㎝, 고대 20㎝, 진동 31.5㎝, 소매끝넓이 25㎝, 소매통 25㎝, 깃길이 47㎝이다. 또다른 것은 옷길이 116.2㎝, 화장 99㎝, 뒷품 27㎝, 진동 27.5㎝, 소매끝넓이 21㎝, 소매통 22.5㎝, 깃길이 40㎝, 깃넓이 13㎝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