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의 문신 홍진종(1649∼1702)의 의복으로 1968년 경기도 오산읍에서 출토되었다. 홍진종은 숙종 3년(1677) 진사에 급제하여 평강 현감을 지냈다. 출토된 유물에는 중치막 8점, 소창의 2점, 심의 1점, 답호 1점, 바지 3점 등이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창의는 평상시 외출용으로 입거나 중치막을 입고 안에 밑받침 옷으로 입었다. 명주에 솜을 두고 얇게 누볐으며 옆에 덧대는 천인 무가 없고 겨드랑이부터 트여져 있다.
중치막은 사대부들이 관복속이나 겉옷으로 평소에 입는 옷인 창의의 일종으로 지금의 두루마기와 비슷한 모습이지만 동정이 없고 소매가 길고 넓으며 옆이 터져 있는 옷이다. 명주에 솜을 두고 누볐으며 깃은 반달깃이고 옷자락 끝이 뾰족하다. 소매는 길며 둥글려진 형태인데 소매통이 좁은 것이 특징이다.
심의는 조선시대 유학자들이 입던 옷으로 옷깃, 소매끝, 옷단 등에는 검정 선을 두른 소매가 넓은 옷이다. 이 옷은 현존하는 것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허리에 두르던 대(帶)까지 보존되어 있다.
답호는 뒤가 앞보다 30㎝ 정도 짧은 누비옷이다. 일반적으로 답호란 소매가 없고 길이가 길며 옆과 앞에 덧대는 천인 무와 섶이 없고 뒷솔기가 허리 아래서부터 트여진 옷을 말한다.
바지에는 겉과 속이 모두 명주로 안에 얇은 솜을 두고 1.5㎝로 누빈 것과 명주에 솜을 두껍게 두고 6㎝ 간격으로 누빈 겨울용 그리고 목면을 누벼서 만든 것 등이 있다.
이 유물들은 17세기의 형태를 그대로 지니고 있어 당시의 복식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전문설명
이 의복은 현재 고려대학교의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홍진종(洪鎭宗)은 인조 27년(1649)에 태어나 숙종 28년(1702년)에 졸하였는데, 숙종 3년(1677)에 진사에 급제하여 평강현감(平康縣監)을 지낸바 있다. 이 의복은 1968년 5월 20일 경기도 오산읍에서 이장시 출토된 것으로, 그 안에는 중치막(中致莫) 8착, 소창의 2착, 심의(深衣) 1착, 답호 1착, 바지 3착 등이 출토되었다.
중치막이나 소창의는 그 시대의 다른 것의 양식과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고운 명주(明紬)에 솜을 얇게 두고 1cm로 호아서 누벼 만들었다. 깃 길이가 길고(8cm) 소매도 길며 두리소매이다. 깃의 모양은 반달깃이고 옷자락의 끝이 다 당코형으로 되어 있다. 이밖에 다른 중치막도 모두 명주로 하고 누비로 되어 있는데, 이것들은 편복으로는 흔히 웃옷으로 입었고 관복에는 밑받침옷으로 입었던 것이다. 소창의는 보통 창옷이라고도 하는데 이것도 흔히 편복으로 착용하였고 외출복인 도포· 중치막의 밑받침옷으로 착용하였던 것이다. 소창의도 명주로 하여 누비로 되어 있다. 심의는 현존한 것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다. 이것은 의와 상(裳)이 연결된 것으로 고대 중국에서는 천자·제후는 평복으로 착용하였고 사대부는 조복·제복 다음가는 상복(上服)으로 착용하여 서인은 길복(吉服)으로 착용하던 것이 그후 유자(儒者)들이 선왕의 법복으로서 숭상하게 되면서 주희(주자)가 이를 그 가례중에 추거한 이래 우리 나라에서도 유자들 사이에 많이 착용하였으며, 주인공 역시 관직에서 물러나 글과 벗하면서 이를 착용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 유의중에는 특히 대까지 보존되어 있다. 답호는 앞이 길고 뒤가 앞보다 30cm 정도 짧은 누비 답호로서 좀 색다른 유형을 보여 주고 있다. 이 답호도 주인공의 이력으로 보아 편복으로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바지는 표리(表裏)가 모두 고운 명주(明紬)로 얇은 솜을 두고 1.5cm로 누벼서 지은 것과 명주에 솜을 두껍게 두고 6cm 두께로 누빈 겨울용과 목선을 누벼서 만든 것이 있다.
이 유의들은 창의류나 바지가 모두 누비로 되어 있는데, 이것은 바느질하기가 손쉽고 빨아입기 편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이 유물은 17세기의 형태를 그대로 지니고 있어 당시의 복식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민속자료이다.

홍진종 의복 
명주 누비창의 
착수 납의창의 
착수 납의창의 
명주 납의중치막 
명주 납의중치막 
심의 
답호 
답호 
목면 납의고 
명주 납의고
|